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양시외버스터미널 시민대책위원회(준) 가 4월16일부터 주민청원을 위한 1만인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대책위 이문수 위원장은 "시민들 뜻을 모아 안양시가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건립 사업을 즉각 중단시키고 합리적 터미널 건립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기위해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주민청원은 주민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에 관한 희망사항이나 개선사항을 지방의회 의원의 소개를 받아 서면으로 그 해결을 요구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시민 1만인 서명을 완료하면 서명지는 안양시의회에 제출된다.

 

지난 2월5일에는 대책위 대표자 이문수씨 명의로 경기도 감사실에 '주민감사'를 신청했다. 안양시가 터미널 사업 계획을 적정, 적법하게 수립 했는지, 사업자 ((주)경보)를 선정 시 적절한 심의 절차를 거쳤는지 감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민감사 청구 제도는 주민들이 지자체의 위법, 또는 공익에 반하는 행정에 대해 상급기관에 감사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이다. 주민감사를 청구한 시민들은 3개월 이내에 19세 이상 안양시민 200명에게 서명을 받아야 한다. 서명 받은 연 명부를 경기도에 제출하면 경기도는 60일 이내에 감사규정에 따라 감사하고 감사 결과를 청구인 대표와 안양 시에 서면으로 통보하고 일간지 등을 통해 공포해야 한다.

 

대책위는 현재 안양시민 200명 서명을 받아놓은 상태고 이달 말 경에 연 명부를 경기도 감사실에 제출, 주민감사를 정식으로 청구할 예정이다.

 

안양시가 추진하는 시외버스 터미널 건립사업에 시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현재 사업예정지로 지정돼 있는 관양동 22번지 일대가  터미널 부지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책위는 우선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안양시 시외버스 이용자는 만안구 주민이 68.3%로 동안구 주민에 비해서 월등히 높다. 하지만 만안구에서 관양동을 이어주는 대중교통 시설은 열악한 형편이다. 때문에 이용 빈도가 높은 만안구 주민들이 터미널을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것.

 

또, 터미널 건립 부지를 정할 때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못하다는 주장이다. 현재 지정된 관양동은 상권과 연계되지 못했기에 터미널 부지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 시민들은 인덕원역, 평촌역, 평촌 농수산물 도매시장, 의왕시 내손지구 등 상권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서 터미널 부지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는 사업자 (주)경보 문제다. 대책위는 경보가 사업을 수행할 능력이 없는 부실기업이라 주장하고 있다.

 

대책위에 따르면 (주)경보는 2007년 총 자산이 59억, 총 부채가 63억원, 따라서 자기자본이 -4억인 부실기업이다. 때문에 사업비 3000억원이 소요되는 터미널 사업을 수행할 만한 능력이 없다는 것.

덧붙이는 글 | 안양뉴스 유포터뉴스


태그:# 안양시외버스터미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