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산강프로젝트의 핵심은 당연히 수질개선이고 문화관광입니다. 자연재해 예방과 치수사업 목적도 있습니다. 물류는 지금 거론할 문제가 아닙니다.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다음 나중에 검토해도 늦지 않습니다."

 

이기병(나주1) 전남도의회 영산강프로젝트특별위원회 위원장의 얘기다. 그는 "영산강 주변의 역사·문화 복원과 함께 문화관광벨트 조성사업의 제반 사항을 검토하고 또 이를 위해 필요한 사업과 전남도민들의 요구사항을 중앙정부에 촉구하는데 특위의 활동방향을 두고 있다"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 프로젝트에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기병 위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지난 1월 제238회 전라남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영산강프로젝트특별위원회'가 구성됐는데요. 어떻게 이뤄졌는지?

"우리 특위는 위원장을 포함해 모두 10명으로 이뤄졌습니다. 무안 양승일, 영암 강우석, 함평 김성호, 구례 고택윤, 무안 김철주, 담양 강종문, 신안 임흥빈, 장성 윤시석, 목포 이호균 의원입니다. 영산강을 끼고 있는 8개 시·군 의원이 모두 들어 있구요. 고택윤·윤시석 의원은 건설소방위원회 몫으로 들어왔습니다. 활동기간은 저희들의 임기가 끝나는 내년 6월까지입니다."

 

- 특위는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일정은?

"우선 이달 중순께 전남도의 영산강프로젝트에 대한 기본계획을 먼저 청취하고, 이달 말쯤 영산강을 끼고 있는 8개 시·군 주민과 공무원, 환경단체 대표, 각급 기관 관계자 그리고 우리 특위위원들이 참여하는 공청회나 토론회를 열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나온 의견들을 전남도의 프로젝트에 반영시키고 또 오는 5월까지 확정될 국토해양부의 종합계획에도 반영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영산강 문제만큼은 시행착오가 없도록, 또 시·도민이 바라는 대로 개발돼야 하지 않겠습니까."

 

- 영산강프로젝트와 한반도 대운하의 연계를 우려하는 시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게 사실인데요?

"영산강프로젝트가 어디에 방점을 찍고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한반도 대운하는 물류에 방점을 찍고 있는데, 영산강프로젝트는 수질개선과 문화관광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대운하와 다른 부분입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영산강프로젝트의 목표는 수질개선이고 문화관광입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홍수와 가뭄 피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자연재해 예방과 치수사업 목적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 다음 물류는 나중 또 나중에 검토해 볼 문제입니다. 물동량도 관건이구요. 우선은 준설작업을 통해 수질과 환경을 개선하고 친환경 관광인프라 중심의 뱃길을 복원해야 합니다."

 

- 준설이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한 영구적인 해결책이 되겠습니까?

"한번 준설로 해결될 문제는 아닙니다. 영산강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생활 오폐수와 축산폐수 유입이 큽니다. 수질 개선사업을 하면서 이 오폐수가 다시는 영산강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처리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여야 합니다. 빗물도 정화시킨 다음 흘러들게 해야 합니다. 영산강에 물이 상시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댐 건설도 필요합니다. 생태계 보전방안도 병행돼야 합니다. 이런 것들을 말로만 할 게 아니라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도록 해야 합니다.

 

- 제도적인 문제와 함께 주민들의 의식전환도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물론 중요하죠. 영산강의 수질이 개선되면서 생태계가 회복되고, 또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 개발사업과 함께 강변도로가 개설되는 등 문화관광 인프라가 구축되면 우리 주민들도 '영산강이 우리 강'이라는 생각으로 모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 아무튼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한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사업도 사업이지만 이를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영산강프로젝트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되기 위해서는 지역 건설업체의 사업 참여비율을 높여야 합니다. 이 사업을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다 보니 하도급 비율이 30%로 제한돼 있는데요. 지역 업체의 참여비율을 최하 40%까지는 높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를 상대로 의회 차원에서 계속 촉구하고 또 설득할 생각입니다.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도 국토해양부가 아니라 전라남도가 돼야 합니다. 이는 현지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또 설계변경 등을 통해 주민의사를 그때그때 반영하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공사과정에서 나타나는 민원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서도 꼭 그렇게 해야 합니다."

 

- 끝으로 지역주민들에 당부하고 싶은 말은?

"인류역사상 물을 살리지 않는 민족의 앞길은 없었습니다. 영산강을 살리는 일은 우리 시대의 숙명입니다. 이번 기회에 시·도민이 힘을 합쳐 영산강을 살리는데 지혜를 모아야겠습니다. 주민대표와 환경단체, 행정기관과 의회가 서로 소통하면서 민·관이 함께 영산강을 살리는데 힘을 모아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덧붙이는 글 | 이돈삼 기자는 전남도청에서 홍보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태그:#이기병, #영산강프로젝트, #전남도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