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천연 돌가루 그림을 그리고 있는 김기철 석채화가
▲ 김기철화백 천연 돌가루 그림을 그리고 있는 김기철 석채화가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지난 주 18일에서 21일까지 전북 무주군 무주읍 예체문화관 최북전시관에서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렸다. 듣기에도 생소한 돌가루 그림전시회이다. 석채화가 김기철씨의 천연 돌가루 그림전이었다.

김기철 화백이 돌가루 그림(석채화) 시연을 보이고 있다
▲ 돌가루그림 김기철 화백이 돌가루 그림(석채화) 시연을 보이고 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석채화에 쓰이는 원석과 쇠절구에 빻은 돌가루
▲ 석채화 석채화에 쓰이는 원석과 쇠절구에 빻은 돌가루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이번에 전시된 작품은 석채화(천연 돌가루 그림) 20여 점과 그 외 작품들이었다. 석채화는 400여 년 전 인도에서 처음 시작된 돌가루 그림으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천연 돌이 빚어내는 탁월한 빛깔과 질감으로 인해 '보석화'라 불리기도 하며 변하지 않는 돌가루의 특성을 따라 '만년화'라 하기도 한다.

돌가루에다 채색을 한 것이 아니라 돌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색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렸다
▲ 석채화 돌가루에다 채색을 한 것이 아니라 돌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색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렸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공작의 머리 끝부분(벼슬)은 금이고 눈은 다이아몬드로 된 그림이라고 한다
▲ 공작그림 부분 공작의 머리 끝부분(벼슬)은 금이고 눈은 다이아몬드로 된 그림이라고 한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영동, 금산, 무주 인근의 돌을 쓰곤 하는데 특히 무주의 돌을 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주위에 널린 돌을 쇠절구에 찧어 고운 가루를 내 석채화의 재료로 쓴다. 물론 그림에 맞는 다양한 색깔과 질감을 지닌 돌을 찾아내어야만 돌가루 그림이 가능하다.

무주에 있는 자연돌을 이용하였다. 매서운 독수리와 솔잎이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 석채화 무주에 있는 자연돌을 이용하였다. 매서운 독수리와 솔잎이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돌이 가진 천연 색깔을 유감없이 발휘한 화려한 등꽃
▲ 등꽃그림 돌이 가진 천연 색깔을 유감없이 발휘한 화려한 등꽃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충북 영동 출신인 석채화가 김기철씨는 한국서화작가협회와 한국미술협회 회원으로 전국작가 100인전 등을 비롯하여 호주, 하와이, 필리핀, 오스트리아 등 국내외 각종 초대전에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돌가루로 그렸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 새우그림 돌가루로 그렸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김기철 화백은 지난 30여 년간 석채화를 그려왔으며 이 분야에서 단연 돋보이는 존재이다. 그런 그가 진정한 마음으로 석채화를 그린 것은 10여년 정도 되었다고 한다. 그의 작품에서 신앙이 주를 이루는 것도 이 시기의 작품 활동에서 비롯된다. 그의 작품에는 신앙을 통한 소통과 사람들에게 믿음과 사랑, 소망을 주는 작가의 혼이 담겨있다. 

돌가루로 구현할 수 있는 장르도 다양하다
▲ 석채화 돌가루로 구현할 수 있는 장르도 다양하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이 그림에서 김기철 화백의 작품 의도와 진정성을 엿볼 수있다.
▲ 최후의만찬 이 그림에서 김기철 화백의 작품 의도와 진정성을 엿볼 수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최후의 만찬>이라는 작품에서 석채화에 대한 그의 생각을 알 수 있다. 그림 아래 왼편 6개의 돌은 투명하지 않은 데 비해 오른쪽에 있는 1개의 돌은 투명한 돌이다. "빛이 투명한 곳을 통과하듯이 마음 또한 맑고 투명해야 진리와 하나 될 수 있다." 그의 말에서 돌가루로 그림을 그리는 이유가 단지 돌가루의 변하지 않는 특성에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깊은 의도와 진정성을 엿볼 수 있다.


태그:#석채화가, #석채화, #돌가루그림, #최북전시관, #돌가루그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길의 미식가이자 인문여행자. 여행 에세이 <지리산 암자 기행>, <남도여행법> 등 출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