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단절’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이것도 나름 순화해서 생각해낸 단어다.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외침에 대한 간단한 무시’라고 말하고 싶다. 7일 제3차 용산 철거민참사 희생자 추모대회에서 보여준 정부의 대처는 단적으로 집회자체에 대한 무시였다. 공권력에 희생된 용산 철거민 참자 희생자들과 이들을 추모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 유가족과 국민들에 대한 정부의 이러한 일방적 단절은 집회개최 전부터 예상됐다.

 

집회장소였던 청계광장은 경찰버스와 전의경들로 집회참가자들이 들어설 수조차 없었다. 결국 집회장소까지 경찰에게 내주며 청계천 주변부에서 추모대회를 열 수밖에 없었고, 거리행진은 집회장소를 치밀하게 둘러싼 경찰버스와 전의경들로 꼼짝달싹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심지어 경찰은 집회참가자는 물론 일반시민들의 통행까지 방해할 정도로 집회주변의 인도 및 지하철입구까지 통제하며 집회를 원천봉쇄하는 방법을 택했다. 듣지도 않고, 보지도 않고 일단 통제를, 차단선을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이것은 집회자체의 기능과 성격을 부정하는 것으로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집회를 통한 국민의 외침은 정권이 생색내며 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정권은 국민의 의사에 당연히 귀를 기울여야 하며, 그러한 의사표현의 한 방법인 집회는 방해하고, 일단 해산시키는 대상이 아닌 것이다. 집회를 보장하지 않는 행동은 국민의 외침을 듣지 않겠다는 것이고, 이러한 행동은 정권을 위임한 국민에 대한 배신행위와 다를 것이 없다.

 

 

 

지난해부터 소통의 단절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집회의 구호는 특정집단의 이익추구와 권익보장이 아닌, 7, 80년대 정권에 대한 불신을 토대로 등장했던 그 구호다. 국민들이 괜히 독재타도를, 이명박OUT을 외치는 것이 아니다.

 

소통이 되는 사람과는 대화를 통해 세부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지만, 단절된 사람과는 대화를 시작할 수조차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국민들은 현 정부를 단절된 정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촛불집회가 국민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정부의 일방적 단절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번 용산 철거민참사 희생자 추모대회에 정부는 지난해와 같은 일방적 단절로 대응하고 있다.

 

제2의 촛불물결이 전국을 뒤덮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 지금은 국민들의 외침을 무시할 것이 아니라 단절된 관계부터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태그:#용산 철거민참사, #추모대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직한 시선과 정직한 사진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