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기일까 아님 저기였을까
츠보우치 연극관으로 가는
좁은 길목
나무 의자에 앉아
교정을 거닐었을 선배들을 그려본다

나라 잃은 몸으로
적국인 이 땅에서
고이 품은 꿈을
펼치려했던 이들

더러는 거목으로 우뚝 섰지만
더러는 춘원처럼
이름을 욕되게 했던 곳

무더워
매미도 울지 않고
바람 한 점 없는
한여름

니시와세다 교정엔 적막만이
강물처럼 흐른다.  -이한꽃 <와세다 교정에서>

와세다대학 교정은 방학이라 조용하다. 대신 방학을 맞아 공사하는 건물이 많다.
▲ 와세다대학 교정 와세다대학 교정은 방학이라 조용하다. 대신 방학을 맞아 공사하는 건물이 많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와세다의 명물, 츠보우치쇼요박사기념 연극박물관
▲ 연극박물관 와세다의 명물, 츠보우치쇼요박사기념 연극박물관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김상덕 독립투사가 다니던 1917년 당시의 모습은 아니지만 현재 와세다에서 비교적 오래된 사회과학부건물
▲ 사회과학부건물 김상덕 독립투사가 다니던 1917년 당시의 모습은 아니지만 현재 와세다에서 비교적 오래된 사회과학부건물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한여름 무더위 속, 여름방학이라서 그런지 와세다대학 교정은 고요하다 못해 적막하다. 23일(수) 오전 9시, 캠퍼스를 일찍 찾은 탓도 있지만 평소 같으면 학생들로 북적거릴 교정은 텅 빈 채 청소하는 아저씨들만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일본의 사립대학 가운데 명문으로 일컬어지는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學)은 과거 한국에서 조도전(早稲田)으로 부르기도 했다. 초창기 '조도전(早稲田)' 은 낱말 그대로 벼농사를 짓던 논이 즐비하던 땅이다. 그리고 때는 1882년 (명치 15년), 일본의 근대화가 한창이던 이 시기에 일본은 서구의 대학을 시찰하고 곧바로 미래의 일본을 책임질 젊은이들을 교육시킬 책무를 느끼고 대학 설립의 길로 들어선다.

와세다도 그런 이념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초기에 동경전문대학(東京専門学校)을 인수하여 와세다대학으로 키웠다. 와세다대학은 2016년 현재 134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명실상부한 사립대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금이야 외국대학에 유학 가는 일이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1910년대만 해도 외국유학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1917년, 이 캠퍼스를 드나들었던 사람 가운데 한 분이 광복 후 반민특위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친일청산을 꾀했던 독립운동가 김상덕 (1891~1951) 선생이다. 그는 1917년 와세다대학에 입학한 뒤 1919년 2월 2·8 독립선언에 참가했다가 일제에 체포·구금되는 일을 겪는다. 이후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를 중퇴하고 본격적인 독립운동의 길을 걷기 위해 상해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쳤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독립운동가 김상덕 선생
▲ 김상덕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독립운동가 김상덕 선생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김상덕 독립투사가 다니던 무렵의 학생운동을 소개한 <건학 80주년 와세다대학 사진첩, 1963년>
▲ 사진첩 김상덕 독립투사가 다니던 무렵의 학생운동을 소개한 <건학 80주년 와세다대학 사진첩, 1963년>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비슷한 시기에 와세다대학을 드나든 또 한사람이 있었으니 춘원 이광수(1892~1950)다. 이광수는 1916년 9월 와세다대학 본과 철학과에 입학하여 소설가의 길을 걸었다. 초창기에는 2·8 독립 선언에 가담하여 독립운동에 관여했으나 훗날 변절의 길을 걷는다. 이광수의 변절을 말해주는 적극적인 창씨개명에 대한 주장은 그가 살아온 인생 후반부의 삶을 잘 대변해준다.

"내가 향산(香山)이라고 일본적인 명으로 개한 동기는 황송한 말슴이나 천황어명과 독법을 같이하는 씨명을 가지자는 것이다. 나는 깊이깊이 내 자손과 조선민족의 장래를 고려한 끝에 이리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굳은 신념에 도달한 까닭이다. 나는 천황의 신민이다. 내 자손도 천황의 신민으로 살 것이다. 이광수라는 씨명으로도 천황의 신민이 못 될 것이 아니다.

그러나 향산광랑(香山光浪)이 조금 더 천황의 신민답다고 나는 믿기 때문이다. 내선일체를 국가(일본)가 조선인에게 허하였다. 이에 내선일체운동을 할 자는 기실 조선인이다. 조선인이 내지인과 차별 없이 될 것밖에 바랄 것이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차별을 제거하기 위하여서 온갖 노력을 할 것밖에 더 중대하고 긴급한 일이 어디 또 있는가. 성명 3자를 고치는 것도 그 노력 중의 하나라면 아낄 것이 무엇인가. 기쁘게 할 것 아닌가. 나는 이러한 신념으로 향산이라는 씨를 창설했다." -1940년 2월 20일 매일신보, 이광수〈창씨와 나〉- 

1940년 2월 20일 매일신보, 이광수 〈창씨와 나〉 기사
▲ 창씨와 나 1940년 2월 20일 매일신보, 이광수 〈창씨와 나〉 기사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춘원에 대한 긴 이야기가 필요 없는 대목이다. 나는 텅 빈 와세다대학 교정의 낡은 나무의자에 앉았다. 요 며칠 도쿄를 강타한 태풍의 상륙으로 매미들도 숨을 고르는지 캠퍼스는 고요하다 못해 적막하다. 태풍은 지나갔지만 매미들의 후각은 아직 때가 아닌 듯 울지 않는다.

고요한 교정에서 "나는 천황의 신민이다. 내 자손도 천황의 신민으로 살 것이다.'고 외친 춘원을 떠올렸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헌신한 독립투사 김상덕 선생을 떠올렸다. 같은 물이라도 젖소가 먹으면 '우유'를 만들지만 독사가 먹으면 '독'을 뿜듯, 같은 캠퍼스에서 빼앗긴 조국의 슬픈 자화상을 가슴에 새겼던 두 조선의 청년이 걸은 길이 어쩜 이다지도 다를 수 있는지 콘크리트 열로 달궈진 캠퍼스 의자에 앉아 곰곰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는 한 통의 편지를 떠올렸다.

"하늘이 허락하는 천수에 가까워가면서도 저는 어머니 품을 그지없이 그리워하며 살아왔습니다. 어릴 적 민혁당 대가족이 모여 사는 손가화원에서 누구보다도 힘들게 어린 생명을 부지해야 했던 우리 남매는 어머니의 품이 없었기에 더욱 그러했습니다. 어머니 가신지 채 한 해도 버티지 못하고 막내 영이가 따라간 것도 이 탓입니다.

막내를 애장하고 돌아온 아버지께서 그길로 기약할 수 없는 어린 남매를 지키기 위해 고아원에 맡겨버리는 바람에 저는 영이의 어린 영혼이 어디에 있는지 모릅니다. 티 없이 자란 영이는 아마도 어머니 곁으로 갔다고 봅니다. 짧게 세상에 머물다 굶주려갔으니 어머니! 잘 보듬어 주셨으면 합니다."

이는 김상덕 독립투사의 아드님인 김정륙(81세) 선생이 돌아가신 어머님께 쓴 편지글 가운데 일부이다. 독립운동을 위해 어린 남매를 고아원에 맡겨야 했던 그 심정을 지금의 우리가 어찌 헤아릴 수 있느냐만 이는 독립운동가 가족사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그 뜻하는 바가 크다.

1890년대 와세다대학 주변은 논밭이었다.
▲ 와세다대학 주변 1890년대 와세다대학 주변은 논밭이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1889년에 있던 구 대강당 건물들(위 사진)은 1923년 관동대지진 때 파괴되어 현재 교정에는 옛 건물의 모습이 거의 없다
▲ 와세다대학 옛 건물들 1889년에 있던 구 대강당 건물들(위 사진)은 1923년 관동대지진 때 파괴되어 현재 교정에는 옛 건물의 모습이 거의 없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숭고한 독립운동가의 이름과 변절자의 이름을 함께 거론할 수 있느냐고 따질 사람도 있을 것이다. 맞다. 함께 거론하기도 껄끄러운 일이다. 하지만 오늘도 와세다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 후학들은 이 두 사람이 걸은 길을 새겨보았으면 하는 생각에 두 사람의 이름을 들어 보았다. 우리가 하는 작은 몸짓, 생각, 행동 하나가 훗날 또 하나의 역사를 만든다는 생각을 하면서 와세다대학 교정을 나왔다.

덧붙이는 글 | 신한국문화신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김상덕, #와세다대학, #이광수, #독립운동가
댓글4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4,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