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YMCA사태 대화없이 파국으로

표이사장 말로만 대화, 뒤로는 징계 해임
03.01.06 19:13l

검토 완료

이 글은 생나무글(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지난 해 9월 김수규 서울YMCA 전 회장의 사퇴 이후 4개월째 접어들고 있는 '서울Y사태'가 표용은 이사장의 대화거부와 해고 위주의 인사조치로 인해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표용은이사장 ⓒ 김종남

표 이사장은 김윤식 국장(회장직무대행)을 통해 개혁운동의 핵심지도력에 대한 '보복인사발령', 이에 불응하는 세 간사에 대해 대기발령이라는 추가 징계와 징계해임절차 통고, 개혁운동참여 간사 지도자들에 대한 또 한 번의 보복인사, 계약직 지도자 대거 해임 등 강경일변도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마치 관련자 모두를 내쫓겠다는 기세다.

반면에 표 이사장은 사태 초기에 스스로 언명한 '대화'에 한 번도 응하지 않으면서 정해진 진압 수순을 밟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해 10월 표 이사장은 김 전 회장 퇴진에의 계획적인 개입과 모국장의 비자금설에 대해 ’절차를 밟는다면’ 대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입장은 서울Y개혁재건회의 대표들의 거듭된 대화요구에 측근과 기자들을 통해 수 차례 전달되기도 했으나 한 번도 지켜진 적은 없다.

표 이사장은 10월 이사회내에 진상조사기구를 구성하였으니 이들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개혁회의 대표들이 서울Y 이사회의 감사 두 명과 이사 한 명을 공식적으로 만나는 데는 무려 두 달이 걸렸다. 이 기간동안 표이사장은 자신을 찾아온 개혁회의 인사들에게 "회원과 얘기할 필요가 없다", "진상조사기구와 협의하라"며 대화를 거부했다.

이사회의 진상조사기구 활동이 흐지부지되자 지난 12월 정기이사회에서는 5명의 이사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5인 특위는 표 이사장의 거취문제를 포함하여 헌장개정 및 여성회원 투표권 부여, 비자금 문제 전반에 대해 개혁회의측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

하지만 5인특위가 구성된 바로 그 이사회에서 표 이사장은 징계규정을 바꾸면서까지 남부원기획부장을 포함한 세 명의 핵심간사들을 제거할 칼을 갈았다.

결국 지금까지 표 이사장은 한 번도 개혁회의 회원이나 실무자 누구와도 대화를 한 적이 없다. 표 이사장과 중재를 하겠다고 나선 소수의 인사들이 몇 번 이야기를 나눈 게 전부다. 표 이사장은 전국총무협의회의 중재단마저 김국장을 통해 만남 자체를 거부했다.

김국장을 비롯한 일부 간부실무자들도 표이사장의 의도대로 움직였다. 모국장은 지난 11월 전국총무협의회에서 "(서울Y의)내부논의가 진행 중이므로 이 사안을 유보하거나 배제해 달라"며 총무협차원의 의견이나 행동을 막았다. 당시 모국장의 수습안이란 개혁운동에 반대하는 내용의 문건에 직원연명을 받은 것이었고, 사태는 전혀 수습되지 않았다.

며칠 후 열린 연맹이사회에서도 서울Y 일부 이사들은 "진행 중인 내부 논의가 있고 곧 마무리 된다"며 서울Y문제의 안건상정을 막았다. 당시 '진행 중인 내부 논의'는 없었다.

서울YMCA는 지난 해 9월 김수규 전회장의 퇴진을 표이사장이 계획적으로 추진했고, 모국장이 비자금을 조성 운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후 이에 반발하는 회원 실무자들과 표이사장간의 대치상태가 3개월째 계속되어 왔다.

올해로 100살이 된 서울YMCA, 새로운 세기를 맞아 거듭나기 위한 진통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YTIMES.ORG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