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작은 규모 대학'에도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2000배를 한 대학생의 바람이 과연 이루어질 것인가?

 

부산교육대학교 총학생회 이용석(24, 과학교육과 4년) 부회장이 19일부터 20일까지 부산 연제구선거관리위원회 앞에서 2000배와 1인시위를 벌였다. 연제구선관위는 24일 전체 회의를 열어 부산교대에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부산교대 전체 재학생은 2100여 명이다. 선관위는 대학 안에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하려면 2000명 이상이 신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교대 총학생회와 '부산지역 대학생 유권자연대'에 따르면, 부재자 투표 신고를 한 부산교대 학생은 1159명이다.

 

부산교대 재학생 1/3 가량인 700여명이 부산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유학'와서 기숙사 생활하고 있다. 또 투표권(만 19세)이 없는 새내기와 연제구에 주소를 두고 있는 학생을 제외하고, 실제 부재자 투표 신고 대상자는 1800여명이다.

 

부재자 투표 대상자 중에 1159명이 신고했으니 68% 정도가 참여한 셈이다. 이는 다른 대학에 비하면 매우 높은 것이다. 실제 부재자 투표 신고 대상자가 1800여명 이기에, 선관위가 제시한 2000명의 조건을 충족할 수 없었던 것.

 

이번에 부산교대 안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다면 처음은 아니다. 2006년 선거 때 학생 1500여명 신고했는데 투표소가 설치된 것이다. 당시 선관위는 인근 지역의 일반 부재자 투표 신고자를 포함해 부산교대 안에 투표소를 설치했던 것.

 

이용석 부회장은 투표소 설치와 관련해 예외규정이 있어 2000명이 안되더라도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규정에 보면 '부득이한 사유'일 경우 2000명이 안되더라도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면서 "그 '부득이한 사유'에 교육대학의 특수성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석 부회장은 19일 오전 연제구선관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곧바로 절을 하기 시작했다. 첫날 오후 4시까지 1400배를 했으며, 둘째 날 오전부터 다시 시작해 다 마쳤다. 그는 둘째 날 오후에는 1인시위를 벌였다.

 

"선관위 접촉하면서 2000배 해야겠다고 생각"

 

다음은 이용석 부회장이 2000배와 1인시위를 마친 뒤 <오마이뉴스>와 전화통화한 내용이다.

 

- 2000배를 했는데 힘들지 않은지?

"이전에 총학생회 선거 때 이틀 동안 절을 한 적이 있다. 이번에 선관위와 3주 전부터 이야기를 해왔는데 계속해서 2000명 이야기를 했다. 선관위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2000배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았다. 나중에는 천천히 했다."

 

- 사람들의 반응은?

"지나가는 시민들이 관심을 보였다. 왜 절을 하느냐고 물어 보기도 했는데, 이유를 설명했더니 '설득력이 있다'거나 '힘내라'고 했다. 이외에 특별한 일은 없었다."

 

- 연제구선관위가 24일 전체회의를 열어 결정한다고 하는데.

"어제부터 계속해서 연제구선관위와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이 나오지 않았다. 24일 전체회의를 열어 결정한다고 하는데,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전국 교육대학이나 다른 대학의 사정은 아는지?

"계속 살펴보고 있다. 부재자 투표 신고한 대학생이 2000명이 되지 않는 대학인데도 투표소를 설치하는 대학이 있다는 말이 들린다. 전국 현황을 살펴 보고 있다."

 

- 왜 부산교대 안에 투표소를 설치해야 한다고 보는지?

"전교생 중 1/3 가량인 700여 명이 부산이 아닌 지역 출신이다. 그들은 6월 2일 투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기에 그런 학생들은 부재자 투표 신청을 하는 게 맞다. 오는 27~28일이 부재자 투표일인데, 투표소를 학내에 설치해야 한다. 교육대학의 점심시간이 50분이다. 선관위는 연제구청에 투표소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대학과 3km 가량 떨어져 있다. 투표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인데, 수업 시간과 겹친다. 점심시간에 갔다 오기에는 부담이 되는 거리다. 연제구청에 투표소를 설치하면 부재자 투표 신고를 한 의미가 퇴색된다. 대학생들이 의지만 있다면 거리와 관계 없이 할 수 있다고 하나 점심을 굶으면서까지 투표하기에는 부담이 있다."

 

- 선관위에 하고 싶은 말은?

"선관위는 유권자들을 위해 투표하고자 하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2000명 기준만 고집한다면 전국 교육대학을 비롯한 규모가 작은 대학은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젊은층, 대학생들이 투표를 하지 않는다고 탓만 할 게 아니라 투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는 것 아니냐. 관련 규정에 보면 2000명이 안되더라도 '부득이 한 사유'일 경우 허용하고 있다. 그 '부득이 한 사유'에 교육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 2006년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는 어떻게 해서 된 것인지?

"당시 신고자는 1500여 명이었다. 선관위에서 부산교대 인근 지역의 신고자까지 끌어 들여 투표소를 설치해 준 것으로 알고 있다. 올해 연제구 안에 부재자 투표 신고자도 상당수 있지만, 부산교대 신고자도 많다. 그렇다면 신고자가 밀집된 지역에 투표소를 설치하는 게 훨씬 경제적이다."

 

- 2000배를 하고 난 뒤 학우들의 반응은?

"기사가 몇 군데 났는데, 학우들이 많이 본 것 같다. 학우들을 만나니 반응이 좋다. 대학생들의 노력을 선관위가 잘 받아들여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태그:#지방선거, #부재자투표, #부산교대, #연제구선관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