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3일 충남도청 602호 소회의실에서는 지역공공의대 설치를 위한 충남지역 현장 간담회가 열렸다.
 지난 13일 충남도청 602호 소회의실에서는 지역공공의대 설치를 위한 충남지역 현장 간담회가 열렸다.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1996년부터 충남의 한 공공의료원에서 일했다. 현장에서는 의사 부족을 느끼고 있다. 의사는 부족한데 환자가 많으면 질 낮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밖에 없다."

지역 공공의대 설치 관련 간담회에서 나온 어느 간호사의 호소이다. 실제로 충남은 인구 천명당 의사 수가 1.5명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지역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의대를 설립해 부족한 의료인력을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의당 충남도당(위원장 한정애)은 지난 13일 충남도청 602호 소회의실에서 지역공공의대 설치를 위한 충남지역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는 강은미 의원이 지역 공공의료 종사자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듣는 형태로 진행됐다. 강 의원은 지난 7월 '지역 공공의대 설치법'을 발의했다.

이날 전오진 천안 경실련 사무국장은 "정부는 즉각 공공의대법 개정에 나서야 한다"며 "지역 필수의료 인력 확보위해서는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최소 1000명 이상 증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도권·충청권·전라권 등 권역별로 4개의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 의대 정원 확대 뿐아니라, 지역 공공의대 설립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역 의대 출신들이 지역에 머물며 의료활동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정애 정의당 충남도당 위원장은 "국립의대와 국립병원은 국민 건강과 생명의 최후의 보루인데, 충남에는 둘 다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대정원 확대만으로 지역의 열악한 의료체계 개선이 어렵다. 의대를 졸업하고 대부분 수도권으로 도시로 가버리기 때문"이라며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간담회에 참석한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의 의대 졸업생이 지역으로 취업하는 비율은 30%에 그친다. 60% 이상이 수도권으로 취업을 한다"며 "순천향 의대 부속병원은 서울, 부천, 천안, 구미에 있지만 서울, 부천 쪽으로 나간다. (의대가 있는) 단국대 천안 캠퍼스 본대학 소속이라서 지역 인재 선발 대상에서도 제외 된다"고 전했다. 

충남의 한 공공의료원 관계자도 "지역 의료 현장에서는 의사 부족을 피부로 체감하고 있다. 의사가 부족하면 국민의 건강권이 위협 받는다"며 "쉬운 예로 의사가 부족하고 환자가 많으면 질 낮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가 부족하면 환자의 진료 시간은 짧아지고, 대기시간은 길어진다. 응급실도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현재도 응급실, 소아과, 산부인과는 지원자도 없고 일할 사람도 없다. 필수 인력의 공백이 심각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 있지 않다. 지역에서 의사를 양성하고 교육·수련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길은 결국 공공병원을 늘리고 병상수를 늘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지역에 4개 정도 공공병원을 만들어야 한다. 어디에나 의료의 손길이 미칠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은미 의원도 충남의 의료인력 부족에 공감을 표했다. 강 의원은 "인구 천명당 의사수는 전국 평균 2.13명이다. 하지만 충남은 1.54명으로 의사수가 부족한 상황이다"라며 "서울 3.37명에 비하면 충남은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충남소재 의대 정원 숫자는 182명이다. 부족한 편은 아니다. 하지만 충남에서 배출되는 의사의 70%가 지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간다"며 "의사가 부족하면 감염병 대응이나 중요 질환 등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 그런 측면에서 지역 공공의대 설립을 깊게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태그:#지역공공의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