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나라당이 12일 '세종시 특별위원회'(위원장 정의화 의원·세종시특위)를 발족, 첫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역할과 관련해 당내에서조차 "허수아비 특위"라며 싸늘한 눈길을 보내고 있어 험로가 예상된다.

 

세종시특위 발족... 정의화 위원장 "정해진 전제는 없어"

 

특위는 정의화 위원장을 비롯해 이사철(간사)·권경석·허천·이계진·전여옥·주성영·백성운·안홍준 의원과 원외에서는 한대수 제2사무부총장, 이훈규 충남도당위원장, 오병주 충남 공주·연기 당협위원장, 이수희 서울 강북을 당협위원장 등 13명으로 구성됐다.

 

정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특위 발족을 알린 뒤 "세종시와 관련해 어떤 방안이 국가와 민족의 발전, 미래에 도움이 될지 판단할 과학적인 데이터가 없다"며 "특위 활동을 통해 국민과 국회의원들의 판단을 돕겠다"고 활동 목적을 밝혔다.

 

이어 그는 "공주·연기 등 충청권 현장 민심, 전문가, 당내 의원들의 의견 등을 듣고 세미나도 열어 당론을 결정하는 데 판단의 재료를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 위원장은 "반드시 원안을 고수해야 한다든지, 수정안을 조속히 만들어야 한다든지 하는 예단이나 전제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원안 수정"을 주장하는 당내 '친이' 진영과 "원안 불변"을 고수하는 '친박' 진영의 시각을 고려한 말이다.

 

그러나 정부와 당의 주류인 친이 측을 비롯해 당 지도부가 세종시 원안의 핵심인 행정부처 이전을 대폭 축소하거나 삭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여서 특위의 역할을 놓고 뒷말이 많다. 친박 측에선 대놓고 "이미 정해진 방향대로 가기 위한 들러리이자 허수아비"라며 냉담한 태도다.

 

'친박' 시선 '싸늘'... "들러리 특위"

 

특위가 당내의 여론을 제대로 수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박근혜계에선 '특위 무위론'을 제기하며 참여하지 않겠다고 빗장을 걸어둔 상태다.

 

특위 명단에 주성영·안홍준·이계진 의원이 들어가 있지만, 박근혜계는 "계파 차원의 참여는 아니다"라며 손을 내젓는다. 정 위원장도 "주 의원은 제1정조위원장, 안 의원은 제1사무부총장, 이 의원은 홍보기획본부장을 맡고 있어 '당연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도이전 반대' 소신을 가진 이 의원을 빼면 나머지 두 의원들은 활동을 하더라도 소극적 태도로 임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주 의원은 해외출장 중으로 참여 확답을 받지 못한 상태라 귀국 후 입장을 들어봐야 한다.

 

박근혜계의 한 의원은 "당연직이라는 명분으로 친박 의원들을 끌어들여 모양새만 갖춘 '억지 특위'"라고 쏘아붙였다.

 

정 위원장은 "필요에 따라 박근혜 전 대표와 만나 머리를 맞대고 논의할 수도 있는 것"이라며 논의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박 전 대표는 이미 특위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다.


태그:#세종시특위, #정의화, #박근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