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기영시인 다섯번째 시집
▲ <국밥론> 박기영시인 다섯번째 시집
ⓒ 시와에세이

관련사진보기

 
누군가에겐 문학이 쓸모없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내 몸에 쌓여있던 독에는 문학이 제일 좋은 해독제였던 것 같다. 글만큼 자기 치유와 자아 성찰에 좋은 도구가 또 있을까. 글을 읽고 썼기에 살았고, 살아냈다.

그렇게 절박함으로 밀어 올린 나의 시가 누군가에게도 의미가 되고, 또 다른 누군가를 삶으로 밀어 올려준다면 정말로 감사한 일이었다.

김수영 시인의 "시는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라는 말처럼, 국밥론의 저자 박기영 시인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내가 바라보는 세상이 얼마나 절박하게 나를 삶으로 밀어 올릴 것인가에 관심이 많다"라고 말이다. 아! 삶으로 나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몸부림치던 모든 순간들이여!

시집 끄트머리에 실린 시인의 에세이에서 "그 세계에 내가 어떻게 착지하는 것인가에 더 매달린다"라는 문장에 밑줄을 그었다. 내가 내 삶에 삐끗하지 않고 잘 착지했던 것은 시를 읽고 쓴 덕분이었다.

박기영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국밥론의 제1부는 한 끼의 평등을 나타내는 국밥 한 그릇에 대하여, 음식을 매개로 생명과 삶을 사유한다. 세상살이 서글퍼서 눈물 나지만, '살아가는 일은/내 몸의 독을 다스리는 일/날숨과 들숨으로 가슴 다독여/갈비뼈 깊숙이 숨어있는 슬픔 추스르며/어두운 그림자 쓸리는 이야기를/두 발로 끌고 가는 일'(새벽 국밥집에서 중에서)이라 토닥인다.

순례자라 불리는 박기영 시인은 삶을 시로 옮기고, 살아가는 모든 숨 붙은 것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1부에 담긴 음식과 삶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시인의 시선을 따라 같이 걸었다. 순례길의 초입에 들어선 가뿐한 마음으로 말이다.

절필했던 그가 다시 시를 쓴 이유

한 때 절필 하고 방송일에 뛰어들었던 박기영 시인이 다시 펜을 든 건, 세월호 참사 사건 때문이었다고 한다. 문학판에서 멀어졌던 시인은 그 사건을 통해 오랫동안 닫혀있던 기록자로서의 의무를 다시 상기했다고 한다. 제2부 고래의 귀향 편에 실린 작품들에는 아득한 그리움과 깊은 슬픔이 묻어난다.

당시 박기영 시인은 길을 가다가도 문득 멈춰 서서 시를 써 내려갔다고 한다. 최영미 시인이 '선운사에서'를 통해 노래하였듯, 절절히 그리운 누군가를 잊는다는 건 영영 한참 걸릴 일이며, 김용택 시인이 '사람들은 왜 모를까'라고 물었듯, '봄'은 손에 닿지 않는 것들이 피어나는 계절인 것이다. 
 
'한겨울에도/ 눈송이보다 더 많은/ 노란 나비들이/ 수없이 날아다니던 하늘 //그 아래 걸어가면서/ 지금도 사월/ 바다 위를 서성거리는/ 나에게 편지를 쓴다./(봄편지 중에서)

박기영 시인이 써내려간 슬픈 봄편지와 더불어 2부에 실린 작품들에서, 진심 어린 애도의 편린들이 전해진다.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최순화씨가 지난 1월 1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세월호참사 10년 동안 마음을 내어준 시민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10주기 잊지 않고 함께 해 달라며 노란 장미를 선물하고 있다.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최순화씨가 지난 1월 1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세월호참사 10년 동안 마음을 내어준 시민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10주기 잊지 않고 함께 해 달라며 노란 장미를 선물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제3부 '산성 학교' 편은 이 땅에 이주민으로 유입된 사람들의 삶의 애환을 그려낸다. 이주민은 타향살이하는 사람들을 뜻하는데, 어디 타향 살이 중인 사람이 이주민뿐일까. 우주적인 큰 관점에서 보면, 탯줄을 끊고 이 땅에 태어남으로써 우리 모두는 이미 '모태'라는 고향을 한 번 떠나온 사람들이다.

헤르만 헤세가 이별이란 시에서 "고향은 내 마음속에 만들어야 하리라"라고 노래하였듯, 고향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마음이 있는 곳에 있다. 유한한 인간의 삶도 언젠가는 끝을 맺고 흙으로 돌아간다.

우리 모두는 삶에 있어 나그네다. 나와 뿌리부터 완전히 다른 삶의 면면들을 다 이해할 순 없겠지만, 이 세상에 어쩌다 태어난 똑같은 나그네로서, 서로의 삶에 작고 따뜻한 친절이 될 수는 있으리라. 그리해야 모두의 험난한 순례길이 생각했던 것보다는 견딜만했고, 살아볼 만했고, 진실로 아름다웠던 삶이 되지 않을까.

시는 사실이 아닌 진실을 추구한다. 진실은 가볍지 않고 묵직하며, 낭만적이기보다 처절하다. 인생은 본질적으로 시린 겨울을 견디는 인고의 과정이며, 얼어붙은 강 밑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마시며 간신히 틔워 올린 새싹 같은 것이다. 진실한 시에는 삶이 묻어나며 아픔과 슬픔의 향기가 배어있다. 박기영 시인의 국밥론도 그러하다.

노란 개나리 터지고 벚꽃 여물어가는 사월이 돌아온다. 눈부시게 아름다워서 그리움은 더욱 잔인해지는 사월에, 사랑하는 이들과 뜨끈한 국밥 한 그릇을 먹자. 충북 옥천에서 옻 연구 중인 순례자, 박기영 시인의 국밥론과 함께 봄과, 삶과, 인생을 순례하는 뜨거운 봄이 되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개인 브런치 (https://brunch.co.kr/@claire1209)에도 실립니다.


국밥論

박기영 (지은이), 시와에세이(2023)


태그:#박기영시인, #시와에세이, #시집리뷰, #양윤미시인, #국밥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인/ 문화예술기획자/ 『오늘이라는 계절』 (2022.04, 새새벽출판사) 울산북구예술창작소 감성갱도2020 활동예술가 역임(2022) 『사는 게 만약 뜨거운 연주라면』 (2023.10, 학이사) 장생포 아트 스테이 문학 레지던시 작가(2024) (주)비커밍웨이브 대표, (사)담문 회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