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발언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우리 사회가 AI(인공지능)와 디지털 고도화에 정부가 자연스럽게 큰 R&D(연구개발) 투자를 할 수가 있고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며 "이것이 우리 산업의 전후방 긍정적인 효과가 굉장히 클 것으로 판단이 된다"고 전망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 모두발언을 통해 "저희가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는 과거의 전자정부가 조금 업그레이드 된 것이 아니라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우선 윤 대통령은 "제가 (대통령) 선거 때부터 AI와 클라우드 기반의 새로운 정부 형태가 필요하다고 판단을 해서, 2021년 12월에 '대통령에 당선이 되면 소위 디지털플랫폼정부라고 하는 것을 추진을 하겠다'라고 국민께 말씀을 드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윤 대통령의 말대로 지난해 9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출범했다. 그리고 이 위원회가 설립된 지 7개월 만에 제1차 보고회를 진행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것(디지털플랫폼정부)은 저희 임기 내 끝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제 설계하고 시작해서 꾸준히 인적·물적 투자를 하면 이 과정에서 전후방 긍정적인 연관 효과들이 생겨나면서 정부 형태가 많이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우리도 과거 30년 동안 전자정부를 추진해왔고, 상당히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서 개도국 등에 많이 수출도 됐다"면서 "그러나 기술 기반이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이런 전자정부 가지고는 정부가 국민의 기대나 사회 변화에 맞는 역할을 하기가 매우 어렵게 됐다"고 진단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방향과 목표에 대해 윤 대통령은 "AI를 기반으로 각 부처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통합해 국민과 정부 관계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할 것"이라며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행정서비스를 맞춤형으로, 그리고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부처별로 데이터베이스가 잘 돼 있지만 부처별로 벽이 쳐져 있다. 이것을 허물어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면, 엄청난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재차 전자정부와의 차이점을 언급했다. 덧붙여 윤 대통령은 "무엇보다 디지털정부를 구현해 나가는 이 과정에서 AI와 AI 소프트웨어, 또 디지털 분야의 많은 인재들을 키워나갈 수가 있다"면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효과가 굉장히 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가 국민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미래상으로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관공서 첨부서류 제로화 ▲알아서 맞춤형으로 배달하는 '혜택 알리미' 등을 구체적인 핵심 사례로 제시했다. 동시에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미래 변화상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 과제 ▲초거대AI 경쟁력 강화 방안 ▲데이터 혁신을 위한 국민 신뢰 확보 방안이 발표됐다. 안건 발표에 이어 참석자들과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한편, 제1차 보고회에는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하정우 네이버AI 센터장, 김영미 상명대 교수, 조준희 한국SW협회장 등 민간위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기획재정부 차관, 행정안전부 차관 등 정부위원들과 최재식 KAIST 교수,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 박소아 바이브컴퍼니 부문장, 정은식 아르케 부사장,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 등 민간전문가 등 각계 분야에서 100여 명이 참석했다. 

태그:#윤석열, #디지털플랫폼정부, #청와대 영빈관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