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 강행에 따른 충청권의 반발이 연일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충남·북 시·도의회 의장들도 "세종시 수정은 수도권공화국에 파묻혀 국가균형발전을 좌초시키려는 작태"라며 '원안추진'을 촉구했다.

 

김학원 대전시의장과 강태봉 충남도의장, 이대원 충북도의장 등 충청권 3개시·도 의회의장단은 18일 오전 대전시의회에서 '세종시 원안 건설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행정도시 건설은 수도 서울에 집중된 수도권 과밀화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역사적 사명으로 국가 백년대계를 가늠할 최대의 국책사업"이라며 "특히, 행정도시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그리고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함께 국토균형발전의 '4종 세트'"라고 밝혔다.

 

이어 "따라서 행정도시를 수정하면 혁신도시, 기업도시, 공공기관 지방이전도 수정해야 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전 국민을 또 다시 갈등과 분열의 수렁으로 몰아넣게 될 것이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이명박 정부를 향해 "여당 단독으로 강행 처리한 '미디어법'은 국민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행을 강행하면서, 왜 수많은 토론과 공청회를 거치고, 여야가 합의해서 제정한 행정도시특별법은 충청인의 '원안추진'이라는 피맺힌 절규에도 불구하고 수정하려고 하느냐"며 "앞뒤가 맞지 않는 이중적 태도에 국민들은 아연실색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지금 정부는 자족기능 부족과 행정 비효율성 등을 내세워 법도 무시하고, 국민과의 약속도 헌신짝처럼 저버린 채 행정도시 원안 변경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무산시키려는 야만적인 작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망령된 수도권 공화국에 파묻혀 행정도시 건설을 말살하려는 작태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끝으로 "우리 충청권 의회 의장단은 일련의 사태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500만 충청인과 2500만 지방민들과 함께 행정도시 건설이 원안대로 추진될 때 까지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명박 정부에 대해 ▲행정도시 건설을 원안대로 추진할 것 ▲행정도시 백지화 음모를 즉각 중단할 것 ▲정부부처 이전고시를 특별법대로 이행할 것 ▲혁신도시와 공공기관 이전을 원안대로 추진할 것 ▲국회는 세종시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할 것 등을 촉구했다.


태그:#세종시, #김학원, #강태봉, #이대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