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화창한 날, 월드컵 경기장에 놀러갔을 때 아내가 찍어준 사진이다.
▲ 내 사진 화창한 날, 월드컵 경기장에 놀러갔을 때 아내가 찍어준 사진이다.
ⓒ 고영준

관련사진보기

얼마 전 <내가 먹는 것이 '나'>라는 책이 나왔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고상한 질문 앞에 서 있는 현대인에게 이보다 명쾌한 답이 또 있을까? 자신이 품은 높은 이상과 긍지 '나'라고 믿고 소개하고 싶겠지만, 매일 먹는 음식이야말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정직하게 보여준다.

나는 더 고상한 존재이고 싶어 유기농식재료를 사먹는다. 백화점에서 파는 것은 아니고, 생활협동조합(생협)에 가입해서 인터넷으로 주문하거나, 매장에서 사먹는다. 인터넷으론 한 주에 한 번 주문해야 한다. 처음엔 주문 마감 시간을 놓쳐 낭패를 보았지만 이제는 익숙해졌고, 한 주 단위로 장을 보니 살림 규모도 잡혔다. 버리는 음식도 크게 줄었다.

요즘은 덜하지만 많은 이들이 아직도 유기농 음식은 부자들만 먹는 줄 안다. 참고로 우리 집은 강북구 인수동의 한 단독주택 1층 좌측에 있고, 4500만 원짜리 전세다. 이마저 주인이 월세로 돌린다고 해서 쫓겨날 판이다(다행히 며칠 전 같은 값의 오래된 빌라에 전세 계약했다). 어째든 부자는 아니다. 그래도 유기농을 고집하는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유기농 음식은 우리 가족 몸을 건강하게 한다. 농약도, 화학비료도, 성장촉진제도 없이 자란 동․식물들은 당연히 내 몸을 건강하게 하지 않겠나. 실제로, 광진구에서는 조례개정을 해서 유치원 식재료를 유기농으로 대체했더니 아토피 비율이 현격히 떨어졌다고 한다(다음 기사를 확인해 보라 http://www.e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4
). 아토피로 고생하는 가족이 없으면 모른다. 매일 밤 어린 녀석이 긁어대느라 잠도 못자고 옷이고 이불이고 피투성이를 만드는 전쟁 같은 현실을. 현대문명이 만들어내는 각종 화학약품이 범벅된 음식 먹고, 치료비로 돈 더 깨진다.

필자는 2007년과 2008년 두번의 유기농 생채식을 한 바 있다. 몸과 정신이 맑아지는 것을 난생처음 느꼈다.
▲ 깔끔한 유기농 생채식 식사 필자는 2007년과 2008년 두번의 유기농 생채식을 한 바 있다. 몸과 정신이 맑아지는 것을 난생처음 느꼈다.
ⓒ 고영준

관련사진보기

유기농식재료를 구입하면, 건강하게 농사짓는 사람들에게 이익이 돌아간다. 아무 음식이나 사먹으면 농약, 화학비료, 성장촉진제를 만든 사람만 배불린다. 자기 자식 생각하면 식재료를 그렇게는 못 키울 텐데, 얼굴을 보지 않으니 누구 입에 들어가는지 알 수 없고 누가 먹는지 알 수 없으니 보기에만 좋게 키우면 그만이다. 기르는 사람도 농약과 성장촉진제에 오염되어 간다. 그런 방식의 생산을 거부하고 힘겹지만 정직하고 건강하게 농사하는 이들이 있다. 이들에게 보탬이 되고 싶었다.

마지막으로 유기농 재료를 쓰니 요리를 잘하게 되고 아내에게도 사랑받았다. 유기농 식재료에는 가공식품이 거의 없다. 대부분 가공식품에는 방부제와 식품첨가물, 인공 향신료들이 따라 다닌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앓는 아이들이 어느 순간 우리 사회에 등장했다. 이것도 문명이 만들어낸 병이고 당연히 먹을거리와 관련이 깊다. 이들은 산만한 것이 특징이다.

가공식품과 화학조미료가 내는 얕은맛에 유기농식재료로 도전해 보라. 자연이 주는 산뜻하고 깊은 맛은 우리에게 차분하게 앉아 대화할 수 있는 여유를 줄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친밀한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이 관계는 소통하는 정도에 달려 있다. 아내와 소통을 잘하고 싶은가? 유기농 식품을 만들어 먹어보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수동 마을신문 www.welife.org 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유기농, #고영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에 살고 있습니다. 마을에서 일어나는 작고 소소한 일들, '밝은누리'가 움틀 수 있도록 생명평화를 묵묵히 이루는 이들의 값진 삶을 기사로 나누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