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앗 뜨거!”

“아이쿠, 죄송합니다. 아, 정말 죄송합니다.”

 

초저녁이었다. 마트에서 장을 보고 횡단보도 앞에 잠시 서있을 때였다. 그곳은 신호등이 없지만, 사람들이 이쪽과 저쪽 양쪽에서 웬만큼 모여들고 차들이 뜸해지면 자연스럽게 길을 건너는 곳이었다.

 

그날은 날씨가 좀 풀려 재래시장과 마트 쪽으로는 사람들이 북적댔다. 퇴근시간 즈음이라 그런지 어묵과 떡볶이 파는 곳에는 사람들이 빙 둘러 서서 출출한 배를 따끈한 국물로 달래고 있었고, 붕어빵집 아주머니도 손놀림이 빨라지고 있었다.

 

내 한쪽 손엔 물건들이 가득한 장바구니가 들려 있었고 다른 한 손에도 대파를 담은 비닐봉지가 들려있었다. 모였던 사람들이 길을 건너려고 해 나도 발을 뗐다. 무심코 걷다 비닐봉지를 든 왼손에서 뭔가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느꼈다. 뭔가 찌릿한, 아니면 따끔한 그 무엇이었다. 순간, 내 앞으로 지나간 아저씨 왼손 손가락에 담배가 끼어있는 걸 봤다. 담배냄새도 코끝에 닿았다.

  

“아니, 담배를 어떻게 들었기에…. 어후! ”

 

지나가는 사람들이 뒤를 돌아보았다. 길 한복판에 서 있을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그 아저씨는 정말 미안했는지 가던 길을 되돌아 와 거듭 죄송하다고 했다. 나는 담뱃불이 스쳐 쓰린 듯한 엄지손가락 위를 입으로 후후 불었다. 화가 났지만 이럴 땐 어떡해야 하는지 딱히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다.

 

금연을 결심하는 사람들이 해마다 늘어난다고 하지만 내 눈엔 담배 피우는 이들이 눈에 더 많이 띈다. 그것도 길을 걸어가면서 피우는 사람들이 왜 그리도 많은지 모르겠다. 엘리베이터 안에 들어섰을 때도 담배연기에 절은 옷들이 내뿜는 냄새 때문에 코끝이 매캐한 적이 있다. 동네 공원에는 여전히 담배꽁초를 줍는 사람이 있고, 식당에서도 담배 피우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무심코 걸어가다가 누군가의 담배연기에 불쾌해질 때도 있었다. 그럴 때는 그 사람을 앞질러 가거나 길을 바꿔 가곤 했다. 

 

담뱃불이 스쳐간 내 손은 괜찮아졌다. 집에 와서 화상연고를 발랐더니 하룻밤 만에 아무는 것 같았다. 그렇지만 그때를 생각 할수록 아찔했다. 내가 그 아저씨와 키가 엇비슷했으니 망정이지 만약 키가 작은 사람이거나 어린아이였다면 어찌되었을까? 그 아저씨 손가락에 낀 담배가 아이의 눈이나 얼굴에 스쳤다면…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때, 어쩌면 생각보다 아주 치명적인 사고가 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거리에서 피우는 담배, 어른의 손가락에 낀 담배는 아이의 눈높이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 담배 피우는 사람은 ‘흡연권’을 얘기하겠지만 학교나 공공건물의 금연장소는 물론 거리에서도 흡연을 금지하는 법이 필요할 듯싶다.

덧붙이는 글 | sbs 유포터에 송고합니다.


태그:#담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간에게 가면을 줘보게, 그럼 진실을 말하게 될 테니까. 오스카와일드<거짓의 쇠락>p182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