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민생안정대책TF가 21일 한밭새마을금고 아트홀에서 개최한 '고물가시대 장기화 대전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어떻게 볼 것인가' 민생현안 토론회.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민생안정대책TF가 21일 한밭새마을금고 아트홀에서 개최한 '고물가시대 장기화 대전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어떻게 볼 것인가' 민생현안 토론회.
ⓒ 민주당대전시당

관련사진보기

 
대중교통 적자 문제는 요금 인상이 아닌 대중교통 중심 정책으로 전환과 대중교통 정액제 도입 등 새로운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민생안정대책TF는 21일 한밭새마을금고 아트홀에서 '고물가시대 장기화 대전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어떻게 볼 것인가' 민생현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 발표자로 나선 금홍섭 전 대전평생교육진흥원장은 대중교통 활성화와 적자해결을 위한 방안과 관련, 요금인상 보다는 대중교통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 전 원장은 "대중교통 요금 인상, 노인 무임승차 폐지, 정부 보조금 지원으로는 적자문제 해소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이룰 수 없다"며 "공급위주의 교통정책, 저상버스 확충과 노선 개편을 통한 대중교통인프라 확충, 중앙버스전용차로제확충 등 시내버스 운행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환승역 냉난방 승강장 확충 등 시내버스 이용환경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 전 원장은 대중교통 요금과 관련 새로운 대안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중교통요금 부담 완화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독일이 최근 도입한 '대중교통 정액요금제'나 서울시의 기후행동 카드 등을 검토해야 한다"며 "초고령사회에서는 교통약자 수가 증가한다. 2030년 대전의 교통약자는 52%에 달해 보행자 및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대중교통중심 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정현 민생안정대책TF단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시간에서 김재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이용객 저조→시내버스 적자→요금 인상→이용객 저조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며 시내버스 이용이 줄어든 이유로 평균 15분 이상 걸리는 배차간격과 정시성의 문제를 꼽았다.

이어 대중교통 공영제에 대해 "당장 공영제 도입은 어려운 부분이 많다. 공영제보다는 우선 공영노선의 일부 도입을 시도해야 하고, 트램 도입과 함께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송순옥 기후활동가는 "우리가 민주주의 시대를 살고 있지만 버스 노선에 관해서는 민주주의가 사라졌다"며 "버스 노선이 바뀌었는데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이를 전혀 모르는가 하면, 노선 변경에 대해 의견도 제시 하지 못하는 민주적 절차가 완전 사라진 시대에 살고 있다"는 말로 수요자 위주의 대중교통 정책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모두의 이동권, 보편적 이동권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공공성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금선 대전시의원은 15~20분에 달하는 긴 배차간격, 대전이 광주보다 인구수에서 2만 여 명이 많지만 버스는 광주 1131대, 대전은 1061대로 오히려 적은 현실, 도시철도와 시내버스 등 대전시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24.6%에 불과한 상황 등을 소개하고, "버스 증차의 문제와 대전시의 버스노선에 대해서도 시민의 의견을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민생안정대책TF가 21일 한밭새마을금고 아트홀에서 개최한 '고물가시대 장기화 대전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어떻게 볼 것인가' 민생현안 토론회.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민생안정대책TF가 21일 한밭새마을금고 아트홀에서 개최한 '고물가시대 장기화 대전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어떻게 볼 것인가' 민생현안 토론회.
ⓒ 민주당대전시당

관련사진보기

 

태그:#민주당대전시당, #대중교통, #대전시, #민생현안TF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