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동네 주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하고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잘 알릴 수 있는 신문이 하나 있으면 좋겠다는 소박한 마음을 갖고 있는 이들이 모여 마을신문을 만들었다. 지난달 16일 창간준비호가 나왔으니 이제 막 첫 걸음을 뗀 셈이다.

"1면 기사는 뭐로 해야 하지", "인터뷰도 있으면 좋겠는데 누구를 할까?", "동네 주민들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하는 방법은 없을까?", "풀뿌리 단체들의 소식을 받아야지",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는 꼭 담아야 해", "가치지향이 분명해야 해",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 공동체", "생태, 평화, 인권, 생명, 성평등 이런 키워드가 담겨야지", "구청장과 구의원들 감시도 잘 해야지", "주민들이 참여해서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

퇴근길 도봉역 앞에서 마을신문을 유심히 읽고 있는 주민들
▲ 우리동네 이런 일이 있었나? 퇴근길 도봉역 앞에서 마을신문을 유심히 읽고 있는 주민들
ⓒ 이창림

관련사진보기


기나긴 여정의 시작

여러 가지 생각과 아이디어는 쏟아져 나왔는데, 그것을 담아 신문으로 만드는 과정은 녹록치 않다. 취재도 하고 기사도 작성하고 편집도 해야 하는 일은 아마추어들에게는 버거운 일임에 분명했다.

마을신문 준비를 위해 세 달 넘게 회의와 토론을 했고, 창간 준비호에 실을 기사에 대한 토론만 한 달을 했다. 지면으로 나오는 신문이니 제대로 글을 써야 하지 않겠냐며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 기자와 이준호, 전관석, 이한기 기자에게 기사 쓰기 수업도 열심히 받았다. 시민기자학교 강의도 들었으니 기사가 술술 나오면 좋겠다만, 편집 마감일까지 원고는 채 반도 들어오지 않는다. 원고를 다 받아서 편집을 했는데, 신문판형 4쪽 중 반 면이 빈다. 어찌어찌 하여 지면을 채우고 인쇄를 했다.

신문을 받아 보니 생각보다 잘 나와서 놀랐다. 놀람과 기쁨은 잠시. 배포가 남았다. 총 1만 5천 부를 인쇄했는데 이 정도면 도봉구에서 발행하는 지역신문으로는 최대 부수다. 도봉구민이 38만 명, 세대수가 11만 세대 정도라니 대략 열 집에 한 부 정도는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조금 무리해서 발행부수를 정했다.

그러고 나니 배포가 문제다. 일단 지역의 시민단체, 작은 도서관과 생협 매장에 500부씩 비치했다. 단체 회원들 중 일부는 자신이 사는 곳 아파트 라인과 집 주변, 미용실, 상가 등에 배포하겠다며 마을신문을 가져 갔다. 배포 자원 활동을 신청한 분들과 함께 아침, 저녁 출퇴근길 지하철 역 앞에서 직접 나눠주기도 했다. 쟁쟁하고 화려한 무가지들과의 경쟁이 쉽지 않아 경쟁이 덜한 퇴근길에 나눠주는 게 낫겠다는 교훈을 얻었다.

뜨거운 반응들

신문을 받아본 어떤 주민은 "왜 변전소 문제는 싣지 않았냐"며 자기네 동네 이야기도 실어주길 요청했고, "우리 동네 이런 일이?"라며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해 질문하기도 했다. 어떤 이들은 "나도 시민기자로 활동하고 싶다"며 방법을 물어왔고, "돈은 어떻게 마련하냐?"며 궁금해 하기도 했다.

인터뷰에 인물이 예전 은사라며 주소를 물어오기도 했고, 도봉숲길 주민들은 대체로 "마을신문이라는 것도 있네"라며 관심을 나타냈다. 시민단체에서 낸 홍보도 효과적이었는지 마을신문 보고 강좌 접수 문의가 부쩍 늘었다고 하니 다행이다.

창간준비호 1면 이미지
▲ 마을신문 도봉N 창간준비호 1면 이미지
ⓒ 마을신문 도봉N

관련사진보기


가장 뜨거운 반응을 보인 사례는 씁쓸하다. 지역 시민단체 회원이 운영하는 한 음식점에 마을신문을 비치해 두는데, 그 사장님께서 내용을 잘 보이도록 신문을 벽에 붙여 두었다고 한다. 마침 식사를 하러 온 손님이 기사 내용이 맘에 들지 않는다며 신문을 찢고 비치된 신문도 가져갔다고 한다.

도봉구 의원이라고 밝힌 그 손님의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은 아마도 "도봉구청과 도봉구의회가 부당 인상한 의정비를 반환하라는 법원의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한다는 내용의 기사리라. 그동안 본인들의 활동에 대해서 칭찬만 하던 지역신문에 익숙한 분들이라 당황하셨나보다. 반론을 하시지 애써 만든 신문을 가져가실 건 뭐람?

그 손님은 '위생 점검' 등을 운운하면서 '장사 그만하고 싶냐'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자신의 화를 표출한 것일 수 있겠지만, 음식점을 하는 입장에서 들으면 명백한 협박성 언사임이 분명하다.

나쁜 건 가르쳐 주지 않아도 배운다고 했던가. 이명박 정부에서 행해지는 일이 그대로 지역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것 같다. 이명박 정부와 국민들의 간극 만큼 지역사회에서 권력을 갖고 있는 이들과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마을을 일구고자 하는 주민들의 간극이 크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마을신문을 만드는 사람들의 고민이 깊다.

가야 할 길이 멀지만, 한 걸음씩

아마추어들이 부대끼며 만드는 4쪽짜리 마을신문이지만, 주민들의 삶을 전하고 주민들이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길 꿈꾼다. 앞으로도 우여곡절 많은 험난한 길이 마을신문 앞에 펼쳐지겠지만, 즐거운 마음과 여유와 끈기를 가지고 만들어가려고 한다. 혹시 마을신문 시민기자가 되고 싶다면 홈페이지(http://www.dobongn.kr)를 방문하시라. '풉'하는 웃음과 함께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리라.

덧붙이는 글 | 비슷한 기사가 마을신문 도봉N과 주간 인권오름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마을신문, #도봉N, #도봉구, #도봉구의원, #시민운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