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얼굴의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논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좌우대칭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약간씩 비대칭이다. 태어날 때는 대칭이었다고 해도, 좌우 뇌의 발달 정도라든가, 음식을 먹는 습관 등에 따라 얼굴형이 조금씩 비대칭으로 변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얼굴이, 혹은 상대방의 얼굴이 비대칭이라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보통 반쪽 얼굴을 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아래 사진을 보자.

필자의 사진..예를 든 것이니 너그럽게 봐주시길...
 필자의 사진..예를 든 것이니 너그럽게 봐주시길...
ⓒ 권용현

관련사진보기


위의 사진을 보면서 오른쪽 얼굴(여러분이 보시는 방향에서)은 여러분의 왼쪽 시야에 잡히고, 왼쪽 얼굴은 오른쪽 시야에 잡히게 된다. 시야에 잡힌 얼굴 모습은 망막을 통해 시신경으로 전달된다. 시신경은 뇌의 외측슬상체라는 곳으로 얼굴 모습을 전달한다.

이때, 양쪽의 시신경은 서로 교차되면서 각각 반대쪽 외측슬상체로 연결된다. 양쪽으로 나뉘어진 얼굴 모습은 외측슬상체를 통해 후두엽의 1차시각령에 전달된다. 그래서 나의 오른쪽 얼굴은 여러분의 오른쪽 뇌의 1차 시각령에, 왼쪽 얼굴은 왼쪽 뇌의 1차시각령에 입력된다. 여러분의 뇌에서는 오른쪽 눈에서 본 나의 오른쪽 얼굴과 왼쪽 눈에서 본 왼쪽 얼굴이 서로 합쳐지면서 입체적인 모습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 한 쪽을 좀 더 비중 있게 본다. 마치 오른손잡이, 왼손잡이가 있는 것처럼 오른쪽 눈, 혹은 왼쪽 눈으로 보는 것을 더 비중 있게 여긴다. 왼쪽 눈으로 주로 보는 좌시야형은 상대방의 오른쪽 얼굴을 중점적으로 보고, 오른쪽 눈으로 주로 보는 우시야형은 상대방의 왼쪽 얼굴을 중점적으로 본다.

이제 아래 사진을 보자. 하나는 오른쪽 얼굴로 대칭적인 얼굴을 합성한 사진이며, 나머지 하나는 왼쪽 얼굴로 대칭시켜 만든 사진이다. 둘 중 어느 쪽이 원래 얼굴과 비슷한 것 같은가?

오른쪽 얼굴로 대칭을 시킨 모습
 오른쪽 얼굴로 대칭을 시킨 모습
ⓒ 권용현

관련사진보기


왼쪽 얼굴로 대칭을 시킨 모습
 왼쪽 얼굴로 대칭을 시킨 모습
ⓒ 권용현

관련사진보기


오른쪽 얼굴로 만든 얼굴이 원래 얼굴과 비슷하다면 여러분은 좌시야형이고, 왼쪽 얼굴로 만든 얼굴이 원래 얼굴과 흡사하다면 여러분은 우시야형이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스스로의 얼굴이나 다른 사람의 얼굴을 보면서 한쪽 얼굴을 주로 보면서 친숙하게 느끼게 된다. 즉, 우리는 우리가 보는 얼굴의 반쪽을 주로 기억하는 것이다.

한국 사람 중에서는 상대방의 오른쪽 얼굴을 익숙하게 느끼는 좌시야형이 약 60~70%로 많은 편이다. 반대로 왼쪽 얼굴을 익숙하게 느끼는 우시야형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볼 때는 반대가 될 것이다. 거울로 보게 되면 좌우가 바뀌기 때문에, 좌시야형은 자신의 왼쪽 얼굴을, 우시야형은 자신의 오른쪽 얼굴에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나는 우시야형이기 때문에 내 오른쪽 얼굴에 익숙해져 있었다.

이렇게 얼굴을 보면서 한쪽 얼굴을 주로 보기 때문에, 같은 얼굴을 같은 자리에서 보면서도 인상을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왼쪽 얼굴을 볼 것이고, 어떤 사람은 오른쪽 얼굴을 주로 볼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내 얼굴 한쪽에만 여드름이 났다면, 어떤 사람은 나를 보면서 여드름이 난 사람으로 여길 것이고, 반대로 어떤 사람은 못 알아차릴 수도 있다. 이렇게 얼굴을 대할 때, 얼굴 좌우 중 한쪽 위주로 해석하기 때문에, 같은 사람의 얼굴이라도 인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칭적인 얼굴을 선호하는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아무래도 좌우 얼굴이 많이 다르면 보는 사람들마다 인상이 달라질 수 있고, 뇌에서는 양쪽 눈에서 보는 서로 다른 양쪽 얼굴을 조합하느라 좀 더 에너지를 소모하고 피로를 느낄 것이기 때문이다. 좌우 얼굴이 대칭에 가까울수록 사람들이 보는 인상도 비슷할 것이고, 뇌에서도 한쪽 시야만 가지고 정보를 처리하면 되니 덜 피로할 것이기 때문이다.


태그:#얼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