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식이 국장으로 치러지면서도 이례적으로 6일(법정 장례기간 9일 이내)만에 끝나도록 합의된 것은 임시공휴일 지정을 피하기 위한 절충안이었다.

 

'국장및국민장에관한법률'에 따르면 국장이 치러질 경우 영결식날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돼 모든 관공서가 휴무하게 된다. 김 전 대통령측은 임시공휴일 지정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6일장+23일 영결식' 절충안을 수용했다.

 

박지원 의원은 "정부가 금융위기 극복, 경제 문제 때문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런 문제(9일장과 임시공휴일 지정)가 부담이 됐다"며 "국가 경제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유족과 측근들은 IMF 극복, 6·15 공동선언, 한국 최초 노벨평화상 수상 등 김 전 대통령의 업적을 이유로 국장을 요청해 왔다. 하지만 정부는 "전직 대통령은 국장 전례가 없다"며 난색을 표해 장례절차 논의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

 

정부로서는 국장으로 인한 비용부담, 임시공휴일 지정 등이 큰 부담이 됐다. 유족들은 또 장지를 국립서울현충원에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반면 정부는 "국립서울현충원은 포화상태"라며 국립대전현충원에 장지를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이명박 "사회 융화, 발전 계기 삼아야"... 유족 요구 수용 지시

 

 

하지만 국장 기간을 줄이고 일요일을 영결식날로 결정하는 등 김 전 대통령측과 정부가 한발씩 양보해 타협을 이룰 수 있었다.

 

'6일 국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결심에서 나왔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19일 오후 8시에 열린 임시국무회의에 앞서 "김 전 대통령의 생전 업적과 우리 사회가 융화와 발전으로 나가는 데 있어서 큰 계기를 마련하는 게 좋겠다"고 말하며 유족들의 요구를 수용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의 지시 이후 장례절차 협의는 급진전됐고, 19일 저녁 늦게 '6일 국장'이 최종 결정됐다. 장지도 국립서울현충원에 마련하기로 했다. 김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씨는 정부의 국장 결정 이후 박지원 의원을 통해 이 대통령과 정부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정부와 협의가 마무리됨에 따라 유족들은 장의위원장과 장의위원을 선정에 들어가는 등 실무준비를 시작했다. 정부측 장의위원장은 관련 법률에 따라 한승수 국무총리가 맡았다.

 

서거 3일째인 오늘 오후 2~3시께 김 전 대통령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임시빈소는 국회 광장에 마련되는 공식빈소로 옮겨진다.

 

국회 광장을 빈소로 개방해달라는 요구도 박지원 의원이 했다고 한다. '의회주의'를 강조한 김 전 대통령의 유지에 따른 것이라고 박 의원은 설명했다.

 

그는 "국회는 민주주의의 상징이자 민의의 상징"이라며 "김 전 대통령도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많은 공적을 남겼고, 의회주의를 부르짖었으며, 국회의원을 (다섯 번) 역임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측은 이날 낮 입관식을 마친 뒤 빈소 준비가 끝나는대로 옮겨가겠다고 밝혔다. 최경환 비서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오전까지 임시 빈소에서 조문객을 맞은 뒤 입관식을 하고 김 전 대통령의 시신을 국회로 운구해 오후에는 국회 광장에서 조문객을 맞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입관식은 오전 11시45분 1층 안치실에서 가족들만 모인 가운데 시작될 예정이다. 약 50여분간 염습을 마치면 오후 1시25분부터 약 20분간 천주교 의식으로 거행된다.

 

이후 김 전 대통령의 측근과 비서관 몇 명이 참관한 뒤 국회 광장 빈소가 마련되는 대로 운구행렬이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을 떠날 것으로 보인다.

 

보수단체 "국장 거부운동 벌이겠다"

 

한편 김 전 대통령의 국장을 반대해 온 보수진영은 이번 결정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민행동본부'라는 보수단체는 19일 6일 국장이 결정되자 즉각 성명을 내고 "국장 거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자신의 인기를 위해 김대중 지지자들과 북한 정권 추종자들을 위해 대한민국의 명예와 권위를 팔아먹었다"고 맹비난했다. 이어 이들은 "대한민국 헌법의 가치와 이념을 내팽개친 이 대통령의 비굴한 결정에 반드시 정치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그:#김대중, #영결식, #국장, #빈소, #국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오마이뉴스 입사 후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편집부를 거쳐 정치팀장, 사회 2팀장으로 일했다. 지난 2006년 군 의료체계 문제점을 고발한 고 노충국 병장 사망 사건 연속 보도로 언론인권재단이 주는 언론인권상 본상, 인터넷기자협회 올해의 보도 대상 등을 받았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