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보건소에서 병원으로 신종인플루엔자(신종플루) 치료거점을 옮기면서 크게 달라진 점 중 하나는 검사비용이다.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에서는 검사가 전액 무료였지만, 일반 병원을 이용할 경우 전체 비용의 30~5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의원 등 1차 진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으면 1만2650원을 내고, 대학병원 등 3차 진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으면 7만9530원을 낸다.

 

이번에 보건복지가족부가 지정한 455개 거점병원은 대부분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검사비용 8만원을 내야 한다. 의료급여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은 아예 검사 자체를 꺼릴 수밖에 없다.

 

신종플루 의심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검사비용이 더 늘어난다. 이 경우 4만360원~13만2500원을 환자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보건의료단체들, '건강 불평등' 지적.... 정부도 "빈곤병" 주장

 

현재 보건복지부는 각 지역 보건소를 통해 사회복지시설 거주자에 대한 신종플루 검사 및 항바이러스제 투약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외 저소득층 지원대책은 아직 마련하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복지시설용 행동강령에서 시설 출입자 및 이용자와 관련, "잘 보이는 곳에 안내문을 부착하며 의심환자 격리 공간, 체온계와 마스크 등을 준비한다"는 지침을 밝혔다. 그러나 시설내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별도의 주의사항은 없다.

 

반면 시설 관계자들에 대해서는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을 매일 감시해야 한다, 고위험군의 경우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바로 진료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조승화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은 "저소득층은 몸이 좀 아프다고 선뜻 병원에 찾아갈 처지가 아니다"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경우 자신의 증세가 감기인지 신종플루인지 잘 모르는데다가 건강보험을 체납한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특히 노숙인이나 준노숙인은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질병에 쉽게 노출되기 쉽지만, 의료급여 대상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병원이 진료를 거부하는 사례도 많다고 그는 전했다.

 

임서경 '행동하는 의사회' 대표 역시 "저소득층은 건강에 큰 관심이 없다, 보건소에서 직접 교육하지 않는 이상 신종플루에 대해서도 잘 모를 것"이라면서 "쪽방 등의 주거시설은 집단 숙소나 다름없기 때문에 병이 쉽게 퍼진다는 면에서 취약계층"이라고 말했다.

 

이명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간사도 "사회 양극화가 극심한 나라에서 신종 전염병은 가난한 사람들의 재앙"이라면서 무상 검사 및 진료를 강조했다. 미국이나 멕시코에서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신종플루가 확산됐다는 것이다.

 

앞서 이미 지난 5월 보건당국 측에서도 신종플루를 "빈곤병"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박승철 보건복지부 신종플루대책위원장도 당시 <조선일보> 시론에서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은 위생상태가 나쁜 환경에서 잘 먹지도 못하고 중노동으로 과로하므로 몸이 허약하고 면역력이 약해서 전염병에 잘 걸리고 중하게 앓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당시 박 위원장은 신종플루 확진환자 발생에 대해 "육체적으로 가난한(병약한) 사람들도 예방수칙만 잘 지키고 발병 시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 간다면 이번 신종독감은 거뜬히 이겨낼 수 있다, 우리나라 방역과 의료수준은 세계 최고수준이다"고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태그:#신종플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