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박근혜 "아버지의 궁극적인 꿈은 복지국가 건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26일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거행된 박정희 전 대통령 30주기 추도식 추도사에서 "아버지의 궁극적인 꿈은 복지국가 건설이었다"고 밝혔다.
ⓒ 김윤상

관련영상보기


박정희 전 대통령 30주기 추념식이 26일 오전 동작동 국립묘지 박 전 대통령 묘역에서 거행되었다.

민족중흥회가 주최한 이 날 추도식에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와 박지만씨 부부 등 유가족과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 허태열 최고위원 등 한나라당 의원 30여 명과 김기춘 전 법무부장관, 노재현 전 국방부장관, 고병우 전 건설부장관 등이 참석해 박 전 대통령의 묘역에 헌화하고 참배했다.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 가수 은지원이 참석하고 있다.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 가수 은지원이 참석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특히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참석한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로 정치권에서는 내년 지방선거까지 정국 현안을 둘러싼 박 전 대표와의 협조적 관계를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 우세하다. 이날 추도식에는 가수 은지원씨도 참석해 눈실을 끌었다. 은씨는 박 전 대통령 누나의 손자로 박근혜 전 대표에겐 조카뻘로 알려져 있다.

이날 안병일 상록수 새마을 농촌지도회장은 추도사에서 "44년 전 향토문화 공로상을 수상해 청와대에서 박 전 대통령을 예방했을 때 '잘 사는 농촌이 될 것'이라며 격려하던 각하의 눈빛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고 회상한 뒤 "박 전 대통령께서는 '농공병진' 정책을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다지셨다"고 회고했다.

한명수 전 해군 참모총장도 추도사를 통해 "박정희 전 대통령은 당시 UN에 등록된 120여 개 국가 중 1인당 국민소득이 76달러, 인도 다음으로 못 사는 나라였던 대한민국을 바다를 통한 수출입국으로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도록 했다"며 고인의 업적을 평가했다.

유가족 대표로 인사말을 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30년 전 오늘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고, 슬픔조차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충격이었다"며 "지난 30년 동안 아버지에 대한 많은 말과 일들이 있었지만, 아직 많은 국민들이 아버지를 생각하고 그리워하는 것이 아버지가 어떤 분이었고 어떤 대통령이었는지 잘 증명해준다"고 말했다.

이어 박 전 대표는 "국민들의 삶의 질과 국격이 높아져 애국가를 듣기만 해도 가슴이 찡해지는 국가를 만드는 것이 아버지의 꿈이셨다"면서 "추도식에 참석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참석자들에게 사의를 전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분향하기 위해 동생 지만씨와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분향하기 위해 동생 지만씨와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내빈들이 분향하기 위해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박정희 전대통령 서거 30주기 추도식에서 내빈들이 분향하기 위해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이날 전국에서 40여 대의 전세버스 편으로 상경한 지방 추모객들을 포함한 추도식 참석자들은 경찰 추산 2500명. 이들 중에는 특히 '2012년 그날의 승리를 위하여, 근혜동산', '대한민국의 희망, 참 좋은 지도자 박근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스카프를 두른 참석자들이 눈에 띄었다.

경북 성주에서 온 이성자(62)씨는 "박 전 대통령이 계속 살아계셨다면 과연 잃어버린 10년이 있을 수 있었을까 생각한다"며 "이제 강산이 세 번이나 변했으니 박 전 대통령의 업적에 대한 재평가와 더불어 추모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고엽제 전우회의 김성락(65)씨는 "박정희 대통령은 새마을 운동이라는 세계적인 성공 모델을 만든 위대한 지도자"라고 평가하며 "박 전 대통령의 정신을 되살려야 병들어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나라사랑하는 정신을 심어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추념식이 끝난 후 일부 추모객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 쪽으로 이동하려 했으나 묘소 70~80m 밖에서 경찰의 원천봉쇄에 막혀 들어가지 못하고 해산했다.


태그:#박정희, #10.26, #박사모, #박근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