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양심수후원회 등 인권사회단체들은 24일 오전 대전교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양심수석방과 공안탄압 중단을 촉구했다.
 양심수후원회 등 인권사회단체들은 24일 오전 대전교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양심수석방과 공안탄압 중단을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이명박 정부 들어 양심수가 150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양심을 지키기 위해,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사회정의를 지키기 위해 나섰던 그들을 붙잡아 가두는 이명박 정권은 자신들의 정권연장을 위해 공안탄압을 일삼는 독재정권입니다."

민가협양심수후원회와 구속노동자후원회, 민주노동대전지역본부 등 인권·사회단체들은 24일 오전 대전교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양심수 석방과 공안탄압 중단, 재소자 권리 보장,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촉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현재 대전교도소에는 7명의 양심수가 수용되어 있다. 범청학련 의장 윤기진씨와 일심회 사건으로 구속된 최기영·장민호씨, 그리고 대한통운 앞 시위로 구속된 김달식 화물연대 본부장 및 조익열 화물연대부산지부장, 화물연대 조합원 2명 등이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용산참사해결 촉구 촛불집회, 박종태 열사 추모대회, 쌍용자동차 노동자 해고 반대 파업, 비정규직 복직 투쟁 등 이들은 모두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절규였다"며 "그러나 민생파탄과 민주주의 파괴를 일삼고 있는 이명박 정권은 자신들의 정권유지를 위해 공안탄압을 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집권초기부터 '법질서 확립'을 강조해온 이명박 정권은 평화적인 촛불시위마저도 탄압하고 생존권을 요구하는 노동자와 서민들의 기본권을 무자비하게 짓밟았다"며 "그리하여 지금 이 땅의 양심수들의 숫자는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이제 며칠 후면 10·4선언 2주년이 되는 날임에도 불구하고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군사독재 시절만큼이나 악랄하게 탄압의 칼을 휘두르고 있다"며 "특히, 민간통일운동단체를 포함한 교단의 선생님들과 대학생들 마저 희생양이 되고 있는 것이 2009년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법질서 확립'이라는 허울 좋은 말을 내세워 국민들의 인권을 억압하고, 국민 인권 수준을 10년 전으로 되돌려 놓는 이명박 정권은 지금이라도 민주주의 회복을 염원하는 국민의 소리를 듣고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을 이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끝으로 "역사에서도 보았듯이 국민여론을 무시한 권력의 최후는 참으로 처참할 것"이라며 "이명박 정권은 지금이라도 공안탄압을 중단하고 모든 양심수를 즉각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인사말에 나선 권오헌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은 "양심에 따른 선택을 했다는 이유로 구속되어 있는 양심수들은 가석방이나 사면에 있어서도 차별을 받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접견과 서신 등 수용 과정에서의 권리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어, 이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들은 지난 21일부터 전국의 교도소를 돌면서 기자회견과 면회를 통한 양심수 석방 및 공안탄압 중단 촉구 투쟁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전교도소에 수감 중인 양심수들을 접견했다.


태그:#양심수, #공안탄압, #대전교도소, #국가보안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