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남 예산 및 홍성 일원에 건설되는 도청 이전 신도시사업 이름으로 '내포신도시'가 확정됐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2일 오전 10시 30분 도청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충남도청 이전신도시 명칭을 '내포'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충남도지명위원회는 지난 달 15일 도청신도시 이름에 대한 심의회의를 갖고 가장 많은 의견이 나온 '내포신도시'를 신도시 사업명으로 뽑았다. 9명의 지명위원 중 6명이 '내포'에 찬성의견을 냈고 '서해' 3명, '홍예' 1명 등이 선택했다. 충남도는 그동안 도청신도시 명칭 평가위원회를 열어 내포, 서해, 금북, 수안(秀安), 일송(一松), 홍예(홍성과 예산) 신도시 등 6개 안을 도청신도시 이름으로 정해 지명위원회에 올렸었다.

 

안 지사는 "내포신도시 명칭확정을 계기로 투자촉진의 전기를 마련해 2020년까지 인구 10만 도시 건설과 아시아와 전 세계로 나아가는 새로운 전환점을 완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충남지명위원회 위원인 김만규 공주대 교수는 "'내포신도시'는 신도시건설 사업 명칭으로  본명이 아닌 아명"이라며 "하지만 이후 법정 행정명으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안희정 지사 "도청신청사 설계변경 어렵다"

 

안 지사는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사업 일정 재조정 가능성을 일축하기도 했다.

 

그는 "도청신청사의 경우 17.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며 "행정타운 공정을 차질 없이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행정타운 건설은 효율성을 높이고 참여공간을 높이는 방안으로 신축 건물 운영 및 규모를 조절하기 위해 재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도청신청사 건립과 관련해서는 "이미 일정한 공정률을 보이고 있어 (규모 축소 등) 사업 변경이 싶지 않다"며 "(설계변경보다는) 공간배치 등을 통해 효율적,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추후 각 산하기구 건립의 경우 예산문제와 기존시설을 잘 활용해 중복투자를 조정하는 등으로 규모를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도청신청사 건립에 따른 부족재원에 대해서는 "도청이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경북도와 공동으로 이 문제를 공론화시켜 특별법에 따라 중앙정부의 지원할 수 있도록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도청신청사의 경우 '호화청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어 규모와 예산 축소 없이 중앙정부의 추가지원을 얻어낼 수 있을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현재 도청신청사의 경우 전체 2326억 원의 재원 중 국고지원 확정액은 764억 원에 머물고 있다.

 

즉 1500억여 원이 모자라지만 현 도청사가 문화재로 묶어 있어 매각마저 어려워 국비 추가확보가 여의치 않을 경우 지방채 발행 등을 통한 도민부담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행정안전부는 충남도의 추가재원 지원 요구에 '도청신청사 규모가 너무 크고 사업비가 많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태그:#충남도청이전, #도청신청사, #내포신도시, #안희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