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후덕해 보이는 최용신 선생 모습
▲ 최용신 선생 조각상 후덕해 보이는 최용신 선생 모습
ⓒ 정정자

관련사진보기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가을은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은 여행의 계절이다. 그래서인지 지난 9월 27일이 ‘관광의 날’이란다. 지난 주말 잠시 짬이 있어 무작정 오이도행 열차를 탔는데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상큼한 풍경이 서정주님의 ‘푸르른 날’을 저절로 읊어지게 했다.

우리나라 현재의 실버들이라면 젊은 날에 심훈의 <상록수>를 읽거나 영화를 보고 감동하여 제2의 박동혁이나 채영신이 되어보겠다고 결심한 분들이 적지 않으리라 여겨진다. 나도 그 중에 한 사람이었으니까. 얼굴도 모르는 주인공을 상상하며 박동혁 닮은 청년을 찾았고 제2의 상록수 주인공으로 살고자 노력했다.

그 소설의 주인공이 잠든 샘골 마을이 경기도 안산에 있다는 걸 알게 된 건 3년 전이었다. 처음 소식을 들었을 때는 삼복 더위도 아랑곳 없이 찾아갔다. 그런데 전시실이 없어서 최용신 선생의 유물을 창고에 넣어둔 상태로 곰팡내가 물씬거리는 걸 보며 마음이 몹시 아팠다. 그런데 이젠 어엿하게 전시실을 지었다기에 반가운 마음으로 다시 찾게 된 것이다.

새로 지은 기념관 전경
▲ 최용신 기념관 새로 지은 기념관 전경
ⓒ 정정자

관련사진보기


안산시 상록수역에서 800m 거리에 있는 최용신 기념관은 본래 최용신 선생께서 농촌계몽운동을 하던 샘골강습소가 있던 자리이다. 선생은 국권상실의 암울한 시기인 1909년 원산에서 태어나 협성여자신학교 재학 중이던 1931년 YWCA와 지역주민들의 지원으로 샘골강습소를 열고, 1935년 27세로 별세하실 때까지 문맹퇴치와 농업기술 및 민족혼과 애국심을 길러주는 교육활동을 펼쳤다.

약혼자 김학진(전 충북대 교수)씨와 10년 후에 만나기로 하고 각각 다른 곳에서 농촌계몽운동을 했는데, 지나친 피로와 영양실조로 인한 장중첩 증으로 고생하다가 결국은 타계하고 말았다.

왼쪽이 최용신선생 묘, 오른쪽은 약혼자였던 김학진씨 묘
▲ 최용신선생 묘 왼쪽이 최용신선생 묘, 오른쪽은 약혼자였던 김학진씨 묘
ⓒ 정정자

관련사진보기


"내가 죽으면 학교가 잘 보이고 종소리가 들리는 언덕에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라 가까운 ‘일리 공동묘지’에 묻혔다가 상록수 공원으로 옮겨왔는데, 이장할 때 보니 장례식 날 약혼자 김학진씨가 오열을 하며 관위에 덮어주었다는 코트가 썩지 않고 있었다고 한다.

약혼자 김학진씨는 그 후 다른 여인과 결혼하여 살았지만 평생 첫사랑을 못 잊어했다는데, 운명할 때 유언하기를 “나 죽으면 최용신 곁에 묻어 달라”고 하여 그 유지대로 최용신 선생 묘 옆에 나란히 묻혀있다.

수원에서 왔다는 김희순(55)씨는 “두 분의 사랑도 고고하지만 가슴속에 다른 여인을 평생 품고 있는 남자와 일생을 같이 살다가 보내줘야 했던 그 부인의 마음은 어땠을까 생각해보니 더 마음이 아려온다”고 말했다.

상록수공원에 세워진 최용신선생 유훈비
▲ 최용신선생 유훈비 상록수공원에 세워진 최용신선생 유훈비
ⓒ 정정자

관련사진보기


<상록수> 책 제목이 된 6그루의 향나무들이 잘 자라서 건재하고 있는 샘골교회 앞 최용신 전시장에는 샘골 강습소 영상검색실, 수업풍경, 상록수실로 나뉘어있는데, 최 선생 생전에 아이들을 가르치던 샘골강습소 풍경 사진, 뱃지, 종, 학습도구, 경대, 등사철필, 무궁화자수액자 등이 있다.

또한 영상검색실에서는 영상에세이, 제자인터뷰, <상록수> 영화를 볼 수 있고, 수업 풍경실에는 당시의 국어교재, 무궁화자수, 배지 모자 등이 있다. 상록수실에는 심훈소설 <상록수> 유달영작 <최용신소전> <샘골고등농민학원>이 실린 책들이 있다.

전시관에는 무시로 견학을 오는 관람객들을 위해 해설사가 대기하고 있고, 전시관 정면에는 선생께서 작사 작곡했다는 교가를 크게 전시해놓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반월성 황무지 골짜기로/ 따뜻한 햇빛은 찾아오네/ 우리에 강습소는 조선의 빛/ 우리에 강습소는 조선의 빛
오늘은 이 땅에 씨 뿌리고/ 내일은 이 땅에 향내 뻗쳐/ 우리에 강습소는 조선의 싹/ 우리에 강습소는 조선의 싹
황해의 깊은 물 다 마르고/ 백두산 철봉이 무너져도/ 우리에 강습소는 영원무궁/ 우리에 강습소는 영원무궁.

덧붙이는 글 | 실버넷 뉴스에고 올렸습니다.



태그:#안산 , #상록공원, #최용신, #기념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