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7일 7명(송용운.정상용.윤여강.김윤주.박수영.설은주.최혜원)의 선생님이 서울행정법원 법정에 섰습니다. 꼭 1년 전 이날 이 선생님들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파면·해임통보서를 받았습니다. '일제고사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알린 게 징계 사유였습니다. 7명의 선생님은 지난 5월 서울시교육청을 상대로 해임처분 취소 행정소송을 냈고, 17일 결심 공판이 열렸습니다. 2명의 선생님은 구두로, 5명의 선생님은 최후진술문을 낭독했습니다. 눈물을 흘리는 선생님도 있었습니다. 결과는 예측하기 힘듭니다. 2009년 마지막 날인 31일 1심 선고가 예정돼 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사전에 양해를 얻은 4명의 선생님의 최후진술문 전문을 싣습니다. 아이들 품으로 돌아갈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는 선생님들의 염원이 이뤄지길 기원하며…….   <편집자말>

존경하는 재판장님께.

 

저는 해직 당시에 발령받은 지 3년밖에 지나지 않은 새내기 교사였습니다. 비록 경력이 짧아 다듬어지지 않은 면이 있을지언정, 열정 하나만큼은 다른 누구에게 지지 않는다고 생각해왔습니다.

 

발령 나던 첫 해 3월의 첫날 마주한 저만을 쳐다보던 수십 개의 눈동자 앞에서 부끄럽지 않게 살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담임 편지를 보내 학급 소식을 전하고 학부모와 소통하려고 노력했고, 또 노는 토요일이면 교과 과정과 연계하여 아이들, 학부모님들과 함께 학교 바깥으로 체험학습을 다녀왔습니다.

 

아이들 글 하나 하나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 직접 학급문집을 만들어 나누어주었고, 밤늦도록 노트 몇 권을 꽉 채울 만큼 열심히 수업 준비를 했습니다. 혹여나 공부가 모자라 가르침에 부족함이 있을까 싶어 글쓰기, 연극, 책 읽기 모임에 다니며 열심히 배우기도 했습니다.

 

이런 제 노력을 지켜본 학부모님들도 하나둘씩 저를 믿어주기 시작했고, 아이들 또한 마음을 열어주었습니다. 저는 이렇게 열심히 교사로서 살아가는 것이 제 인생의 행복이라고 굳게 믿었습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정말 '좋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 제 목표이자 꿈이었습니다.

 

그 누구보다 열정 있던 저에게, 떠나라니요

 

그러나 저는 교실에서만큼은 이렇게 행복했을지언정 교실 밖에서는 너무나 불행했습니다. 이런 새내기 교사의 열정어린 교육활동을 격려하고 지원해주기는커녕 자신들의 승진에 문제가 생길까봐 염려하기에 급급했던 관리자들의 모습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부장교사들을 불러 잘 좀 길들여보라며 "최 선생, 적당히 해. 적당히만 하면 힘들 것 없잖아"하며 막아서기 바빴던 그들이 저에게 '성실의 의무'를 위반했다며 교직에서 떠나랍니다. 그 누구보다 아이들과 학부모님들에게 성실하려고 노력해온 저로서는, 과연 국가와 관리자에 대한 성실이 진정 교사로서의 성실인지 묻고 싶습니다.

 

일제고사 보던 날, 체험학습 떠난 아이들에게 교장선생님께서는 직접 전화를 걸어 '동생이 몇 살이냐?', '동생도 이 학교 올 것 아니냐', '학교 전체에서 당신 아이만 시험을 안 봤다', '시험을 보든 안 보든 아이를 교장실로 부를 것이다', '시험 안 보는 것은 군대 안 가는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학부모님들께 이야기했습니다. 교장선생님께서 진술서에 정중하게 설득했다고 쓰셨던 이 통화가 학부모님들께는 협박과 강요였습니다.

 

심지어는 밤늦은 시간에 집까지 찾아가 시험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미 전날 전화 통화로 아이들과 부모님들의 의지를 확인했는데도 마치 학부모들이 '다 가는 줄 알고 그냥 보냈다'며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 만약 정말 저에게 속아서 체험학습에 참여한 것이라면 학부모님들이 '자신의 선택이었다'는 내용의 진술서를 쓸 수 있었을까요?

 

정책 지키기 위해 교사와 아이들을 떼놓으실 겁니까

 

 

교과부와 교육청은 아이들의 교육권을 짓밟았다며 졸업을 두 달 남긴 6학년 아이들의 담임을 강제로 교실에서 끌어냈습니다. 이미 1년 다 되어가는 시간을 믿음과 사랑으로 함께 한 담임교사와 아이들을 강제로 떼어냈습니다.

 

심지어는 제가 학교로 돌아오지 못하게 하려고 교실 문을 바깥에서 자물쇠로 잠그고 온 학교의 문을 다 잠갔습니다. 방화 셔터까지 내리고 학교 기사님을 시켜 아이들을 감시하게 했습니다. 선생님 돌려달라고 울부짖으며 유리문에 매달리는 아이들을 떼놓기 위해 경찰을 부르기까지 했습니다. 과연 아이들의 교육권을 짓밟은 것은 누구입니까?

 

벌써 해직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그 때 아이들의 울음소리, 담임으로 서지 못한 졸업식의 풍경을 생각하면 눈물이 흐릅니다. 아직도 아이들은 저보고 선생님 언제 학교로 돌아 오냐고, 교복 입고 교실로 놀러가고 싶다고 이야기합니다.

 

1년 동안 진정 깨달은 것이 있다면, 저는 어쩔 수 없이 천생 선생이라는 사실입니다. 복직해서 다시 아이들 앞에 서고 싶습니다. 제가 앞으로 만나서 더 사랑해주어야 할 아이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이미 파행임이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는 국가의 교육 정책을 지키기 위해 아이들을 아끼고 사랑하는 교사들을 교직에서 몰아내야만 하는 것인지 다시 한 번 고민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태그:#해직교사, #최후진술문, #최혜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