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60주년을 기념해 5일부터 31일까지 27일간 서울 광화문 역사박물관에서 '건국 60년 국가기록 특별전'을 열고 있다.

 

정진철 국가기록원장은 이 전시회를 시작하면서 "건국 이후 현재까지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미래 대한민국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국가기록 특별전을 마련했다"며 "이번 전시에 실린 기록들은 건국 이후 60년 역사의 생생한 발자취를 담았다"고 자평했다.

 

이어 정 원장은 "고난과 역경을 딛고 새로운 60년의 도약을 약속하는 희망의 기억이기도 하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국가기록원 역사상 가장 큰 특별전인 이번 전시회는 연대별로 모두 6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졌다.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을 선포한 이승만 대통령의 취임과 제헌의회, 초대 내각, 헌법 제정 등 정부수립 역사를 다룬 '국가의 기틀을 놓다' 편 ▲1950년 6.25전쟁 등을 다룬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다' 편 ▲1960년~70년대 경제개발과 중화학공업 등 국가기간산업 육성 등을 담은 '기적의 열매를 맺다' 편 ▲1980년대 민주화운동과 아시안게임-올림픽, 북방외교 등을 담은 '민주화를 이루다' 편 ▲93년 대전엑스포와 2002 한일월드컵 4강 신화 등을 담은 90년대 이후를 다룬 '세계로 나아가다' 편 ▲'UN의 시선으로 본 한국' 등이 그것.

 

건국 60주년 국가기록 전시, 6월 항쟁 기록 왜 빠졌나

 

대한민국 정부수립 60년 역사 속에서 대표적인 큰 사건들을 다룬 이번 전시에서 유독 눈에 띄는 것은 80년대 '민주화를 이루다' 편에서 87년 6월 항쟁이 빠진 점이다.

 

'민주화를 이루다' 전시에는 80년 광주사태 종합상황 보고 문건을 시작으로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 ▲사회정화추진전담기구 신설계획안 ▲국가보위입법회의법 공포 ▲중고교 학생교복 및 두발제도 개선안 ▲해외여행 자유화 확대방안 건의 ▲반도체 공업육성계획 ▲고속전철 및 신국제공항 건설계획 ▲금강산댐 건설동향과 대응활동 ▲이산가족 노부모방문단 및 예술단 교환 기본추진계획 등이 담겨 있다.

 

이뿐 아니라 84년 프로야구경기 운영계획 검토 문건과 대학입학 학력고사령, 민속의 날 사회기강확립 대책 추진 등도 담고 있지만, 정작 민주화운동의 대명사인 87년 6월 민주항쟁과 관련된 기록은 빠져 있다.

 

호헌철폐 등을 요구했던 국민적 염원을 담아 87년 개헌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는 역사적 사건을 겪었음에도 이를 누락한 이유는 뭘까.

 

 

6.10 항쟁은 빠지고 6.3 한일회담 반대는 넣고?

 

이번 전시를 맡은 행정안전부의 한 관계자는 "국가기록원 안에 6월 항쟁과 관련된 기록이 없었다"며 "특별전 자료는 정부기관 것만 쓰는 것으로 결정돼 민간의 협조를 받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기관으로, 협조 요청하면 얼마든지 6월항쟁 관련 많은 자료를 제공할 용의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국가기록원은 이명박 대통령과 직접 연관된 한일회담 반대 6.3 데모와 관련된 기록은 민간 협조를 받아 전시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치적과 관계된 6.3 데모 기록은 송철원 '신시대21' 회장이 기증해 올 6월 기증식을 연 바 있다.

 

이와 관련 김종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홍보팀장은 "80년대를 민주화의 시대로 규정한 국가기록원이 민주화운동의 대표 역사로 기록되고 있는 87년 6월 항쟁을 기록에서 뺐다는 것은 그 자체로 납득하기 어렵다"며 "87년 개헌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게 됐는데 그 역사도 눈 감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어 김 팀장은 "6월 항쟁 시위와 관련된 국가 공식기록은 없겠지만 새로운 헌법체제를 담은 국가기록이 없다는 것은 믿기 힘들다"며 "건국 60년 기록에서 6월항쟁을 뺀 것은 최근 촛불집회와 무관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6월 항쟁과 촛불집회를 결합시켜 생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판단했을 것 같다"고 씁쓸해 했다.

 

이번 전시를 주도한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 '3대 원칙'을 갖고 진행했다고 밝혔다. 첫째 객관적이어야 한다, 둘째 정치적 오해의 소지를 낳지 말자, 셋째 대통령의 사진 크기까지 맞출 정도로 치우침이 없도록 균형을 맞춘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무엇보다 6월 항쟁 관련 기록이 빠진 것은 "절대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고 강조한 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국가기관인 줄은 몰랐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6월항쟁을 누락한 '건국 60주년 국가기록 특별전'과 관련, 한 기록학 연구자는 "친이명박 전시를 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사실을 바탕으로 한 기록의 특징은 정치적 중립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인데도 이번 전시를 통해 정권에 치우친 전시를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연구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국가기록원은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시민사회 기록도 충실히 수집하지 못한 결과가 이렇게 드러나게 된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는 모두 1억 80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됐으며,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관람하는 데는 모두 20여분이 걸리며 제헌헌법, 국새 모형, 축첩방지법 등 생활사 기록, 국가보안법, 방공법 기록, 4.19 사망자 명단 등과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기록 원본 등을 만나볼 수 있다.

 

대통령 기록 가운데는 붓글씨에서 펜글씨, 타자에서 전자기록으로 옮겨진 기록들과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변화된 기록물들도 한눈에 볼 수 있다. 전두환-노태우 군사정권 시절 자에 대고 맞춰쓴 '차트글씨'와 도표 등도 볼만한 기록물이다.  

 

 


태그:#건국 60주년 국가기록 특별전, #6월 항쟁, #친이명박, #행정안전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