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도 군포시 군포역 주변의 중심으로 노후주택 밀집지역인 당동, 금정동 일대 81만㎡애 대한 도시 재정비를 통해 임대주택 2328가구를 포함, 모두 1만2746가구의 주택을 건설할 군포역세권 뉴타운사업에 대해 오는 6일부터 20일까지 주민공람을 실시한다.

 

군포역세권 뉴타운사업은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8일까지 주민공람 중에 있는 금정뉴타운 사업에 이어 군포 관내에서 두번째로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군포시는 "지난해 12월 2일에 열린 경기도재정비위원회의 자문 결과를 반영한 재정비촉진계획(안)에 대하여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주민공람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군포역세권 뉴타운사업은 군포역 일원 상업·공업지역을 비롯 전철 4호선 남쪽 부지 당동, 금정동 일대 858,376㎡를 대상으로 도심의 역세권 기능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도시재정비 사업으로 경기도에서 지정한 18번째 뉴타운 사업지구다.

 

경기도는 지난해 7월 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하여 현재 도시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중으로 군포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는 중심지형으로 오는 2020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공람자료에 따르면 군포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 계획안은 1만2790세대를 건립하는 계획으로 군포역 일원 복합 입체도시 개발계획(GLORY) 및 동서로 열린 공원계획(GREEN), 커뮤니티 코어 복합화계획(GLAMOUR), 커뮤니티가로 조성계획(GALLERY) 등을 그리고 있다.

 

군포역세권 촉진구역중 6개 상업.공업지역은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주거지역인 8개 구역은 재개발사업으로 추진되며 도시환경정비사업 구역은 380~610%, 주택재개발은 230~350%까지 용적률이 적용되며 주택지는 20~25층, 상업지역은 35층 이상까지 가능하다.

 

 

심의위원회 공업지역 존치 결정... 개발면적 다소 축소

 

하지만 경기도 도시계획재정비위원회는 심의 과정에서 군포뉴타운 계획 면적에 포함돼 있던 두산유리 부지(4만6천288㎡)를 제외시켜 당초 15개 구역 85만8376㎡에서 축소됐다. 또 촉진구역은 14개 구역 81만2088㎡로 변경돼 개발면적 규모가 다소 줄어들었다.

 

이는 위원회가 2008년 1월 '군포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지정(안)'을 심의하면서 뉴타운 예정지 내 공업지역을 존치토록 하고 인근 당동근린공원을 녹지축으로 연결해 뉴타운 개발계획을 보다 합리적으로 수립하라고 주문한 것과 맥락을 같이해 관심을 모은다.

 

공람장소는 시청 5층 뉴타운사업 회의실과 군포1동 주민센터로 주말과 공휴일에도 시청에서 열람할 수 있다. 주민들은 택지용지, 기반시설, 공간시설, 공공문화 설치계획 등이 포함된 계획(안)에 대해 의견이 있을 경우 공람기간 내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

 

군포시는 주민공람을 마치면 1월 중으로 시의회 의견청취와 주민공청회를 거쳐 최종 계획안을 만든후 올 3월 경기도에 승인을 신청해 군포역세권 뉴타운 계획을 결정·고시한다는 방침으로 앞서 공람을 실시한 금정뉴타운 개발안과 함께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주민 내쫓는 뉴타운 안돼... 누구를 위한 개발 관건

 

한편 최근 뉴타운 개발사업과 관련 '원주민을 내쫓고, 개인 재산권을 침해하고 보상이 불투명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며 군포에서도 뉴타운 사업을 취소하라는 반대 움직임과 더불어 주민과 시, 주민간에도 갈등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군포시가 추진중인 금정과 군포역세권 뉴타운지구에는 많은 토지소유자들 및 세입자들이 '뉴타운 취소추진위원회', '뉴타운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다.

 

군포뉴타운사업에 반대하는 김모씨는 "입주를 해도 은행이자를 감당하지 못할 사람이 많아 결국 살던 곳에서 떠나는 주민이 적지 않을 것이다"며 "멀쩡한 집 부수고 원주민을 쫓아내는 것이 과연 지역주민을 위한 사업이라 할 수 있는지 묻고싶다"고 꼬집었다.

 

군포시의회 이경환 의장은 "어떤 개발 방식이든 마찬가지로 주민 동의 없이는 사업을 진행될 수 없다"면서 "군포시는 주민들에게 뉴타운 사업에 대해 분명하고 상세하게 이해시켜야 할 책임이 있으며 주민들도 공람을 통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군포YMCA 박은호 사무총장은 "도시의 재정비도 중요하지만 뉴타운 개발이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를 군포시와 정책개발 전문가들에게 묻고싶다"며 "반목과 대립보다는 지혜의 논의를 통해 거주민의 입장과 눈높이에서 도시재정비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그:#군포, #군포역세권, #뉴타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