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법원 복직 판결을 받은 비정규직의 복직 등을 요구하며 지난해 12월 24일부터 31일간 70m 높이의 굴뚝에서 고공농성을 벌인 후 구속 수감됐던 민주노총울산본부 이영도 전 수석부본부장이 10월 23일 보석으로 풀려난 가운데 진보신당 조승수 의원이 "이 사태는 진행형"이라며 정몽준 대표의 사과와 현대중공업 경비대 해체를 촉구했다.

 

현대미포조선 굴뚝 농성은 지난 2003년 이 회사 사내하청기업 노동자 30여명이 5년 간의 법정 투쟁 끝에 2008년 7월 10일 대법원으로부터 "현대미포조선이 직접 용인기업 30명을 채용한 것과 같은 근로계약관계가 성립되어 있다"는 판결을 받았지만 회사측이 이들을 복직시키지 않으면서 비롯됐다.

 

당시 굴뚝 농성에서는 회사 측이 음식물 공급을 차단하면서 인권침해 논란이 일었고 배고픔과 추위에 떨던 2명의 농성자 중 현대미포조선 정규직이 포함돼 주목받기도 했다. 농성이 장기화되자 진보신당 심상정·노회찬 대표가 굴뚝밑에서 릴레이 단식농성에 동참하는 등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됐고, 31일 만인 2009년 1월 23일 극적 합의를 통해 농성을 풀고 농성자들이 헬기로 구조됐지만 이들은 2월 9일 구속됐다. 

 

하지만 이 사건 종결 후 10개월이 지나 비정규직 30여명은 복직이 됐지만 이들을 도왔던 정규직 활동가들은 현재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승수 의원은 "당시 합의과정에서 약속한 이면협약서는 지켜지지 않고 비정규직 복직을 지원해온 정규직 현장활동가들이 중징계를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며 "특히 (굴뚝농성 당시인) 2009년 1월 17일 현대중공업 경비대의 심야노동자 테러사태 또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비대 심야 테러는 지난 1월 17일 밤 11시 40분 경, 진보신당 울산시당준비위 노옥희 위원장과 조승수 부위원장, 소속 지방의원, 노동자 등 10여 명이 있던 굴뚝 밑 단식농성장에 50여명(회사 측 주장)~100여명(현장에 있던 노동자 측 주장)의 현대중공업 경비대가 헬멧을 쓴 채 농성장으로 몰려와 폭행을 휘두른 사태를 말한다. 

 

당시 경비대는 소화기를 발사하고 단식농성장 비닐 천막과 물품, 농성자 및 민주노총 방송 차량에 있던 물품들을 농성자들이 피워 놓은 장작불에 태운 후 헬멧과 각목을 휘둘렀고, 단식농성 중이던 현대미포조선 조합원 김석진씨가 경비대가 휘두른 소화기에 수차례 머리를 맞아 병원으로 실려가는 등 부상자가 여럿 나왔다.

 

당시 현장에 있던 울산 동구의회 서영택 의원은 "100여 명의 건장한 사람들이 헬멧을 쓴 채 소화기를 쏘며 해산하라고 윽박지르는 순간 '백골단이 나타났다'고 생각했다"며 "일반상식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눈 앞에서 벌어졌다. 현대 백골단으로 생각했다"고 증언했었다.

 

이에 대해 당시 경비대 측인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경찰과 합의한 기본 물품(생수와 초코렛)이 굴뚝으로 올라가고 있는데도 노동자들이 음식물을 올리려고 해 이를 막은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오히려 회사측 사람들이 7명이나 다쳐 되레 우리가 피해자"라고 주장했었다.

 

조승수 의원은 23일 "정몽준 대표는 공식 사과하고 조직폭력배와 다름없는 현대중공업 경비대를 즉각 해체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경비대가 노동자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테러를 자행하는 것은 현대중공업의 실질적인 책임 하에 이뤄질 수밖에 없다"며 "회사의 경비대는 경비가 목적이지 노동자 테러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조승수 의원은 또한 "경찰청장은 울산지방경찰청과 울산동부경찰서의 직무유기를 철저히 조사하여 책임자를 엄중 문책해야 한다"며 "경찰의 직무유기로 사측의 폭력이 더 이상 용인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태그:#조승수, #현대미포조선 김석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