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시교육청이 최근 전국 16개 광역시ㆍ도에서 특수교육이 '으뜸' 수준으로 평가됐으나, 정작 일부 초ㆍ중ㆍ고등학교는 장애인을 위한 승강기 운행을 아예 중단하거나 장애인화장실을 청소도구함으로 사용하는 등 장애인편의시설 관리를 엉망으로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교육청이 지난 9월 30일 밝힌 통계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내 461개 초ㆍ중ㆍ고등학교 가운데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는 302개로 65.6%를 차지한다. 이는 부산의 62.7%와 대전의 56.1%보다 높은 수치로, 전국 16개 광역시ㆍ도에서 가장 높다. 전국 특수학급 평균 설치율은 45.8%를 기록했다.

 

또한 전체 교육예산 가운데 특수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인천이 전체 예산 2조 397억원 가운데 935억원인 4.6%로 대전 5.8%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특수학급을 운영 중인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주출입구 접근로ㆍ장애인 주차구역ㆍ복도 손잡이ㆍ승강기ㆍ화장실 대변기 등) 설치율도 광주(100%)와 울산 (99.8%)에 이어 3위였다.

 

특수교육 교사를 보조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돕는 특수교육 보조원수도 559명으로 상위권에 들었다.

 

인천지역 20여개 시민ㆍ교육ㆍ학부모단체로 구성된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도 "인천의 특수교육 여건이 전국에서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10월 14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전국 16개 광역시ㆍ도의 특수교육여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이 7개 특별ㆍ광역시 중 울산에 이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하지만 일부 학교의 장애인화장실은 애초부터 장애인 사용이 어렵게 만들어졌거나, 장애인편의시설 관리와 운영을 엉망으로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부평의 A초교는 지난 9월 장애인을 위해 설치했던 승강기에 '운행정지'라는 안내문을 써 붙였다. 운영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이유였다. 이 학교는 인천시교육위원의 지적으로 승강기 운행을 다시 시작했다.

 

B초교는 장애인화장실이 형식적으로 설치돼 휠체어가 들어가지 못하며, C초교는 장애인화장실이 청소도구보관함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D중학교는 장애인화장실의 문이 없고 휠체어를 돌릴 공간을 확보하지 않았으며, E고등학교는 승강기 운행을 하지 않았고 장애인화장실이 휠체어를 돌리지 못할 정도로 좁았다.

 

이에 대해 부평의 한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는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는 그나마 장애인편의시설을 관리하지만 그렇지 않은 학교는 관심이 있는 사람이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는 한 관리가 잘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청이 각 학교마다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장애인편의시설을 설치했지만, 정작 각 학교의 운영ㆍ관리에 대한 점검은 소홀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의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노현경 인천시교육위원회 부의장은 "올해 초 BTL(민간자본투자) 학교에 대한 실태 점검과 최근 부평지역 학교들의 장애인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장애인화장실을 규격에 맞지 않게 지어 놓고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승강기 운행을 중단하는 등 편의시설의 관리ㆍ운영을 제대로 안하는 학교들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시교육청은 장애인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뿐 아니라 제대로 관리하고 운영되는지도 철저히 점검해 예산이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특수교육, #장애인편의시설, #승강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