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월 28일 개봉돼 우리의 고유음식 김치의 다양한 맛을 선보이고 있는 영화 <식객:김치전쟁>이 관객몰이에 나서고 있다.

 

이 영화는 100여 가지가 넘는 전국 팔도의 김치를 선보여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들의 입샘을 자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식객>은 극장 주변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식당 주인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영화로 손꼽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 <식객>이 입소문을 타고 점점 관객이 늘어나면서 이 영화 속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소금이 태안에서 만들어진 전통방식의 소금이라는 점이 이목을 끌고 있다. 이로 인해 태안 전통 소금 '자염'이 재조명되고 있다.

 

극중 세계적 요리사 배장은(김정은)이 최고의 소금을 얻기 위해 전통방식의 소금을 만드는 과정이 태안군 근흥면 '자염 체험장'에서 촬영된 것이 알려지면서 태안 자염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갯벌에서 소 괭이질부터 삽질, 가마솥 끓이기까지 자염 생산절차를 거쳐 만든 자염을 이용해 김정은이 김치를 만드는 장면은 정성이 들어간 재료의 중요함을 강조하는 이번 영화 내용의 백미로 꼽힌다.

 

태안군 근흥면 낭금마을서 생산되는 자염은 수천 년을 이어온 우리의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웰빙 소금이다.

 

 

태안 자염은 영농조합법인 소금굽는 사람들(대표 신세철)에 의해 '태안 자염'이란 이름으로 지난 2002년 최초 시판된 뒤 판매량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판매 초기에는 자염의 인지도가 낮아 일부 고급 음식점에 납품되는 수준이었으나 최근 2~3년 사이 자염의 뛰어난 성분과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가을 김장철을 중심으로 한해 평균 2만kg 정도가 판매되고 있다.

 

특히 이번 영화를 통해 태안 자염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앞으로 소비자 저변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염은 칼슘이 천일염에 비해 약 1.5배, 유리 아미노산이 5배나 높은 반면 염분은 상대적으로 적어 김치를 담글 때 유산균 개체수를 증식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염은 한 번 생산하는 데 8~10시간이 넘게 걸리고 생산량 또한 적어 대량생산이 어려운 것이 최대 단점이다. 이에 법인은 소량 명품화 전략으로 '태안 자염'의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한편, 태안군은 지난 1월 27일부터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0 대충청방문의 해 공동개막식'에서도 농특산물 판매관 등의 부스를 설치해 태안산 자염을 비롯한 웰빙 식품을 홍보하기도 했다.

덧붙이는 글 | 태안신문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태그:#낭금마을, #식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태안의 지역신문인 태안신문 기자입니다.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밝은 빛이 되고자 펜을 들었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