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화엄사 각황전에서 참회문 낭독하며 108배를 올리고 있는 화엄사 스님들
 화엄사 각황전에서 참회문 낭독하며 108배를 올리고 있는 화엄사 스님들
ⓒ 최오균

관련사진보기


내가 화엄사 각황전을 처음 방문한 것은 30년도 넘는다. 그때 각초(현 화엄사 현등선원장)스님이 출가한 지 얼마 되지 않는 시기였는데, 당시 스님은 각황전에서 천일기도를 올린다고 했다.

처음 각황전 앞에 선 나는 각황전의 장엄한 목조 건물에 놀랐고, 그 장엄한 건물에서 천 일 동안 기도를 올리고 있는 각초 스님을 보고 두 번 놀랐다. 사람은 인연 따라 산다. 각황전에서 천일 기도를 올리는 각초 스님을 만난 그 뒤부터 나는 화엄사를 즐겨 찾게 되었다. 이번 겨울에도 나는 화엄사 각황전을 찾았다.

화엄사는 스님들의 예불 소리가 끊이지 않는 절이다. 지난 1월 5일(보름날) 각황전 오전 예불에 참석했다. 여러 스님께서 108 참회문을 낭독하며 부처님전에 108배를 올리고 있었다. 나도 스님들을 따라서 108배를 했다. 절을 할 때는 오체투지를 해야 한다.

오체투지를 하다 보니 저절로 이마와 코가 각황전 바닥에 닿는다. 그럴 때마다 오래된 나무 냄새가 온몸으로 들어왔다. 스님이 치는 목탁 소리에 맞춰 일어서서 부처님전에 합장을 할 때는 고개를 쳐들고 끝 간데없이 뻗어 있는 소나무 기둥과 천장을 바라보았다. 한마디로 경이로웠다! 어디서 이런 거대한 소나무를 구해 왔을까?

108 참회문을 독송하며 108배를 하고 나니 몸이 뜨겁게 달궈진다. 108배는 종교를 떠나서 이렇게 좋은 것이다. 마음도 비우고, 운동도 하고, 추위도 쫒아내고...

천장 떠받친 육중한 소나무... 경이롭다

화엄사 각황전을 받치고 있는 거대한 소나무 기둥. 조선 숙종(1702)시대에 지어진 국보다.
 화엄사 각황전을 받치고 있는 거대한 소나무 기둥. 조선 숙종(1702)시대에 지어진 국보다.
ⓒ 최오균

관련사진보기

예불이 끝나자 스님들과 신도들은 모두 나가고 그 넓은 각황전에 나 홀로 남았다. 나는 각황전 기둥에 기대앉아 육중한 천장을 받치고 있는 소나무 기둥을 올려다보았다. 어떤 기둥은 곧게 뻗어있고, 어떤 기둥은 굴곡진 채 천장을 받치고 있다. 언제 보아도 경이롭다.

각황전 건물은 신라 시대에 쌓은 돌기단 위에 높이 18m의 2층으로 지어졌다. 각황전의 본래 이름은 장육전이다. 부처님의 몸을 일컬어 장육금신(丈六金身)이라고 한다. 장육금신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16척의 키에 황금색 피부를 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그리고 부처님 생존 시와 똑같은 모습의 크기로 만든 불상을 장육존상이라고 한다.  

화엄사 장육전은 16척이나 되는 장신의 부처를 모시기 위해 지은 전각이다, 각황전은 밖에서 보면 2층인데, 안으로 들어가 보면 단층이다. 단층에는 16척이나 되는 부처님을 모실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건물의 높이를 2층으로 올려 2층의 창으로 빛이 들어오게 해 부처님의 얼굴을 밝게 비출 수 있게 지은 것이다.  

각황전에는 3여래불상과 4보살상이 봉안돼 있다. 다보불과 석가모니불, 아미타불을 비롯해 문수·보현·지적·관세음보살 입상 등이 모셔있다. 각황전 내부는 맨 위 천장까지 터 있는 통층으로 돼 있다.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인데, 벽 쪽 사방으로 돌아가면서 굽어 경사지게 처리해 놓았다. 상층부에는 커다란 창을 내 조명 역할을 하도록 했다.

겉만 보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각황전은 쉽게 보여 주지 않는다. 화엄사 가장 안쪽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재는 오래 될수록 값어치가 있다. 도시 전체가 박물관을 방불케 하는 로마는 허물어진 담벼락과 돌기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담벼락이 허물어진 대부분은 전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오래 돼서 허물어진 것이다.

이 허물어진 담벼락 등으로 이탈리아는 1년에 무려 430억 달러의 관광 수입을 벌고 있다. 그들은 부서진 석장 한 장, 돌기둥 한 조각도 황금보다 더 소중히 여기고 옛것을 보전하려고 기를 쓰고 있다. 옛것을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무릇 천 년도 넘은 문화재를 지금에 와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현세 뿐 아니라 후세의 자손에게도 큰 영광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 문화재들을 소홀히 관리하여 시련을 겪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국보 1호인 숭례문이다.

화엄사 각황전도 창건 이래 수많은 시련을 겪어 왔다. 임진왜란 때는 화엄사 스님들이 승병을 일으켜 대항을 했다는 이유로 왜장 가등청정이 그 앙갚음으로 각황전을 전소해 버렸다.

6·25 때는 한국 정부에서 화엄사를 소각하라는 웃지 못할 명령까지 받아야 했다. 이 명령을 어기고 목숨을 걸고 화엄사를 지킨 차일혁 총경의 결단이야 말로 두고두고 후세에 전해야 할 전설적인 문화재 사랑 스토리다. 오래된 문화재는 목숨 걸고 지켜내야 한다.


태그:#화엄사 각황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는이야기, 여행, 작은 나눔, 영혼이 따뜻한 이야기 등 살맛나는 기사를 발굴해서 쓰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