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인 이상화로 상징되는 도시 대구, 국채보상운동의 대구, 대한광복회의 모태였던 대구, 1956년 대통령 선거 때는 72% 이상의 시민들이 조봉암을 지지했던 대구, 1960년 교원노조의 발상지였던 대구, 4월혁명의 도화선인 2.28학생운동을 일으켰던 대구, 해방직후 '1946년의 대구'를 역사에 안은 대구... 그러나 2007년 대선 때는 야당후보를 6%만 지지했던 대구... 위의 사진은 2.28학생의거를 보도한 신문기사를 바탕으로 주동학교인 경북고 교정의 기념탑(왼쪽)과 대구고 교정의 기념탑(오른쪽)을 배치한 모습이다.

ⓒ정만진2012.06.03
댓글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관련기사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회원 의견 0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