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쿵푸팬더>에 대해 중국 언론의 시기와 질투가 예사롭지 않다.

<인민일보>는 최근 23일 문화면 기사 '쿵푸팬더(功夫熊猫)와 문화침략(文化侵略)'에서 중국 고유의 "문화 원형(原料)을 약탈해서 우리(중국)의 문화 보루(壁垒)를 넘어 문화식민(文化殖民)를 도모한다"고 주장했다.

<인민일보>는 자신들의 대표적인 문화상품인 쿵푸와 팬더의 매력을 빼앗아 간 것을 "1840년 이후의 굴육적인 아픔(1840那以后的屈辱的痛)"이라고까지 표현했다. 중국의 중앙 관영 신문사가 <쿵푸팬더>를 아편전쟁과 비교하면서 '세계의 문화 중심인 중국이 중화 사상에 입각한 창의적인 감각을 서양인들에게 탈취 당했다'는 감정을 토로한 것이다.

중국공산당 충칭(重庆)시 선전부가 주관하는 <화룽왕(华龙网)> 역시 '왜 쿵푸팬더는 우리를 분노케 하는가?(为什么让我们愤怒?)'라는 기사에서 "5천년이 넘는 중국 역사와 겨우 몇백 년 정도인 미국 역사"를 비교하더니 중국의 문화산업과 <쿵푸팬더>의 제작 감독에게 화살을 던지며 개탄하기조차 했다.

이러한 중국의 관영 및 당 기관지의 대응은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개봉한 <쿵푸팬더>에 대해 중국이 문화산업 또는 중화주의에 대한 방어벽을 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하지만, 19일을 전후로 개봉한 <쿵푸팬더>에 대한 중국 관객들의 반응은 다른 나라와 다르지 않게 아주 뜨겁다.

@IMG@

중국 대륙에서 비교적 객관적인 논조를 유지하고 있는 언론매체 중 하나인 광저우의 <남방도시보(南方都市报)>는 지난 21일 '영화 쿵푸팬더 박수갈채 스무 차례'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당시 관객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만족도에서 5점 만점에 4.41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전했다. 또 63.83%가 '팬더가 매력적인 중국문화 소재', 약 20%가 '청룽(成龙)의 더빙이 인상적'이었다고 답했고 무려 20여 차례나 웃음과 박수가 이어졌다고 소개했다. 여기에 달콤한웃음(甜笑), 바보같은웃음(傻笑), 미친듯웃음(狂笑), 폭소(爆笑), 미소(微笑) 등으로 웃음의 성격에 따라 영화의 상세한 줄거리를 소개했다.

영화 <쿵푸 팬더>의 소재인 쿵푸와 팬더를 직접 중국 현지에서 본 나는 과연 할리우드 문화자본이 어떻게 스토리와 이미지를 그려냈을지 궁금했다. 그래서 24일 저녁 <쿵푸 팬더>를 봤다.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웃음이 서서히 나올 정도로 <쿵푸팬더>는 재미있었다. 그런데 그 웃음의 요인들은 다분히 익숙한 것이었다. 특히, 주인공 팬더 '포'가 '용의 전사'를 뽑는 무술대회장에 들어가려고 애쓰지만 번번히 실패하는 것이나 용이 물고 있던 비문에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았던 것에서 굉장히 '한국적 해학'을 느낄 수 있었다. 아마도 스토리 감독이 한국인이라는 것과 무관해 보이지 않았다.

@IMG@
그런데 영화를 보면서 불편한 것 몇 가지가 눈에 띄었다. 주인공 포를 비롯, '무적의 5인방'과 사부들, '포'의 아버지를 빼고 간혹 거위 몇마리가 보이기는 하지만 일반 서민들은 왜 전부 돼지와 토끼뿐일까. 내가 아는 한 영화 마니아는 이를 '자본주의(돼지)'와 '사회주의(토끼)' 체제로 설명했다.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표범 '타이렁'에 맞서 '지구를 지키는' 호랑이, 학, 뱀, 원숭이, 사마귀 5인방은 쿵푸 권법에서 만든 캐릭터이지만 미국, 러시아, 영국, 일본, 독일 등 선진 강국의 이미지와 겹쳐지는 것은 지나친 연상일까. 힘센 영웅, 권선징악, 정의와 불의로 편 가르는 할리우드 영화의 전형적인 구조다.

실력이 모자라지만 꿈 속에서라도 쿵푸 영웅이 되고 싶어하는 평범한 팬더 포는 '용의 전사'로 지명 받는 '웃기는' 시추에이션에 처하게 된다. 포는 계단도 힘에 겨워 제대로 오르지 못하는데도 그리스 올림피아 제전이 연상되는 경연장에서 로켓포를 타고 날아올라 하늘에서 '우연하게' 떨어져 '전사'로 지명 받는다. 이쯤 되면 베이징 올림픽 생각이 나지 않을 수 없다. 

@IMG@

영화에 등장하는 공간적 배경은 나에겐 아주 익숙했다.

'제이드 궁전'을 오르는 계단은 태산의 남천문을 오르는 '십팔반(十八盘)'과 닮았으며, 산 위에서 바라본 멋진 봉우리는 황산의 북해 운무를 연상시킨다. 궁전 안은 베이징 고궁의 태화전 안을 비추고 있고 안과 밖에 있는 돌기둥에 새겨진, 하늘로 오르는 듯한 용 문양들은 황제의 지위를 의미하는 '두마리 용이 구슬을 가지고 논다'는 '이용희주(二龙戏珠)'이기도 하다. 금동사자상도 잘 배치돼 있고 소림사에 가면 볼 수 있는 훈련장도 비슷했다. '타이렁'과 5인방이 대결하는 구름다리의 뒷배경으로 나오는 수많은 돌 봉우리는 윈난 쿤밍에 있는 석림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했다.

중국의 쿵푸 권법, 팬더 외에도 자연과 건축물, 갑옷이나 소품, 길거리들에 대해 아주 많이 연구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무려 4년 반을 준비한 프로젝트답게 디테일 곳곳에 '중국적'인 문화가 많이 묻어 있다. 

@IMG@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머릿속이 복잡했다. '왜 중국 사람들은 자신들의 것을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을 질시와 의혹으로 바라보는 것일까'하는 생각에서였다. '중화'라는 틀 속에 가둘 수 없어서일까. 이 대목에서 쓰촨 지역 <쿵푸 팬더> 상영금지 조치를 이끈 자오반디(赵半狄)의 이야기를 해보자.

팬더 예술가를 자처하는 자오반디는 쓰촨의 지진 발생지에서 팬더 인형을 머리에 쓰고 다니면서 유명해졌다. <쿵푸 팬더>의 중국 상영을 앞둔 시점인 6월 15일 그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할리우드 배우 샤론 스톤의 '인과응보(티베트 시위와 연관해 쓰촨 지진 발생을 표현)' 발언과 관련해 <쿵푸팬더>를 '꺼져버려(滚蛋)!'라고 하면서 '할리우드(好莱坞)를 문화 강도'라고 지칭했다. 6월 18일에는 '나는 왜 <쿵푸팬더>를 배척하는가?(我为什么抵制《功夫熊猫》?'라는 제목의 글에서 "팬더는 쓰촨 및 중국 것(熊猫是中国的)이고, 미국이 악의적으로 묘사하고 조롱하는 것을 참을 수 없어 영화로 한몫 보도록 놔 두는 것은 너무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이런 분위기는 인터넷을 통해 공분을 일으켰고 각 언론 매체까지 보도하기 시작했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영화 심의를 주관하는 국가광전총국영화국(国家广电总局电影局)은 쓰촨 지역의 <쿵푸 팬더> 상영을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IMG@

물론 쓰촨의 상영금지 조치는 곧바로 해제됐다. 이런 논란 때문인지 쓰촨 청두(成都)에서는 개봉일 기준 사상 최고의 관객이 들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샤론 스톤과 할리우드를 동일시하는 자오반디의 논리도 무리고, 팬더와 쿵푸가 중국적인 것이기에 안된다는 논리는 '쿵푸와 팬더는 전 세계의 것(功夫和熊猫是属于全世界)'이며 오히려 '세계에서 호평 받고 있는 영화인데 자오반디의 말은 아주 이상한(非常奇怪) 생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오히려 '중국의 문화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반드시 중국의 문화 원형이나 코드를 잘 활용해야 한다(而要开发中国的文化产品,就必须运用中国的一些文化元素和符号)'는 <징바오(竟报)>의 기사가 힘을 얻고 있다.

이후 자오반디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팬더를 소재로 한 영화를 제작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스위스 투자자까지 언급한 걸로 봐서 '중국적인 팬더 영화'를 만든다는 자오반디의 계획은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과연 자오반디는 어떤 영화를 내놓을지 궁금해진다. 팬더는 중국의 것이지만 더 이상 중국만의 것이 아니기도 하다. 문화 원형에는 저작권이 없다. 더이상 소재만을 논란 삼지 말고 그 속에 숨은 영화의 미학이나 산업의 정치경제적 해석에 대한 뜨거운 논쟁 기사를 보고 싶다. 유치한 논리보다는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려는 중국 사람들의 치열한 고민이 없다면 국보 '팬더'를 잃고 그저 영화 속 '돼지'이거나 '토끼'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개인블로그 www.youyue.co.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쿵푸팬더 헐리웃 중국문화 자오반디 중국언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발품취재를 통해 중국전문기자및 작가로 활동하며 중국 역사문화, 한류 및 중국대중문화 등 취재. 블로그 <13억과의 대화> 운영, 중국문화 입문서 『13억 인과의 대화』 (2014.7), 중국민중의 항쟁기록 『민,란』 (2015.11) 출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