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김대중(DJ) 전 대통령과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창원을)은 "DJ는 합당하고 적절한 지적을 했고, YS는 개인적 감정을 벗어나서 정말 민족의 운명을 생각하는 쪽으로 나아가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1일 아침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해 교육정책 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권 의원은 한나라당의 '꼭두각시' 발언에 대해 "민주노동당의 일관된 주장이었으며, 남북관계 파탄을 막기 위한 노력"이라고 일축했다.

 

DJ의 현 정부 대북정책 비난에 대해, 그는 "합당하고 적절한 지적을 하셨다. 적절한 시기에 정말 해야 할 말씀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지금 어떻게 되어 있나? 금강산 관광사업 중단에 이어서 개성도 중단되고 경의선 철도마저 끊어졌고, 이제 개성공단마저 전면 중단되면 남북 교류 협력 정책 10년을 통해 어렵게 성사된, 역사적인 3대 남북 경협사업 모두가 중단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고 걱정했다.

 

그러면서 권 의원은 "지금 이제 한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남북관계가 악화되는 상황이 우리 눈앞에서 전개되고 있는 비참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며 "한반도에서의 평화는 사실 빵이고 경제이거든요. 지금 경제 살리자고 하면서 남북관계가 초긴장 상태로 빠지면 외자가 들어오겠나. 들어온 외자는 전부 빠져나갈 것 아니냐. 국가신인도는 하락할 것이다. 해서 경제 살리기를 위해서도 바로 지금 심각한 남북관계는 풀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그는 "두 분(DJ, YS)이 정말로 이럴 때 화합하고 악화되어 있는 남북관계를 풀어야 될 것"이라며 "YS는 DJ에 대한 어떤 감정의 강한 표현이라고 보고 있고, 그런 개인적 감정을 벗어나서 정말 민족의 운명을 생각하는 쪽으로 나아가시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DJ가 제안한 3자연대(민주당-민노당-시민단체)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권 의원은 "그렇게 봐서는 안된다"며 "사실은 12월 30일 3당(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이 비상대책회의를 가져서 결의문도 발표하고 했더니 한나라당에서는 그렇게 얘기를 했다"고 설명.

 

그러면서 권 의원은 "대변인 성명을 통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서 움직이는 그런 꼭두각시처럼 봤는데, 이것은 사실 민노당이 그 전부터 제기해왔던 것"이라며 "강기갑 대표가 방북하고 와서 정말로 남북관계가 이대로 가면 파탄이 날 것 같다는 심각한 의식을 가지고, 그런 인식을 갖고 민주당에도, 창조한국당에서 제의했고 이것은 비단 민주당뿐만 제의한 것이 아니며, 한나라당에도 제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영길 의원은 "한나라당의 당론이 비록 어제 민주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만나는 자리에는 함께 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한나라당 의원들 중에서도 지금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분이 많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교협의 3불정책 폐지는 귀족교육 신호탄"

 

대학교육협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3불정책 폐지에 권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부자교육, 귀족교육의 신호탄"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가 대교협을 앞세워 고교등급제를 시도하고 있는데 이는 꼼수정책 추진"이라고면서 "국가정책을 추진할 때는 떳떳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권 의원은 "내신을 무력화시키고 뒷문으로 외고 중심, 부유층 중심의 학생을 선발하는 것은 마땅히 지탄받아야 하는 것"이라면서 "대교협에 입시 관리를 맡겨선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근현대사 교과서 '사태'와 관련해 권 의원은 "권력자 맘대로 역사교육을 좌지우지하겠다는 것은 군부독재 때나 가능하던 것이며 이명박 정부는 역주행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교과부의 교과서 수정지시는 공권력으로 학자들 양심 탄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권영길, #3불정책, #역사교과서, #대북정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