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님을 처음 만난 게 1991년이었다. 교사가 된 지 1년 조금 넘은 햇병아리 시절이었다. 강원지역 동학농민전쟁 유적지 답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참가하면서 선생님을 만나게 된 것이다. 당시 선생님은 역사문제연구소에서 주관하는 동학농민전쟁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동학농민전쟁 유적지 기행을 하던 중이었다.

 

역사에 대한 변변한 안목도 없이 덜컥 교단에 서서 교과서 내용 제대로 소화해 수업하기도 벅찬 햇병아리 교사에게 선생님과 함께 했던 1박 2일의 답사는 굉장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배우고 익힌 역사는 대부분 국가에서 편찬했던 역사였다. 당연히 나고 자란 내고장의 역사에 대해서는 더욱 무지했다.

 

800여명의 농민군이 가을 들판의 볏단처럼 쓰러져갔던 홍천 자작고개에서 유족을 모시고 증언을 들으며, 강릉 선교장에서 동학농민군 토벌 기록을 보면서, 농민군들이 처형되었다던 곳에 서서, ‘메밀꽃 필 무렵’의 땅에서 농민군의 핏빛 숨결을 확인하면서, 내 고장의 뜨거운 역사를 만난 감격으로 얼마나 가슴이 뛰었던지……. 

 

그 뒤로 이이화 선생님을 뵌 적이 없으니 그 만남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하지만 선생님과의 또 다른 만남은 지속되었다. 선생님의 글과 책을 통한 만남이다. <한겨레>에 연재되었던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은 연재될 때마다 워드로 쳐서 깔끔하게 편집까지 해서 보관까지 했다.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 <우리겨레의 전통생활> <이야기 인물 한국사> <한국사 이야기 22권> 등을 편찬하여 우리의 민족사, 민중사, 생활사를 현재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소개하는 데 온힘을 쏟았다.

 

이이화 선생님이 최근 또 한 권의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한 권으로 된 <역사>란 책이다. 인류의 기원과 단군의 건국에서 시작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까지의 역사를 한 권으로 묶었다.

 

태초부터 80년대까지의 방대한 역사를 한 권의 책으로 묶다보니 꽤 두껍다.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평생을 역사 연구에만 매달려온 노학자의 내공이 진하게 느껴진다. 1991년 강원도 홍천 자작고개에서 가을철 볏단처럼 무수히 쓰러져간 농민군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면서 답사지 대한 설명을 해주던 이이화 선생님의 마음이 <역사>란 책의 곳곳에서 되살아나고 있다.

 

<역사>는 두께에 비해 술술 잘 읽히는 책이다. 구수한 입담과 해박한 역사 지식이 한 데 어우러져 감칠맛 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하는 역사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마치 솜씨 좋은 화가가 그림으로 보여주듯 생생하게 역사를 되살려주고 있다.

 

재미와 흥미를 추구하면서도 일반 개설서에서 쉽게 보기 힘든 내용도 많다. 임진왜란 당시 중생을 구제한다는 뜻의 ‘나무묘법연화경’이란 깃발을 들고 조선을 침략했던 왜군들, 여몽연합군이 쓰시마 섬을 정벌한 뒤 저지른 학살, 만두와 소주의 유래,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비겁한 행동, 독재 타도와 민주화 쟁취를 위한 저항과 격동의 현대사, 그런 상황에서도 독재자의 생일날 헌시를 바친 유명한 시인 이야기 등등.   

 

단지 과거 속에 머물러 있는 역사가 아닌, 현실 속에서 살아 숨쉬는 역사를 느껴보고 싶다면 이이화의 <역사>를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시간 내서 한 번 읽어보고 마는 것이 아니라 손 내밀면 닿을 거리에 두고 시간 날 때마다 꺼내 읽어볼만한 정말 괜찮은 책이다.

덧붙이는 글 | <역사> 이이화 / 2007년 7월 / 열림원 / 14,500원


역사

이이화 지음, 열림원(2007)

이 책의 다른 기사

한 대학자의 우리 역사 이야기

태그:#이이화, #역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내가 서 있는 모든 곳이 역사의 현장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