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전국적으로 60여 명의 탈영병이 발생한다. 매년 700여 명의 숫자인데, 군인의 수를 대략 60만 명이라고 한다면 1년에 약 900명당 한 명 꼴로 탈영을 하는 것이다. 1개 대대가 약 500명, 여기에 예비군 등까지 합하면 900명에 거의 육박할 텐데 이 중 한 명이 탈영을 한다. 모르긴 몰라도 보고되지 않은 탈영병은 '훨씬' 많을 것이다.
군대 내 경찰인 헌병, 헌병 중에서도 이런 탈영병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이들이 존재한다고 한다. 일명 '군무이탈체포전담조' DP. 헌병이 밀리터리 폴리스(MP)라면 DP는 뭘까? 어원을 알 수 없지만, 흔히 '더티 플레이'라고 불린단다. 그들은 군복 대신 사복을 입고 주로 활동하는데, 일반 헌병과는 다른 그런 군인 같지 않은 모습 때문이지 않나 싶다. 그들이 궁금하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탈영을 생각했고 주위에서 탈영했다는 소문 내지 소식을 들었을 것이다. 나 또한 그러했는데, 근무를 서는 중 눈앞에서 탈영하려는 이를 잡아온 적이 있다. 그러곤 묻는다. "왜 탈영하려고 했어?" 그러면 답한다. "너무 힘들어서 견딜 수 없었습니다" 여지없이 돌아오는 대답. "너만 힘들어? 다 힘들어. 그러니 견뎌야 해" 대화는 더 이상 이어지지 않는다.
누군가의 아들, 형제, 연인을 찾아가는 이야기
웹툰 <D·P-개의 날>(씨네21북스)이 책으로 나왔다. 탈영병을 체포하는 것이 주 업무인 군무이탈체포전담조 DP의 이야기를 다룬다. 군인이 아니라면, 아니 군인조차도 사실 큰 관심이 없는 탈영병. 그런 탈영병을 잡는 군인이 있다는 건 금시초문. 더군다나 그들 DP는 군복 대신 사복까지 입고 머리까지 기르고 밖에선 관등성명도 대지 않으며 경례도 붙이지 않는다. 탈영병을 잡기 위해 그들이 군인이라는 걸 알아채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으로서 상당히 흥미가 동한다. 군대 관련 콘텐츠라면 빠짐없이 접하려고 하는 바, 이런 작품은 횡재에 속할 정도다. 내가 모르는 것도 있었나? 하는 그런 느낌. 이 작품을 통해 군대의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되었다. 10년, 20년, 30년이 지나도 그럴 것이다. 군대에 있었던 2년을, 아무도 알아주지 않을 그 시간을, 내가 아니면 누가 되새기고 '추억'할까.
'내가 탈영병을 쫓는 이야기이며 누군가의 아들을, 형제를, 연인을 찾아가는 이야기다' 이렇게 말하는 이 만화에는 두 명의 DP조 준호와 성준이 나온다. 그들은 부대에 붙어 있을 새가 없다. 상사가 시켜서 나가고, 속보가 떠서 나가고, 선임한테 괴롭힘을 당하기 싫어서 탈영병이 생겼다는 거짓말을 하고 나간다. 내무반에 있을 수도 없거니와 있기도 싫은 것이다.
그가 탈영한 이유앞서 말한 그들이 나가는 이유 중 하나가 '선임한테 괴롭힘을 당하기 싫어서'라고 했다. 즉, 그들은 '선임한테 괴롭힘을 당하기 싫어서 탈영한 군인'들을 역시 '선임한테 괴롭힘을 당하기 싫어서' 거짓말을 하고 나가 잡아 오는 것이다. 여기서 그들은 딜레마에 빠진다. 그들은 피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누구들은 피할 수 없다. 그들도 같은 군인이며, 어찌 보면 운이 좋았을 뿐이다.
그들이 잡은 장기군탈자 중 한 명인 최창식은 선임한테 심한 괴롭힘을 당해 탈영을 결심했다. 탈영병의 연내 검거율이 95%가 넘는다고 하는데, 체포되지 않는 이들은 철저하게 신분을 숨기고 살아간다고 한다. 최창식도 그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평범하게 살고 싶었다.
그는 잘 때 코를 골았다. 선임은 그런 그에게 방독면을 뒤집어 쓰게 하고는 총기함에서 자게 했다. 방독면을 쓰고 총기함에서 잘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문제는 총기함이 아니었다. 방독면을 쓰고는 침상에서 잘 수도 없었다. 자연 그는 근무 시간에 졸았다. 어김 없이 선임의 손찌검이 날아왔다. 그는 더 이상 그대로 살 수 없었다. 죽이거나, 죽거나,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군대의 서글픈 부조리를 보여주는 또 다른 창저자는 만화를 통해 그런 그를 옹호하려 하려 하지 않는다. 다만 보여줄 뿐이다. 실제보다 부풀렸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제에 가까울 것이다. 아니, 실제에 가깝다. 저자가 실제로 DP 출신이고 자연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썼다는 걸 감안하고라도 말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만화의 정치적 방향 설정 대신 디테일에 쏟아부었다. 결과적으로 훨씬 좋은 작품이 나온 것 같다.
한편 저자는 군인 경찰이지만 여하튼 '경찰'이라는 소재를 살려 두 DP조를 마치 셜록 홈스와 왓슨처럼 그렸다. '증거'를 최우선으로 하는 셜록 홈스와는 다르지만, 선임인 상병 준호는 특별한 '감'과 '집요함'을 무기로 탈영병의 소재를 추적한다. 후임인 일병 성준은 그런 준호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충실히 보조한다. 이 둘의 서글픈 활약상은 군대의 서글프고 악랄한 부조리를 보여주는 또 다른 창이다.
궁금하다. 그들이 잡은 탈영병의 훗날이. 잡혀 들어온 탈영병은 군법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죗값에 맞는 형량을 살고 '다시' 군대로 돌아갈 것이다. 그리고는 형량만큼 군 복무를 더 할 것이 분명하다. 전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괴롭히지는 않겠지만,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멸시와 조롱을 받으면서.
"그때 생각했지. 아, 언젠간 잡히겠구나. 탈영은 공소시효도 없다고 하던데. 다시 또 파리를 먹이진 않겠지만. 결국 돌아가겠구나. 그래서 결심한 거야. 쫓을 수 없는 곳으로 도망치기로."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 (김보통 지음, 씨네21북스 펴냄, 264쪽, 11000원, 2015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