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날이 얄궂다. 설 명절을 앞두고 날씨가 엉망이다. 아침부터 비가 보슬보슬 내린다. 봄비라 여기기에는 이른 겨울비다. 비를 보니 괜히 서럽다. 숱한 얼굴들이 떠오른다. 철탑 위에서 찬비를 맞은 이도 있었다. 낡은 천막 안에서 찬비를 맞은 이도 있었다. 기계가 숨죽인 공장에서, 최루탄 연기가 자욱한 옥상에서 저 서러운 비를 맞은 이도 있었다.

따뜻한 온비가 되지 못한 차갑고 서러운 비, 찬 겨울비를 맞으며 인적도 드문 서울 도심 빌딩 숲 안쪽에서 홀로 피켓을 들고 서러움과 억울함을 이야기하는 이를 만나러 갔다. 하필 지금 비가 오느냐며 투정을 한다. 아니 비가 와서 잘됐는지 모르겠다. 빗물에 섞여 오늘은 서러운 눈물을 보지 않을 수 있을 테니.

비 맞으며 거리에 선 발레오 노동자

프랑스 대사관 앞의 발레오공조코리아 노동자
 프랑스 대사관 앞의 발레오공조코리아 노동자
ⓒ 오도엽

관련사진보기



2010년, 2월 10일 오전 10시께, 설 연휴를 사흘 앞둔 날. 충정로에 있는 프랑스대사관 앞으로 갔다. 비자를 발급 받으려는 사람들 열댓 명이 있을 뿐 고요하다. 이날 이곳에서 만나기로 한 이들은 천안에 산다.

발레오공조코리아(발레오)라는 프랑스 다국적기업이 인수한 자동차 장비 생산업체다. 발레오는 한일합작인 대한공조로 출범하여 일본, 프랑스 자본으로 옮겨 다녔다. 2005년에 발레오가 지분 100%를 소유하게 됐다.

2008년 자료에 따르면, 발레오는 전 세계 27개국에 121개 공장, 61개 연구개발센터, 9개 유통센터, 5만 4천명 직원을 가진 세계적 회사다. 천안에 있는 발레오에는 187명 직원이 일하고 있고, 생산직은 146명이다. 천안공장에서는 컴프레서를 주로 생산하여 삼성르노, 쌍용차, GM, 닛산, 마쯔다 등 국내외 자동차 회사에 납품한다.

발레오에 다니는 연제문씨가 있다. 1991년 청주기계공고 3학년 까까머리 때 발레오에 입사하였다. 이곳에서 근무를 하며 국방의 의무도 마쳤고, 결혼도 했고, 두 사내아이도 낳았다. 연제문씨가 철들고 한 모든 일은 발레오라는 회사 이름과 함께였다.

그러나 2008년에 산업재해를 당한 연제문씨가 1년 요양과 치료를 마치고 공장에 다시 출근했을 때 그를 기다린 것은 작업복도 기계도 아니다. 기가 막히게도 해고 통지서였다.

퀵서비스로 통보받은 '해고통지서'

발레오공조코리아 공장
 발레오공조코리아 공장
ⓒ 금속노조

관련사진보기


회사는 직원들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2009년 10월 26일 청산을 결정했다. 이어 나흘 뒤인 10월 30일 전 직원들에게 퀵서비스를 통해 해고통지서를 보냈다. 구조조정을 하는 것도 아니고 아예 청산을 할 회사가 어떻게 한마디 상의도 없이 직원들의 생계가 달린 일터를 공중분해 시킬 수 있단 말인가, 직원들은 그저 멍해질 수밖에 없다.

사회복지가 엉망인 대한민국에서 노동자 일터를 빼앗는 것은 뻥 뚫린 고속도로이고 청산된 노동자가 살 길은 첩첩산중이다. 대한민국 대통령님과 도지사님이 비싼 비행기를 타고 해외에 나가고 규제를 풀어 다국적 자본의 천국으로 만들며 달성한 위대한 외자유치 세일즈의 현주소다.

발레오에서 삶을 청산당한 노동자들은 사람 목숨보다 먼저 숨을 끊은 공장 기계 옆에서 시한부의 숨을 헐떡이며 설을 맞이한다. 차가운 바닥에 스티로폼을 깔고 그 위에 놓인 침낭에 번데기처럼 온몸을 구겨 넣고 설날 아침을 맞이한다. 자식들이 올리는 세배 대신 동료들과 구호를 외치며, 부모님께 올릴 새해인사 대신 투쟁가를 부르며 설날 아침을 맞이한다.

전기열선으로 데운 물로 고양이 세수를 한 뒤 투쟁조끼를 입고 설날 아침을 맞이한다. 한국 실정법에 맞춰 공장을 없앴으니 그만이다, 라고 오만을 부리는 프랑스 자본에 대한 분노를 씹으며 설날 아침을 맞이한다.

맘 편히 설 맞이하는 사람들, 얼마나 될까

공장 안에서 밥을 배식받고 있는 발레오공조코리아 노동자
 공장 안에서 밥을 배식받고 있는 발레오공조코리아 노동자
ⓒ 금속노조

관련사진보기


발레오 노동자를 만나고 돌아온 뒤로 비는 진눈깨비로 바뀌었다. 설 연휴 고향 찾는 길이 쉽지 않다. 사실 서민들은 날씨보다는 비어가는 아니 거덜 나는 살림살이 때문에 더 걱정이다. 이번 설을 편안히 맞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눈이 오지 않더라도.

헐린 공장 앞에서 설을 맞는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빼더라도, 천막도 없이 길바닥에 주저앉아 설을 맞는 재능교육 학습지 선생 빼고라도, 쌍용자동차 해고자 말고라도, 구조조정을 앞둔 한진중공업 노동자들 말고라도, 어느 누가 올해 설을 넉넉한 마음으로 맞이하겠는가?

덧붙이는 글 | 참세상에도 보냅니다



태그:#발레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