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 정부의 일본인 입국규제 강화 조치 발표를 보도하는 NHK 뉴스 갈무리.
 한국 정부의 일본인 입국규제 강화 조치 발표를 보도하는 NHK 뉴스 갈무리.
ⓒ NHK

관련사진보기

 
일본 언론이 한일 정부가 잇따라 양국에 대한 입국 규제를 강화하며 외교 갈등으로 번졌다고 우려했다.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어 오는 9일부터 일본인이 90일 이내의 단기 체류 시 무비자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는 제도를 중단하고, 이미 발급된 비자의 효력도 정지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가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국에 입국 규제를 강화한 것에 대한 상응 조치다.

NHK는 "조 차관이 '일본 정부가 사전협의나 통보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이번 조치에 대해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다"라며 "한국 정부의 이번 발표는 사실상 일본에 대항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또 "강경화 외교장관도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일본 측의 조치는 비우호적이고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하며 조속한 철회를 요구했다"라고 전했다.

다만 한국과 같은 조치를 적용받은 중국 외교부가 "각국이 자국과 외국인의 생명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과학·전문적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라고 밝힌 것을 전하며 "(한국과 달리) 중국은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일본 전문가들도 "효과 있을지 의문... 너무 늦었다"

일본 정부의 이번 조치에 대해서는 일본 언론과 전문가들도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도호쿠의과대학의 가쿠 미츠오 교수는 NHK와의 인터뷰에서 "감염자가 많은 지역에 대해 입국을 규제하는 것은 방역 대책의 기본이며,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라면서도 "하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과학적으로 알 수 없다"라고 말했다.

또 "이러한 조치를 취하더라도 발병 초기에 해야 됐다"라며 일본 정부의 뒤늦은 대응을 지적했다.

도쿄의과대학의 하마다 아쓰오 교수도 "중국은 후베이성 외 지역에서는 감염자가 줄어들고 있으며, 한국은 감염자가 늘어나도 있지만, 일본 내에서도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교도통신>은 "감염 방지와 얽힌 입국 관리를 둘러싸고 한일 관계에 중대한 외교 문제가 떠올랐다"라며 "양국 사이의 인적 교류 격감과 정부 간 대립이 더욱 심화할 것이 분명하다"라고 우려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이번 조치는 너무 늦은 데다가 코로나19 대응이 부실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아베 신조 총리가 지지층에 호소하기 위한 '정치적 연출'로 보인다"라고 비판했다.

태그:#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 #일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