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올 겨울은 유난히 춥습니다. 해발 600미터나 되는 덕유산 산자락은 더 춥습니다. 새벽 최저 기온은 영하 14도가 평균입니다. 관리소홀로 간이상수도까지 꽝꽝 얼어붙어버려서 양손에 양동이를 들고 계곡물을 길어다 먹는 우리 집은 이 겨울이 참 팍팍합니다.

마음까지 얼어 붙는 추위

늘 두드려 깨야 물을 만난다. 얼음 두께는 20센티 쯤 된다.
▲ 얼음 속 물 늘 두드려 깨야 물을 만난다. 얼음 두께는 20센티 쯤 된다.
ⓒ 전희식

관련사진보기

온수도 아궁이불로 데워 쓰니 어머니 빨래며 목욕이며 설거지며 기초생활마저 참 버겁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 얼음산이 녹아내리네, 한반도에도 아열대성 기후가 나타나네 하면서도 날씨는 춥기만 하니 푸념이 자꾸 나옵니다.

더 큰 걱정은 어머닙니다. 펄펄 끓는 아랫목에서 이불을 두 겹으로 덮고도 "와 이리 춥노? 방에 불 좀 더 때라"고 하십니다.

옷에 실수를 하는 횟수도 부쩍 늘었고 입맛도 까다로워져서 어머니 좋아하시는 고구마를 썰어 넣은 호박잎국밥이나 들깨죽을 해 드려도 늘 짜증입니다. 저주에 가까운 악담을 하는가 하면 저를 쥐어뜯거나 때리는 공격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형님 한 분은 어두운 표정으로 "아무래도 오래 못 사실 것 같다"고까지 했습니다. 저는 끝이 보이지 않는 이 '고난의 행군'을 마무리 할 방안을 골똘히 생각했고, 드디어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바로 어머니 '생신 여행'이었습니다.

음력 섣달 초열흘이 어머니 생신입니다. 제가 늘 하던 방식대로 놀이 하듯이 에둘러 접근했습니다.

"어무이. 제 생일이 언제예요?"
"너 논지가 언젠데 내가 그걸 여태 안 까묵고 오찌 아노."
"저 낳은 지 얼마나 되었는데요?"
"너 백 살 안 넘었나?"
"어머니 생일은요?"
"찌랄한다. 내 생일 차려 먹을새가 오딘노? 아 놓고도 미역국 한 번 몬 묵었다."
"애 놓고 미역국 안 드시면 뭘 드셨어요?"
"쇠죽 끓이다가도 놓고, 콩밭 매다가도 놓고, 너그 탯줄도 내 이빨로 끊었는데 시어머니가 있나 친척이 있나 미역국 해 먹을 새가 어딘노."

어머니 생신 여행을 떠나다

한 시간 가까이 이런 놀이를 해서 어머니가 제 생일도 기억해 내고, 드디어 당신의 생일까지 알아냈습니다. 숫자가 애기 주먹만 한 농협달력, 어머니 생신날에 커다란 동그라미를 쳐 놓고 매일 매일 어머니에게 되새겨 드렸습니다.

트럭에 앉아 차창 밖 풍경으로 보며 어머니 얘깃거리가 그치지 않았습니다.
▲ 여행 트럭에 앉아 차창 밖 풍경으로 보며 어머니 얘깃거리가 그치지 않았습니다.
ⓒ 전희식

관련사진보기


그리고는 갖가지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어머니 젊은 시절의 생활용품과 문방사우 중심으로 샀습니다. 바늘세트, 쪽가위, 팬티고무줄, 참빗, 대 소쿠리, 옵삔세트 등등.

그리고는 생일날 식구들이 모여서 성대한 선물 전달식을 하고 여행을 떠났습니다. 며칠 전부터 사진을 보여 드리며 여행지에 대한 어머니의 관심과 호감을 불러일으킨 다음이었습니다. 여행지는 지리산 정령치 기슭입니다. 바쁠 것 하나도 없는 저는 어머니랑 둘이 트럭을 타고 쉬엄쉬엄 장수읍을 지나 번암과 운봉으로 내려갔습니다.

"내년에는 풍년이것다."
"와요?"
"보리가 저리 시퍼런 위에 허연 눈이 있응게."
"그라믄 풍년이라요?"
"밀이나 보리한테는 눈이 이불잉기라. 봐라. 내년에 풍년 안 드는가."

사료용 호밀을 보리로 여긴 어머니는 옛 농사 격언과 속담들을 꺼내 가며 겨울의 빈 들판을 호령하면서 지리산으로 들어갔습니다.

숙소에 도착한 뒤 제일 먼저 따뜻한 욕조에서 어머니랑 목욕을 했습니다. 따뜻한 물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쳐 있던 우리는 꼭지만 누르면 펑펑 나오는 온수가 눈물겹도록 고마웠습니다. 방바닥도 땀이 날 정도로 따끈 거렸습니다. 끼니마다 주인이 손수 농사지어 만든 반찬들이 바뀌어 올라왔습니다.

선생님께서 기 치료를 해 주시는 모습니다.
▲ 기치료 선생님께서 기 치료를 해 주시는 모습니다.
ⓒ 전희식

관련사진보기

저는 미리 밥 차림표를 챙겨 보고는 어머니에게 말했습니다.

"오늘 점심은요. 어머니 위해서 할아버지가 씨레기 국을 끓여 주신대요."
"아이고. 날 먹으락꼬? 하라부지한테 우리는 뭘 해 죽꼬?"

어머니는 저도 모르게 준비해 오신 잔 멸치와 곶감을 가방에서 꺼내 할아버지에게 드렸습니다.

흥이 난 저는 여행지의 모든 상황들을 놓고 모두 다 우리 어머니를 섬기고 모시는 정성들인 것처럼 꾸며서 얘기를 했습니다.

가마솥에서 콩을 삶습니다.
▲ 가마솥 가마솥에서 콩을 삶습니다.
ⓒ 전희식

관련사진보기


"어무이 목욕물 할아버지가 데워놨대요. 목욕해요 어무이."
"아이고. 목욕물을 또 데와났어? 이럴데가…."
"어무이. 옛날에 메주 콩 삶은 거 잡숴 보셨죠? 어무이 잡수시라고 가마솥에 콩 삶아요."
"옷에 오줌이나 싸는 빙신한테 머 한닥꼬 콩까지 삶아 멕인디야. 우리도 불 때로 가 복까?"

어머니 말씀에 저는 휠체어를 밀고 가서 마당 구석에 있는 콩 삶는 가마솥 불을 어머니랑 같이 땠습니다. 푹 삶긴 콩을 한 국자 퍼서 나눠 먹는 재미도 좋았습니다.

이렇게 어머니의 감동과 감사의 날들이 계속되었습니다.

"어무이 우리 여기서 살까요?"
"할아버지가 살라 카건나?"
"그래도 말 해 볼까요?"
"살라카믄야 좋지. 이 보다 더 존데가 오딕껀노?"

숙소를 나와 제법 먼 길을 양지만 쫒아가며 산책을 했습니다. 소나무 숲입니다.
▲ 산책 숙소를 나와 제법 먼 길을 양지만 쫒아가며 산책을 했습니다. 소나무 숲입니다.
ⓒ 전희식

관련사진보기

감사와 베품과 겸손과 기쁨과 순응으로 이어지는 나날들은 천국이었습니다.

저 역시 가만히 앉아서 밥상을 받았을 뿐 아니라 설거지는 물론 청소까지 면제되는 생활을 하다 보니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루 세끼 밥 차리는 일이 보통 힘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새삼 깨닫고 세상 모든 주부들의 노고를 떠 올릴 수 있었습니다. 

천국에서 며칠 흠뻑 젖어 지내다 집에 오니 어머니는 천사가 되어 있었습니다. 뭣이든 잘 드시고 잠도 잘 주무시고 저에 대한 애틋함이 다시 되살아나셨습니다. 저요? 저는 천사의 아들이 되었지요. 장작 패고, 물 퍼 나르고, 요리 책 뒤적이고, 빨래하는.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행복한 노년> 1-2월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치매, #어머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농(農)을 중심으로 연결과 회복의 삶을 꾸립니다. 생태영성의 길로 나아갑니다. '마음치유농장'을 일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