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두환 정권기였던 1983년 12월 11일, 그날은 나와 철도학교 동문인 한희철이 군대에서 의문사한 날이다. 한희철은 1978년 12월 국립 철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철도청에 근무하다 1979년 3월 철도장학생으로 서울공대에 입학했다.

오는 12월 11일이면 한희철이 이 땅을 떠난 지 어느덧 40년이 된다. 그가 죽은 날 나도 군복무 중이었다. 진실이 은폐되고, 사실이 감춰진 엄혹한 시절, 그래서 나도 당시 군대에서 그의 억울한 죽음을, 죽음의 원인을 전혀 알지 못했다.

지금은 거의 상투어가 되다시피 한 '자유' '민주주의' '사회정의'의 가치를 추구하다가 그는 23살의 젊은 나이에 망자가 됐다. 하지만 그의 희생덕분에 나는 40년이 흐른 지금도 목숨을 부지하고 있다. 역사는 흐르고 사람은 가도 정신은 남는다. 산 자가 망자에 대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의는 그가 남긴 정신과 열망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일 것이다.

이은희 단국대 초빙교수는 한희철의 철도고 동기이자 지난 1970, 1980년대 한희철과 함께 우리사회의 민주화를 꿈꾸었던 '절친'으로서 지금 한희철 40주기 추도식을 준비하고 있다. 아래는 지난 10일부터 21일까지 이 교수와 이메일과 페이스북 메신저로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진상규명 운동을 하고 있는 이은희 교수(왼쪽)
 진상규명 운동을 하고 있는 이은희 교수(왼쪽)
ⓒ 이은희

관련사진보기

  
- 1970, 1980년대 당시 불교도인 이은희 박사가 보기에 가톨릭교도 한희철 신앙의 특징적인 점은 무엇이었나?

"하나의 특징은 그의 돈독한 가톨릭 신앙이 가톨릭교회의 범주에 그를 가두는 폐쇄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톨릭 신앙을 강력한 구심으로 어떤 사상적, 종교적 제약도 두지 않고 자유롭게 확장되는 개방적인 것이었다는 것이다.

기독교 운동권 명망가인 이해학 목사의 성남시의 주민교회, 기독교학생협의회, YMCA와 같은 개신교단체, 불교나 천도교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교일치운동(에큐메니칼)을 추진하는 운동, 고 김준기 교수 같은 진보적 활동가, 좌익경향이 있는 학생운동가, 노동운동가 등과 제약 없이 활발히 교류하는 등에서 보듯, 그의 신앙의 개방성은 그의 탁월한 친화력과 맞물려 이 사회의 민주주의, 경제정의, 민족통일의 대의에 앞장서는 모든 이들과 함께 하는 '대동단결'의 하모니를 가감 없이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그의 사상과 행동은 추상적이거나 공허하지 않으며, 너무나 '인간적'이고 구체적이며, 정감이 있다. 그가 꿈꾸던 '하느님의 공의'가 이루어지는 사회의 주체는 '민족, 인류, 가난한 사람들, 방황하는 사람들, 고통 받고 신음하는 사람들, 미래가 열리지 못한 어린이들, 자유, 평화, 민주주의, 하느님, 또 진리를 수호하기 위해 수난당하는 이들, 그리고 나의가족, 친구들, 애인' 이다. 이들을 하나로 모으는 힘은 이념의 세례나 교조의 세뇌가 아니라 바로 사랑이다.

이들은 '사랑을 받으면 행복을 느끼는 사람들'이고 또 '사랑을 받기만 하면 사랑을 할 줄 아는 이들'이며, 그렇기에 하느님의 사랑을 배워 이들에게 '온 몸을 태워' 가르쳐 주는 것이 하느님의 공의가 이루어지는 세상을 만드는 유일한 '개벽'의 길이라고 믿었다. 민중과 일상을 함께 하며 하느님의 사랑을 가르치고 수난의 길을 걸은 예수의 길이 바로 이 길이고, 그러하기에 한희철은 그의 죽음을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된 걸음'으로 불러달라는 서한을 남겼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특징은 한희철은 그 자신의 신앙적 믿음과 지향은 너무나 순수했고 배타적일 정도로 비타협적이었다는 점이다. 동료나 친구, 후배, 노동자, 농민, 핍박받는 이들을 대할 때는 겸손하고 자상하며 사려 깊고 부드러우나, 자신의 믿음과 가치를 지키는 데는 철저하게 일관되고 '거만할 정도로' 고고했다.

이러한 신앙의 배타적 순수성이 세상의 핍박과 수난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여 십자가에 못 박힌 수난기 예수의 삶을 따르는 것을 자신의 운명으로 동일시하게 만든 바탕이었을 것이다."

- 지난 1983년 12월 11일, 한희철이 군대에서 의문사 했다는 이야기를 언제 어떻게 알게 됐나?

"나보다 5개월 정도 늦게 군에 입대한 한희철과 간간이 서신을 통해 서로의 안부를 전하곤 했는데 특별히 1983년 10월 한희철이 곧 휴가를 가게 되니 내가 복무하던 부대로 면회를 오겠다는 서신을 받았었다.

서신에서 언급한 휴가기간이 돼도 한희철이 면회를 오지 않아 무슨 일인가 궁금해 하던 차에 휴가기간에 바빠서 올 시간을 내지 못했고, 곧 의가사 전역을 하게 될 것이라 전역 후에 면회를 오겠다는 서신을 받게 되었는데 이것이 한희철과 생전에 교류했던 마지막 연락이었음을 당시에는 전혀 상상도 하지 못했다.

그가 면회 오겠다는 날이 한참이나 지난 1984년 7월 초 드디어 26 개월의 군복무를 마치고 집에 복귀한 후 나는 그간 연락이 없던 한희철의 집으로 전화를 걸어 부친과 통화를 하면서 희철의 안부를 물었다. 이때 한희철이 사망했다는 청천 벽력같은 소식을 처음으로 듣게 됐다. 
 
생전 한희철
 생전 한희철
ⓒ 이은희

관련사진보기

  
부친의 집을 방문했을 때 부친은 한희철이 사망한 당일 군부대의 연락을 받았고 희철의 외삼촌과 군부대에 도착했는데, 시신은 이미 영안실에 안치돼 있었다고 한다. 군 관계자는 희철이가 쓴 유서가 있는데 보안상의 이유라며 원본은 주지 않고 타이핑한 유서를 전달했고, '비관자살인 듯하며 웃옷이 벗겨진 채 가슴에 3발의 총상자국과 함께 약간의 화상이 있었다'고 했다.

부친이 '혹시 희철이가 보안대에 불려 간 적이 없느냐?'는 질문에 모두가 보안사 조사 받은 일을 숨겼다. 영안실에서 부친이 시신을 확인한 바, 가슴에 3발의 총탄자국이 3각형을 이루고 있었고, 손등은 검은색을 띠고 부어 있었다. 좋은 일도 아니니 바로 시신을 화장하고 마무리 짓는 것이 어떠냐고 관계자들이 재촉해서, 낙심했던 아버님은 벽제화장장에서 희철의 시신을 화장했고 외삼촌이 유골을 한탄강에 뿌렸다고 하셨다.

며칠 뒤에 어머님이 부대를 방문해 희철의 사망현장을 직접 가보게 되었는데 사망현장이 깨끗하게 치워져서 '무슨 이유냐?' 물으니, 부대원들이 사망현장에 가기를 무서워해서 그랬다는 응답을 들었다고 하셨다.

그 다음해인 1984년 3월 '서울의 여러 대학생들이 주최했던 홍제동 성당의 '한희철 100일 추모제'에서 보게 된 '강제징집 진상보고서'를 읽고 의문의 실마리를 얻어 보안사령부를 찾아간 부친은 한희철이 5일 동안 보안사의 조사를 받았다는 사실은 확인했지만 '고문을 한 사실은 없었다'는 이야기만 들었다고 하셨다."
 
왼쪽 네번째 키가 제일 작은분이 한희철 모친
 왼쪽 네번째 키가 제일 작은분이 한희철 모친
ⓒ 이은희

관련사진보기

 
- 여러 언론에서 한희철의 죽음을 '군의문사' 사건들 중의 대표적인 사건으로 보도했는데, 한희철의 죽음이  '의문사'로 규정된 이유나 그의 죽음에 대해 제기된 의문점은 무엇이었나?

"한희철이 비관자살했다는 보안사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당시에 한희철의 죽음에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있었다.

첫째 의문사의 사례 중에 유서를 조작한 경우가 있었다는 점. 둘째 보안사가 한희철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가족에게 은폐했다는 것. 셋째 한희철이 고문과정에서 사망해 총기자살로 위장할 가능성. 넷째 3발의 총탄자국이 삼각형을 이룬 것은 연발로 쏘았을 때 가능하지 않다는 점. 다섯째 단신인 한희철이 M16총을 스스로 가슴에 대고 격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 여섯째 등에 나 있는 총상은 한 일자를 이루고 있는 검시자료가 있다는 점, 일곱째 한희철과 같이 군생활을 한 이00는 사망하기 전날인 12월 10일 점심식사 후에 한희철로부터 보안사에서 "전기 고문 (2회) 등을 당하며 조사를" 받았으며 "허리춤을 열어 보이며 고문자국을 보여" 주었고, "어머니 때문에 살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자술서를 쓰고 나오게 되었다"고 증언한 점 등을 고려할 때 타살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만일 한희철이 자살한 것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한희철을 자살로 몰고 간 보안사의 조사과정의 고문, 폭력, 회유 등의 불법성이나 인권유린의 과정이 있었는지 그 진상을 규명하고, 가해자에 대한 적절한 책임도 당연히 물어야 한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제기되고 있는 여러 의문을 풀기 위해 유족과 한희철의 동료들은 지금도 진상규명 운동을 하고 있다."
 
마석 모란공원의 한희철 묘역
 마석 모란공원의 한희철 묘역
ⓒ 이은희

관련사진보기

 

[관련 기사]
[인터뷰 ②] 전두환 때 의문사한 한희철... 그가 성남에서 했던 일은
[인터뷰 ①] "전두환 정권 획득 과정 보며 한희철과 대안 모색"
전두환 때문에 목숨 끊은 대학생 한희철을 생각한다

태그:#한희철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영국통신원, <반헌법열전 편찬위원회> 조사위원, [폭력의 역사], [김성수의 영국 이야기], [조작된 간첩들], [함석헌평전], [함석헌: 자유만큼 사랑한 평화] 저자. 퀘이커교도.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 한국투명성기구 사무총장, 진실화해위원회, 대통령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