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해바다에서 해가 제일 먼저 비춰주는 곳 부산도심 속 산소탱크 황령산돌탑을 만나기 위해 남구 대연초등학교뒤편 임도를 따라 올라갔다. 재개발한다는 간판들이 간혹 띄면서 온통 주위는 쌈지 밭으로 꼴불견이다. 이 길을 들머리로 황령산을 오른다. 황령산을 오르는 길은 수십 갈래다. 남구(청장 이 종철)에서 등산길을 잘 만들어 놓았다. 그래도 처음 산을 타는 사람은 종아리가 쭉쭉 당긴다. 등줄기에는 땀이 비 오듯 쏟아진다.

 

필자는 뚜벅이다. 천천히 앞만 보고 산길을 재촉해 나지막한 야산에 운동기구가 즐비한 곳에 도착했다. 여기서 기교를 좀 부리고 정상을 향해 앞만 보고 걷는다. 시원한 초겨울바람을 가슴에 안고 흐르는 땀을 식히며 천천히 갈 길을 재촉하여 첫 산모퉁이를 돌아가면 오른쪽 먼 곳에는 활짝 열린 광안대교가 눈앞에 펼쳐진다. 동해바닷물은 은빛으로 반짝인다. 화물선이 오고 간다. 간혹 고기 잡는 어선도 눈에 띈다.

 

바다를 등지고 조금 오르다보면 건너편은 황령산을 깎아 건축한 스키 돔이 산의 조망권을 망쳤다. 난개발이라고 야단법석을 떨어도 힘 있는 자에게 당해내지 못한 결과물이다. 민초들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한을 가슴깊이 태우는 현실이 아닌가. 업주는 부도내고 잠적했다. 며칠전 자수했다는 기사를 봤다. 처음부터 건축이 잘못됐다. 부산경제에 실내스키장이 가당한가. 밥 먹고 살기도 힘든데 실내스키장 갈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바람고개는 동서로 바람이 불어오는 중간 쉼터다. 시원한 바람이 얼굴에 땀을 식힌다. 물 한 잔을 마시고 사자 봉(400m)으로 오르는 길은 너무 가파르다. 편백나무 숲으로 방향을 잡았다. 지난 주 백리 길 걷기대회에서 완보 후 후유증으로 종아리에 이상이 생겨 내 몸에 눈높이를 맞춰 낮은 코스인 돌탑이 있는 곳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돌탑은 산과계곡의 돌을 주워 모아서 쌓았다. 높이가 5m정도 된다. 그리고 주위에는 바닥 돌을 깔고 중앙에 식탁을 만든 곳이 5곳이나 된다. 식탁에 음식을 올려놓고 먹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황령산을 오르는 산 꾼들은 이제 돌탑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 돌탑을 모르면 황령산을 올랐다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그만큼 이 돌탑은 유명하다. 어떤 사람들은 탑 앞에서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기도를 한다.

 

탑 주위에는 기암괴석이 즐비하다. 사람들이 다니기 좋도록 석축도 쌓았다. 석축 주변은 국화며 진달래 철쭉 동백나무를 심었다. 이것이 황령산의 명물 돌탑이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모두 탑을 쌓은 사람에게 감사하다고 말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쌓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환경운동가는 자연을 훼손한다고 관청에 민원을 넣고 훼방을 놓았다.

 

이탑을 쌓은 사람은 어느 아버지와 아들이 일 년 동안 돌을 날라 쌓았다고 한다. 이 많은 돌을 험악한 오솔길을 통해 지게로 져다 쌓은 것이다. 너무 공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필자가 돌탑(공든 탑)이라고 한다. 지금은 등산객들이 줄을 잇기 때문에 길은 산 꾼들의 발자취로 잘 만들어졌다. 인위적으로 만든 등산로보다 더 다져졌다. 사람의 발길이 무섭다.

 

돌탑을 보는 사람은 공로에 감탄할 뿐이다. 만든 사람은 얼마나 많은 땀과 정성을 쏟았는지 가히 짐작이 간다. 이렇게 만들어 놓으니 찾는 사람은 돌탑에 지극정성 기도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대한민국을, 부산을 혹은 가정과자식을 위해 기도를 열심히 하고 있다.

 

부산의 아침은 동해바다에서 떠오르는 아침태양이 황령산돌탑을 제일먼저 비춰준다. 부산항을 넘나드는 선박들의 안녕과 어선들의 만선을 기원한다. 부산시민의 만수무강과 발전을 위해 희망과 용기를 더해준다. 돌탑은 아름아름 산 꾼들의 입소문으로 등산로는 남녀노소는 물론 애완견까지 동참하여 줄을 잇고 있다. 황령산의 보물이요 부산의 보배다. 훼손하지 말고 영원히 보고 즐기고 가꾸고 보존해서 후손에게 물려줄 책임은 산이 좋아 산을 오르는 산꾼들이 져야한다.

 

덧붙이는 글 | 국제신문에도 송고완료.


태그:#황령산 돌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