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아름다운 정자가 있어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찾아들어, 정자의 아름다움을 적은 게판들이 정자 안에 빼곡히 걸려 있다. 그러나 정작 그 아름다운 경치를 잃은 정자는 슬프다. 전라북도 임실군 운남면 입석리. 운암호를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 양요정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 양요정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양요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 양요 최응숙이 지은 정자다. 이곳으로 난을 피해 낙향을 한 최응숙은, 강물이 산을 휘감아 흐르다가 폭포를 이루는 곳에 양요정을 지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양요정이 자리하고 있는 곳의 경치가 얼마나 좋았는지 정자 안에 걸린 게판들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정자 안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글들. 양요는 정자를 지은 최응숙의 호로, 당시 이 양요정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는 수많은 편액 안에 잘 남아 있다.

문화재는 제 자리에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 양요정은 지금도 운암호를 내려다보는 절경에 있지만, 그보다 더 아름다운 곳에 자리했었다
▲ 양요정 문화재는 제 자리에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 양요정은 지금도 운암호를 내려다보는 절경에 있지만, 그보다 더 아름다운 곳에 자리했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인자요산 의자요수' 에서 따왔다
▲ 양요정 현판 '인자요산 의자요수' 에서 따왔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양요정의 원 위치는 지금 있는 자리에서 동쪽으로 강가에 자리하고 있었다고 한다. 섬진강 댐의 공사로 인해 양요정이 물 속에 잠기게 되자, 1965년 이곳으로 이전을 하였다. 양요정은 지금도 주변 경치가 절경이다. 옮기기 전의 양요정은 산을 감돌아 흐르는 강과, 산 밑으로 낙수치는 폭포가 있었다고 한다. 강과 산, 그리고 폭포와 정자. 한 마디로 그런 모습을 상상만 해도 대단한 절경에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양요정은 운암호를 내려다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산을 휘감아 도는 강도, 산 밑으로 낙하를 하는 폭포도 사라졌다. 그런 인위적인 공사로 인해 멋진 절경을 잃어버리고만 양요정. 왠지 쓸쓸해 보인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양요정에서 내려다 본 양요정
▲ 운암호 양요정에서 내려다 본 양요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원래 자리에서 섬진강 댐 공사로 옮겨지었다.
▲ 양요정 원래 자리에서 섬진강 댐 공사로 옮겨지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양요정은 여늬 정자와는 다르다. 정자 가운데에 방을 두었다. 그것은 곧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절경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만큼 정자는 처음 그대로 자리에 있어야만 한다. 방에는 각종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홀로 먼 산을 바라보는 노인, 친구들과 바둑을 즐기는 모습. 그리고 가마를 타고 어디론가 가는 행렬. 아마 양요 최응숙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다. 난을 피해 이곳으로 낙향을 했지만, 늘 임금을 그리고 있었는지 모른다.

임진왜란 때 난을 피해 낙향을 한 최응숙의 마음을 알 것 같은 그림들이다
▲ 벽화 임진왜란 때 난을 피해 낙향을 한 최응숙의 마음을 알 것 같은 그림들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세상은 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양요정에 올라 운암호를 내려다보면서 문득 4대강 개발이란, 또 어떤 절경을 이렇게 슬프게 만들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자연과 잘 어우러지는 전국의 수많은 전각들. 강변에 있는 그런 전각들이 양요정처럼, 또 다른 슬픔을 만들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태그:#양요정, #운암호, #임실군, #문화재자료, #최응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