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노송이 몇 그루 멋진 정경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반드시 물을 필요로 한다. 주변 경관 역시 뛰어나다. 바람과 물, 송림이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만들어 내는 곳. 바로 누정를 짓는데 꼭 필요한 요건이다.

영주 소수서원에 있는 정자 취한대
▲ 취한대 영주 소수서원에 있는 정자 취한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영주 소수서원 입구를 들어서 송림사이를 지나는 길, 깊은 호흡을 한다. 솔향이 코끝을 간지럽힌다. 이런 좋은 송림에서 사람들은 노송의 자태를 닮아 푸른마음을 가졌을까? 물소리가 나는 곳으로 다가가 건너다보니, 내 건너 노송 몇 그루와 함께 어우러진 정자가 보인다.

취한대,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당시 풍기군수이던 이황선생이 처음으로 지은 정자다. 이 아름다운 곳에 정자를 짓고, 소수서원의 원생들이 시를 지으면서 청운의 꿈을 키우도록 한 것이다.

취한대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서낭
▲ 서낭 취한대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서낭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취한대를 오르기 위해 내를 건너간다. 물살이 흐르는 곳에 시멘으로 널직하니 징검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내를 건너 천천히 취한대를 향한다. 그저 바쁜 일이 없다. 이 절경에 나를 맡겨본다. 그것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길이다.

가는 길에 보니 서낭이 있다. 예전 이 내 곁으로 난 길을 따라 걷던 사람들이, 여정의 평안함을 위해 돌 몇개를 올려놓고 안전을 빌었을 것이다. 주변에 구르는 돌 하나를 집어 서낭에 던진다. 돌과 돌이 부딪치며 내는 "딱" 소리가 경쾌하다.

명종 5년인 1550년에 지은 정자
▲ 취한대 명종 5년인 1550년에 지은 정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취한대 현판
▲ 취한대 취한대 현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정자는 보수를 하였는지 말끔하다. 단청을 하지 않은 맨살을 드러낸 나무들이 소수서원과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단청을 화려하게 했다면 오히려 이곳에 모인 젊음이 퇴색되어 버릴 것만 같다.

취한이란 맑은 물 푸른 솔과 함께 호연지기를 키우라는 뜻이다. 이렇게 맑은 물이 흐르고 노송이 푸르른 자태를 자랑하는 곳이라면, 그 누군들 호연지기를 키우지 않으리오. 아마 젊은이들이 이 취한대를 자주 찾아드는 것도 그런 꿈이 있기 때문인가 보다.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이황선생이 지은 정자
▲ 취한대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이황선생이 지은 정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취한대를 보고 있는데 젊은 남녀들이 앞을 질러간다. 취한대 마루에 앉아 담소를 하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짓는다. 세월은 지나고 사고는 달라져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나보다. 젊은이들은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연신 웃음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옛 소수서원의 원생들도 이들과 같은 모습이었을까?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고 자신을 알아가고, 아마 그런 꿈을 만들었을 것이다.

취한대의 모습에 녹아본다. 저 대들보 위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젊음의 이야기가 쌓여있을까? 그 이야기를 훌훌 털어내어 한아름 엮어내고 싶다. 꿈을 잃어버리고 대학이라는 문을 향해 달려가고만 있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태그:#취한대, #소수서원, #이황, #명종, #청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