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신항 1-1단계 부두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 모습.
▲ 인천신항 인천신항 1-1단계 부두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 모습.
ⓒ 사진제공 인천항만공사

관련사진보기


인천신항 1-1단계 부두 11월 전면 개장 예정

인천신항 1-1단계 컨테이너부두 건설공사가 모두 마무리돼, 올해 11월 1-1단계 부두가 전면 개장할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는 "한진이 신항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에 추가로 설치한, 22열 하역작업이 가능한 안벽크레인(RMQC, Rail Mounted Quay Crane) 2기의 준공 확인 증명서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지난 11일 발급했다"고 최근 밝혔다.

인천신항 부두는 1단계와 2단계 부두로 구분되는데, 1단계 부두(선석 3.2km)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 10공구 LNG인수기지 진입로를 따라 조성하고, 2단계 부두는 송도 10공구 LNG인수기지 북단에 조성한다.

1단계 부두는 다시 1-1단계와 1-2단계 부두로 나뉘는데, 1-1단계 부두(선석 1.6km) 건설공사는 마친 상태고, 1-2단계 부두 건설공사 시기는 물동량 증가 추이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인천신항은 컨테이너 전용 부두다. 1-1단계 부두를 선석 800m씩 나눠 선광뉴컨테이너터미널(SNCT, 운영회사 선광)과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 운영회사 한진)로 운영한다.

1-1단계 부두 일부 구간(SNCT 410m, HJIT 420m)을 2015년 6월과 2016년 3월에 각각 개장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그 뒤 SNCT 잔여구간이 올해 4월 개장했고, 이번에 HJIT 잔여구간 공사를 마쳐 11월에 개장할 예정이다.

11월에 HJIT 잔여구간을 개장하면 1-1단계 부두는 전체 길이 1.6km에 달하는 위용을 갖춘다. 전면 개장 시 1-1단계 부두의 연간 최대 하역능력은 210만TEU(길이가 20피트인 컨테이너 210만개)에 이를 전망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신항 1-1단계 부두가 전면 개장하고, 공사 중인 신항 항로 수심 16m 확보 준설공사가 마무리되면 8000TEU급 대형 선박의 입·출항이 가능해져 미주와 구주(유럽)을 운항하는 원양 항로 추가 확대로 물동량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배후단지 없어 하역만 하고 고부가가치는 타지로

하지만 인천신항을 지원할 배후단지 조성이 늦어져 항만 운영과 물동량 창출에 차질이 예상된다. 배후단지는 물류기능뿐만 아니라 조립·가공·제조·유통기능까지 갖춘 곳인데, 조성이 늦어지면서 물동량 상승세가 꺾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은 다른 지역에서 이득을 보는 형국이다.

실제로 인천신항에 물자를 조립ㆍ가공할 수 있는 배후단지가 없다보니, 부두에 들어온 물자가 인접한 경기도로 빠져나가고 있다. 하역만 하고 고부가가치는 타지에서 창출되는 셈이다.

게다가 인천항만공사가 계획했던 LNG인수기지 폐냉열을 활용하는 냉동ㆍ냉장 클러스터 구축도 불투명해졌다. 인천항만공사는 폐냉열을 활용해 농축수산식품 클러스터를 구축하려했지만, 배후단지가 없어 물동량과 부가가치 창출에 차질을 빚고 있다.

해양수산부(해수부)와 인천항만공사는 당초 신항 1단계 부두 배후단지를 2020년까지(일부는 2018년까지) 준공하겠다고 했지만, 현재로는 2018년 일부 준공도 어려운 상황이다.

1-1단계 부두 일부가 2015~2016년에 개장했고 올 11월에 전면 개장할 예정인데, 이를 뒷받침할 배후단지는 2018년 일부 준공조차 불투명한 것이다.

그 사이 인천신항 물동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신항 개장, 중국·베트남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에 힘입어 2015년보다 12.7% 증가한 268만TEU를 기록했다.

2016년 6월 기준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은 123만7758TEU이고 이중 신항에서 처리한 게 33만5157TEU였는데, 올해 5월 기준 전체 물동량은 120만5608TEU이고 이중 신항 물동량이 54만4282TEU를 차지했다. 인천항 전체 물동량이 많이 늘었고, 신항의 비중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인천경제 33.8%'라며 배후단지 지연되는 것도 몰라

인천신항 배후단지 조성은 답보상태에 있다. 조성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이유는 매립토가 예상했던 것보다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난 1월 드러났다.

배후단지 조성에 필요한 매립토 양은 약 1855만㎥인데, 해수부와 인천항만공사는 이중 1607만㎥를 신항 항로 수심 16m 확보를 위한 준설에서 발생하는 모래흙으로 마련하고, 나머지 248만㎥는 외부에서 가져오기로 했다.

그러나 준설 완료 후 매립구간을 측량한 결과 매립토 약 1030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 등은 이미 2015년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355만㎥를 준설했고, 투기장 내 지반이 유실돼 매립토가 더 들어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 뒤 후속대책으로 신항 배후단지(면적 214만㎡)를 1구역(66만㎡), 2구역(94만㎡), 3구역(54만㎡)으로 나눠 순차적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부족한 매립토는 인천항 제1항로 유지 준설과 묘박지(닻을 이용해 함정이 정박하는 데 적합한 해역) 준설 등으로 350만㎥을 확보하고 나머지 약 280만㎥는 인천지역 외부 토사(시민사토=개인 소유의 매립토)를 반입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천항 제1항로 유지 준설사업은 팔미도에서 북항까지 진입항로의 수심을 14m로 늘리는 사업이다. 문제는 예산 확보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다시 받아 정부재정을 확보하는 게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인천항이 인천경제의 33.8%를 차지한다고 강조했지만,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는 인천신항 배후단지 조성이 지연되는 것도 몰랐고, 2020년 준공은커녕 2018년 일부 준공도 물 건너간 상황이다.

"타 지역과 형평성 있게 정부가 배후단지 지원해야"

이에 인천항발전협의회·인천상공회의소·인천항만물류협회·인천항운노동조합·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단체 14개는 지난 13일 공동성명서를 내고 "인천신항 배후단지(1단계) 조성사업이 지연된다면 컨테이너부두 활성화에 큰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대외신뢰도도 추락할 수밖에 없어, 걱정이 앞선다"고 밝혔다.

아울러 다른 지역 항만과 형평성에 맞춰 정부가 인천신항 배후단지 조성에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신항 배후단지는 정부재정 50%를 지원받았고, 여수·광양항 배후단지는 무려 93%를 지원받았다. 게다가 부산신항과 광양항 배후단지는 100% 자유무역지대지만, 인천항 배후단지엔 자유무역지대가 전혀 없다.

인천항발전협의회 관계자는 "우선 매립토 부족 사태를 해결해 배후단지 부지를 조성하고, 후속대책으로 민간개발 사업에 따른 임대료 상승 부작용 문제를 검토해야한다. 민간자본 투자 사업 시 임대료가 상승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아울러 재정이 취약한 인천항만공사가 배후단지 조성사업에 참여하는 건 공사의 경영을 악화할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또한 "부산·광양·평택항의 경우 그동안 정부재정으로 배후단지를 조성했다. 이 항만들은 저렴한 임대료로 경쟁력을 키웠다"며 "문재인 정부와 여당이 공정하고 형평성 있는 국가항만정책을 실현한다는 차원에서 인천신항 배후단지의 부족한 매립토 확보 예산을 정부재정으로 충당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신항, #인천항, #인천신항 배후단지, #해양수산부, #인천항만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