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너무나 아름다운 무릉계곡
 너무나 아름다운 무릉계곡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여름 끝자락이다"며 "무릉계곡(武陵溪谷)을 산행하고 동해바다를 보며 동해의 유명한 '산오징어회'를 먹자"는 대전푸름산악회(cafe.daum.net/ksc69)의 공지에 선뜻 따라나선 것은 대전이 바다와는 거리가 먼 지역이란 이유도 한몫했다.

8월30일 오전5시30분에 집합장소인 시민회관으로 나가야겠기에 4시에 잠을 깨 밀린 일을 대충 마무리하고 준비하고 나선 시간이 4시50분경이었다. 그런데 조금이지만 비가 '오다말다'를 반복한다. 조금 있으니 차가 왔고, 비가 오든 말든 "(바다에 간다는 설렘에)가다보면 개겠지"하며 출발을 재촉했다.

다행히 강원도를 넘어서자 비가 그쳤다. 구름만 낀 맑은 하늘이다. '쭉쭉 빵빵'한 강원도산과 소나무 숲, 골짜기 사이사이 고랭지채소밭과 이를 수확하는 농부의 모습들을 졸기를 거듭하며 가다보니 웬 터널들은 그리 많은지 잊을 만하면 나타나는 터널을 뚫고 드디어 옥계휴게소 옆으로 동해바다가 드러났다.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 고속도로를 지나 동해IC를 통과해 두타산 무릉계곡주차장에 도착한 시간이 11시30분이었다.

풍류객들의 이름과 시구가 적혀 잇는 루릉반석
 풍류객들의 이름과 시구가 적혀 잇는 루릉반석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신라 때 지장율사가 창건한 삼화사
 신라 때 지장율사가 창건한 삼화사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삼화사앞에서 세월의 연륜을 말해주는 나무
 삼화사앞에서 세월의 연륜을 말해주는 나무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학소대
 학소대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장군바위
 장군바위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병풍바위
 병풍바위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쌍폭
 쌍폭
ⓒ 대전푸름산악회 '산지기'

관련사진보기


용추폭포
 용추폭포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용추폭포의 바위에도 풍류객들의 이름과 시구가 새겨져 있다.
 용추폭포의 바위에도 풍류객들의 이름과 시구가 새겨져 있다.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발바닥바위
 발바닥바위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에 위치하는 '신선이 노닐었다'는 무릉계곡은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용추폭포까지 이르는 약 4㎞에 달하는 계곡이다. 일행도 용추폭포까지만 가기로 했다. 무릉계곡의 입구에 위치한 '무릉반석'에는 무릉계곡의 신선경에 감탄한 선인들의 감흥이 시구(詩句)로 남아 있다. '무릉계곡'이라는 이름도 조선조 명필 양사언이 이곳의 절경에 감탄하여 '무릉반석'에 '武陵仙院 中坮泉石 頭陀洞天(무릉선원 중대천석 두타동천)'이라고 쓰면서부터라고 전해진다.

수백명이 앉을만한 '무릉반석'을 시작으로 642년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창건했다는 삼화사(三和寺)를 지나면 학소대, 장군바위, 병풍바위, 선녀탕 등 즐비하게 늘어선 기암괴석을 지나 쌍폭(雙瀑), 발바닥바위, 용추폭포(龍湫瀑布)에 이르기까지 숨막히게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진다. 무릉계곡은 많은 전설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유서 깊은 명승지로, 1977년 국민관광지 제1호로 지정되었다. 다른 곳과 다름을 느낀 것은 웬만한 절경의 바위에는 옛 풍월객들이 수도 없이 이곳을 찾아, 이름을 천추에 남기려는 듯 많은 시인묵객들의 이름과 시구가 적혀 있다는 것.

묵호항의 시장모습
 묵호항의 시장모습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묵호항 시장에서의 산오징어
 묵호항 시장에서의 산오징어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산오징어를 회뜨기 위해 손질해주는 아주머니
 산오징어를 회뜨기 위해 손질해주는 아주머니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바다를 벗삼아 방파제에서 오징어회를...
 바다를 벗삼아 방파제에서 오징어회를...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옥계휴게소에서 바라 본 동해시 방향 해안선
 옥계휴게소에서 바라 본 동해시 방향 해안선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옥계휴게소에서 바라본 정동진 방향 해안선
 옥계휴게소에서 바라본 정동진 방향 해안선
ⓒ 송인웅

관련사진보기


어림잡아 주차장에서 용추폭포까지 약 9Km여를 절경에 이곳저곳을 바라보며 쉬엄쉬엄 다녀오니 어느덧 13시40분경이 됐다. 다시 차를 타고 망상IC를 빠져나와 묵호항에 도착했다. '8마리에 만원'이라는 산오징어를 양껏 사서 손질해주는 곳에서 회를 떠서 바다를 벗 삼아 방파제에 자리를 펴 놓고 오이와 양파 채 썬 것과 산 오징어 회를 버무려 넣고 초고추장으로 간해 먹으니 그야말로 '끝내줘요'다. 거기에 밥 넣으면 그대로 '회덮밥'이다. 이러니 소주 한잔 술에 취할 수밖에 없다. 충분한 휴식 후 대전으로 오는 길에 옥계휴게소에 들려 우리가 머물렀던 동해시와 반대편인 정동진방향의 경치를 담았다. 집에 도착하니 밤10시경이다. 먼 여정이었지만 만족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제이비에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무릉계곡, #동해시, #묵호항, #산오징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