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번 추석 연휴는 아주 길다.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하는 바람에 6일이나 된다. 긴 연휴를 어떻게 보낼까 고민해 보았다. 추석에는 보통 차례를 지내기 위해 집집마다 음식을 장만한다.

명절이다 보니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전도 부치고, 나물도 볶고, 갈비찜 정도는 한다. 추석이 지나면 며느리들이 명절 증후군으로 힘들어 한다는 소식이 늘 들린다. 우리 집은 차례를 지내지 않지만 전과 토란국, 갈비찜, 나물 몇 가지를 해서 가족이 모여 식사를 하였다.

9월 초에 작은아들이 쌍둥이 손자를 데리고 집에 왔다. 남편이 "이번 추석에는 함께 놀러 갈까?"라고 말해서 모두 좋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예약해 놓은 곳이 없어서 갈만한 곳이 있을지 걱정이 되었다.

아들이 갈 수 있는 곳이 있는지 알아보겠다고 했다. 손자들이 어리니 멀리는 가지 말고 아이들이 놀 수 있는 곳으로 알아보라고 했다. 다섯 살 쌍둥이 손자와 이제 막 돌이 지난 손자가 한 명 있다.
 
전은 반찬가게에서 주문하고 나물 몇 가지는 내가 만들었지만 올해는 하지 않기로 했다.
 전은 반찬가게에서 주문하고 나물 몇 가지는 내가 만들었지만 올해는 하지 않기로 했다.
ⓒ elements.envato

관련사진보기

 
사실 코로나 이전부터 우린 추석에는 여행 가는 것으로 정했었다. 코로나 바로 전인 2019년 추석에 북경으로 여행을 다녀왔다. 하지만 그 이후는 코로나19로 인해서 여행 갈 수 없어서 간단하게 음식을 차려서 가족이 함께 모였다.

명절 음식 중 전 만드는 것이 가장 힘들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이제 전은 반찬가게에서 주문하고 나물 몇 가지는 내가 만든다. 예전에는 몇 시간씩 걸려서 전을 만들었지만, 아들 장가 보내고부터는 주문해서 먹었다. 시어머니가 힘들게 일하는 모습을 알면 며느리가 불편할 것 같다. 토란국을 끓이고 아주 간단하게 추석 음식을 장만했다.

명절이 되면 며느리가 "어머니, 저 뭐 준비할까요?" 하고 연락을 한다. 며느리 보고는 지금은 내가 할 수 있으니 나중에 나이 들어 못하게 되면 그때 하라고 했다. 작년 추석에도 며느리가 송편을 사 오고 내가 준비한 음식으로 추석날 점심과 저녁을 함께 먹었다.

명절도 이제 예전 같지 않다. 추석에 차례를 지내지 않는 가정이 늘었다. 아마 제사 지내는 풍습은 우리 대가 마지막이 되지 않을까 싶다. 돌아가신 뒤에 제사상을 잘 차려드리는 것보다 살아 계실 때 조금이라도 잘해 드리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부모님께서 돌아가시면 형제들이 만나기 힘들어진다. 부모님 기일만이라도 모여서 얼굴 보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집은 기일에는 정성껏 차려서 가족이 모두 모여 추도예배를 드린다.

작은아들과 며느리가 부지런히 검색하여 좋은 장소를 찾았다. 큰아들네, 작은아들네와 다 같이 가기 때문에 방도 세 개로 예약하였다. 올 6월에 신축한 빌라라서 깨끗할 것 같고 손자들이 놀기도 좋다. 가까운 곳에 명소가 있어서 한두 군데 다녀오고 맛집도 찾아가면 된다. 춘천에 가니 닭갈비와 막국수는 기본이다.

카톡으로 각자 준비해야 할 것을 분담했다. 2박 3일 동안 먹을 약간의 음식과 간식은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이들 먹을 것은 각자 챙기고, 우리는 김치류와 밑반찬, 과일만 가져가기로 했다. 나머지는 알아서 챙겨 온다고 했다. 남으면 다 버려야 하니 최소한으로 조금만 챙기라고 아들이 당부한다.

추석 전날, 우린 쌍둥이 손자가 있는 작은아들네와 출발하기로 했고, 큰아들네는 춘천으로 바로 오기로 했다. 가족 여행이 기다려진다. 여행 기간 동안 손자들도 즐겁게 놀고, 어른도 더불어 행복한 여행이 되길 기대해 본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기자의 브런치에서 발행될 예정입니다.


태그:##추석, ##명절, ##명절 음식, ##며느리, ##로로키즈 풀빌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퇴직교원입니다. 등단시인이고, 에세이를 씁니다. 평범한 일상이지만, 그 안에서 행복을 찾으려고 기사를 씁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