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요즈음

보름달도 많이 힘드신가보다

걸음걸이가 고단해 보인다

오늘따라 무슨 상심한 일이라도 있는지

무척이나 쓸쓸한 그를

뒤에서 말없이 따라가는 일이

오늘 하루 일과라면 일과다-홍일선, '저기 마을 숲이 있다' 몇 토막 

 

농민시인, 통일시인, 참여시인 등으로 불리는 홍일선 시인이 한국문학평화포럼 제4대 회장에 뽑혔다. 홍 시인은 그동안 한국문학평화포럼 사무총장을 거쳐 상임 부회장으로 있으면서 이승철 사무총장과 함께 한국문학평화포럼이 매년 10차례 벌이는 문학축전 행사와 노무현, 김대중 추모시집 및 추모 행사를 앞장 서서 이끌었다. .  

 

한국문학평화포럼은 2일 "2010년 1월 29일(금) 서울 인사동 <시인>에서 개최된 2010 집행부 회의에서 임기가 만료된 김영현 회장 후임으로 홍일선(洪一善, 60세) 시인을 한국문학평화포럼 제4대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추모시집 행사와 작가 김종성 연작소설 <마을> 출판기념회가 같이 열린 이날 한국문학평화포럼 집행부 회의에는 임헌영(문학평론가, 한국문학평화포럼 2대 회장), 김영현(소설가, 한국문학평화포럼 3대 회장), 리명한(소설가, 상임고문), 김준태(시인, 상임고문), 이승철(시인, 사무총장), 정용국(시인, 사무국장), 이소리(시인, 이사), 윤일균(시인, 이사), 손태연(시인, 이사) 등이 참석했다.

 

 

"시인과 농사꾼은 한 가지야"

 

시인 고은은 홍일선 시인이 지난 해 펴낸 <흙의 경전>에 대해 "시인과 농사꾼은 한 가지야. 말을 다루는 것과 땅을 모시는 것이 일맥상통하니까. 내가 당신 시집 한 숨에 다 읽었어. <聖시화호>까지 말이야 대단해! 이런 작품들을 귀하게 잘 다루어야 해"라며 그가 쓴 시를 높이 평가했다.

 

한국문학평화포럼 이승철(시인) 사무총장은 "홍일선 시인은 창립 이후 한국문학평화포럼을 내 집처럼 드나들었다"라며 "그는 한반도 대운하반대 문화예술인 공동연대 활동 등 문학운동에 기여한 제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임기 2년의 한국문학평화포럼 제4대 회장으로 추대하기로 결의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문학평화포럼은 지난 2004년 10월 창립해 시인 고은(현, 한국문학평화포럼 명예회장)을 초대회장으로 앉혔다. 이 단체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약 50여 차례에 걸친 문학축전 행사를 열었으며, <6월 민주항쟁 20주년 기념시집> <재소 고려인 강제 이주 70주년 기념사업- 재소 고려인의 노래를 찾아서> 출간 사업 등을 펼쳤다.

 

지난 2009년도에는 새터민(탈북주민) 교육기관인 안성 하나원과 양주 하나원 분원 강당에서 <새터민 문학축전>을 열었고, 경기도 여주, 안산, 부천, 오산, 충남 당진, 강원 정선 등에서 이주노동자와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희망, 평화, 상생을 위한 2009 문학축전> 행사를 10회에 걸쳐 열었다. 이 자리에도 늘 홍일선 시인이 함께 했다.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시인

 

"시인의 첫 마음으로의 회귀는 가난하고 작지만 가장자리에 서는 일이다. 그곳에는 위계와 척도와 부와 지배의 힘을 파괴하는 빈자의 혁명의 역사가 있다. 그래서 그 가장자리에는 눈물 그렁그렁한 사람들이 있고,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시인이 있고, 눈물 많은 어머니가 있고, 읽어도 읽어도 다 읽을 수 없는 흙의 경전이 있다"-시인 백무산.

 

이번에 한국문학평화포럼 4대 회장으로 뽑힌 홍일선 시인은 1950년 경기도 화성 동탄면 석우리 돌모루에서 태어나 1980년 계간 <창작과비평> 여름호에 '쑥꽃' 등 5편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문단에 나온 뒤 시인 김정환, 김용택, 황지우, 나종영, 김사인, 채광석, 김도연, 정규화, 선경식, 박승옥 등과 함께 <시와경제> 동인으로 활동했다.

 

1984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간사를 맡았으며, 그 뒤 <민족문학작가회의> 사무국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 부위원장을 거쳐 <한국작가회의> 이사를 맡았다. 시집으로는 <농토의 역사> <한 알의 종자가 조국을 바꾸리라> <흙의 경전>이 있다.

 

"한국문학평화포럼 4대 회장을 맡아 짐이 한층 더 무거워졌다. 앞으로 농사를 짓듯이 한국문평화포럼을 옥토로 만들겠다"고 말하는 그는 경기도 여주 점동면 도리 생태마을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한국작가회의> 자문위원, 시 전문지 <시경> 편집주간, 대운하 반대 문화예술인공동연대 공동위원장.

덧붙이는 글 | <유


태그:#홍일선 시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