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낙연(전 총리). 연대와 공생 포럼 ‘대한민국, 위기를 넘어 새로운 길로’ 기조연설 모습. 2023. 11. 29.
 이낙연(전 총리). 연대와 공생 포럼 ‘대한민국, 위기를 넘어 새로운 길로’ 기조연설 모습. 2023. 11. 29.
ⓒ 이낙연

관련사진보기


'통합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꾸려지면 당에 남겠다.' 

'어떤 조건이 달라져야 당에 남는 길을 택하겠냐'는 취지의 질문에 대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답이다. 

이 전 대표는 21일 오전 YTN 라디오 '박지훈의 뉴스킹'에 출연해 "비대위라는 것은 대표직 사퇴를 말한다. 지도부를 바꾸는 (것)"이라며 자신의 탈당을 막고 대화를 시작할 조건으로 '이재명 대표의 사퇴'를 제시했다. 앞서 이 전 대표는 당이 바뀌지 않으면 탈당해 내년 1월 신당을 창당하겠다는 결심을 밝히며 당에 '변화'를 촉구해 왔다.

이낙연 "이재명 사퇴 등 통합비대위 전환하면 대화하겠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윤석열 정부가 혼미한데 (민주당이) 야당으로서의 견제나 대안 제시를 제대로 못하고 '침묵의 단합'을 하고 있다"며 그 원인으로 "도덕성 마비"를 지적했다. 이후 진행자로부터 '당 내 혁신계 의원 모임인 원칙과 상식이 주장하는 통합형 비대위가 도덕성 마비의 해법이 될 수 있냐'는 질문을 받고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원칙과 상식 의원들은 그나마 수용 가능성이 있는 제안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 전 대표는 비대위가 아닌 '공동 선거대책위(선대위)' 체제를 꾸리는 방안에 대해서는 명확히 선을 그었다. 이날 인터뷰 과정에서 이 전 대표가 이해찬 전 대표와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지난 총선 당시가 언급되자, 이 전 대표는 "이해찬 전 대표는 물러나지 않았다. 당신이 당무 담당 공동선대위원장(을 맡고), 저는 대외 담당을 했다"고 답했다.

이어 "그런데 이걸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민주당 국회의원 수도 지금보다 많았는데 참패했다. 중도 또는 무당층 표를 끌어오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라며 "지금은 그때보다 중도, 무당층의 생각이 훨씬 더 나빠졌다, 그런 모델로 가면 성공할까?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진행자가 "이재명 대표가 물러나 있는 게 맞다고 보냐"고 질문하자 "민주당의 혁신은 나와 협상할 일이 아니"라면서도 "민주당 스스로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고 지금의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민주당이 어떤 태세로 임할 것인가를 국민께 보여드리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부겸, 어떤 심경인 줄 아는데 '결과' 없어 실망"

한편 이 전 대표는 전날(20일) 이재명 대표가 김부겸 전 총리와 만난 데 대해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김 전 총리는 이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이낙연 전 총리를 비롯해서 많은 분들을 당 통합을 위해서 만나고 또 충분히 대화하라"고 조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이 전 대표는 "김부겸 전 총리께서 당에 대해 무엇을 걱정하고 어떤 충정을 갖고 계신지 잘 안다"면서도 "그럼에도 결과로 나온 것은 아무것도 손에 쥐어지지가 않는다. 그 점에서 실망스럽다고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결론이) 아무 것도 없어서 (신당 창당 관련) 실무적인 일은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연말까지 민주당에 시간을 주겠다'는 제 말은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태그:#이낙연, #이재명,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댓글2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