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월초에 초등학교 1학년이 되는 어린이 가운데 짝꿍이 없는 '나홀로 입학생'은 전국적으로 130여 명에 이른다(잠정 집계). 이들이 다니게 될 대다수의 학교는 농·어촌 학교다. 사라져가는 농촌공동체를 아프게 대변하는 '나홀로 입학생'은 농·어촌의 '마지막 잎새'다. 지난 2000년 창간돼 올해로 만 여덟살이 된 <오마이뉴스>는 올 한 해 동안 여덟살의 '나홀로 입학생'의 벗이 되고자 한다. 시민기자, 독자와 함께 그들이 어떻게 '더불어 함께'의 기쁨을 찾을 수 있을지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기획을 통해 우리가 잃어가고 있는, '함께 하는 마을' '더불어 함께'의 소중함도 되돌아보고자 한다. [편집자말]
3월 3일에는 왕산초등학교(강릉시 왕산면 도마1리 소재) 안예슬양의 입학식이 있었다. 강릉은 아침 일찍부터 진눈개비가 오락가락한다. 왕산초등학교가 있는 백두대간 중턱 삽당령 쪽은 뿌연 안개에 가려 있다. 아마도 눈이 제법 오는가 보다.

차를 몰고 시내를 벗어나 성산에 다다르자 날씨가 개인다. 한 점 빗방울도 없다. 오봉댐을 왼쪽에 두고 굽이굽이 산모롱이를 돌아가자 다시 이슬비가 내린다. 강릉의 봄 날씨는 변덕스럽다. 20~30㎞ 거리를 두고 바닷가와 시내, 산골짝의 날씨가 다르다. 그래서 강릉 사람들에게 일기예보는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이다.

따로 또 같이 나홀로 입학생, 예슬이와 세인이

따로 또 같이 나홀로 입학생이 된 예슬이와 세인이. 예슬이는 왕산초등학교, 세인이는 왕산초등학교 고단분교의 나홀로 입학생이다. 단촐하게 공동 입학식을 치렀다.
 따로 또 같이 나홀로 입학생이 된 예슬이와 세인이. 예슬이는 왕산초등학교, 세인이는 왕산초등학교 고단분교의 나홀로 입학생이다. 단촐하게 공동 입학식을 치렀다.
ⓒ 최원석

관련사진보기



흰 눈이 그대로 남아있는 학교 운동장에 차를 세워두고 교무실을 들어섰다. 새로 전근 온 선생님은 자신의 의자를 내어준다. 소파에 앉아 두리번 두리번 주위를 살피는 사내아이.

"너, 누구니?"
"입학할려고 왔는데요."
"엥, 오늘 예슬이 혼자 입학한다고 했는데. 너두 여기 다닐 거니?"
"아니요, 저는 고단분교에 다닐 건데요. 입학식은 여기서 한대요."
"아 그렇구나. 너는 이름이 뭐니?"
"손세인요, 손세인."

왕산초등학교 고단분교는 해발 660m인 삽당령 너머 강릉시 행정구역의 서쪽 끝으로, 정선군 임계면과 접해 있다. 세인이가 입학하면 6명이 전부인 학교. 예슬이 입학식 취재에 세인이 입학식은 덤이 됐다.

입학식은 내외빈 소개도 없이 단촐하게 시작됐다. 재학생 15명, 고단분교 교사 2명, 왕산초등학교 교사 3명, 교무부장, 교장, 그리고 세인이 가족 3명, 예슬이 부모님과 이웃어른 1분이 전부다. 도회지 큰 학교 같으면 재력 있는 운영위원장에 정치인들 화환이 앞자리를 메웠을 텐데 쇠락하는 학교에는 축전 한 장이 없다.

"기다리면 친구들이 올 거예요. 지금은 혼자지만 누군가 이사와서 함께 공부할지도 모르잖아요. 저는 여기를 절대 안 떠날 거예요. 너무 좋아요."

예슬이의 어린 마음에도 '떠난다'는 것이 자리하고 있나보다. "절대 안 떠날 거"라는 말은 떠나보냄을 겪어본 마음에서 나온 말일 게다.

농촌에 사는 사람들은 함께 살던 이웃들이 떠나가고 덩그러니 남은 빈집을 매일 같이 보고 살아야 한다. 밤에 불이 켜지지 않는 시커먼 덩치의 빈집을 옆에 두고 사는 사람들. 아이 울음소리가 끊어진 마을이기에 어디선가 아이들이 주렁주렁 달린 가족이 이사 오기만을 기다린다. 예슬이네 가족이 3년 전 이 곳을 찾아들었듯이 누군가가 이사 오기를 기다린다.

도시로 도시로, 사람들은 떠났다

예슬이 혼자 입학하는 왕산초등학교는 강릉에서 임계와 정선을 오가는 길가에 있다. 강릉에서 서쪽으로 백두대간 골짜기를 따라 삽당령을 오르다 나타나는 평지.

이 곳 지명이 말해주듯이 고려 말 공양왕 원년(1389)에 신우가 신돈의 아들로 몰려 이곳에 유배되고 그 여종과 생계를 잃고 떠돌아다녔다고 하여 왕산이라 불리게 됐다. 1980년대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았을 때에는 강릉까지 1시간이 넘게 걸리던 거리였기에 이 마을 사람 모두가 동창생이고 초등학교를 마치면 나란히 담 하나 넘어 중학교를 다녔다.

1985년 강릉시의 상수원인 오봉댐이 들어서면서 논밭과 집이 물에 잠기게 된 이웃들이 먼저 떠났고, 농촌에서 희망을 찾지 못한 젊은이들이 떠나면서 아이들이 줄기 시작했다. 다른 농촌도 마찬가지겠지만 1990년대 들어 왕성·목계분교가 폐교되면서 학생들이 본교로 오기보다는 강릉으로 떠났다.

이곳은 4월이 돼야 농사일이 시작된다. 지난번에 내린 눈이 녹지 않고 그대로 쌓여 있다. 산골짝이기는 하지만 면사무소·치안센터·우체국·농협·보건소·중학교도 있는 제법 큰 면소재지이다. 6개리에 830여 세대가 살지만 초등학생은 15명이 전부다.

아이들이 있는 집들은 모두 강릉으로 떠났다. 농사일을 해서 얻는 수입으로는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고, 또 돌볼 시간도 없기 때문이다.

어둠이 걷히면 시작해서 해가 져야 끝나는 농사일, 농토가 적으면 남의 집 논과 밭에서 품을 팔아야 하는 형편에 이 마을 아이들은 사교육을 받지 못한다. 강릉까지 20㎞, 30분 남짓 거리지만 아이들을 데려다 주고 데려올 여가가 없다. 수익을 따지는 학원이 차량 운행을 해 줄리 없는 일. 굽이굽이 산길을 돌아 차를 모는 것도 부담스러운 일이다.

친구 떠난 운동장에서 남매는 종일 논다

예슬이의 하나뿐인 친구 오빠 예닮이. 남매는 이 산골 마을을 떠나고 싶은 생각이 없다.
 예슬이의 하나뿐인 친구 오빠 예닮이. 남매는 이 산골 마을을 떠나고 싶은 생각이 없다.
ⓒ 최원석

관련사진보기



예슬이가 혼자 입학을 해도 큰 위안이 되는 것은 4학년을 올라가는 오빠 예닮이 있기 때문이다. 마을 아이들이야 학교가 파하면 학교 버스를 타고 이 골짜기 저 골짜기로 스며들어 소리조차 없지만 오누이는 학교 운동장 전부를 놀이터 삼아 놀 수 있다.

예닮이도 입학할 때는 여덟 명이었지만 지금은 다섯이 남았다. 한 친구는 요양을 위해 잠시 머물던 부모를 따라서, 또 한 친구는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느라 할아버지 집에 잠시 맞겨 졌고, 나머지 친구들도 이런 저런 이유로 학교를 떠났다.

"저는 이 곳이 너무 좋아요. 정도 많이 들었고 아빠랑 눈으로 미끄럼틀도 만들고 칡도 캐고너무 재밌어요. 오래 오래 살고 싶어요."

예닮이는 이 곳 생활이 마음에 드는 눈치다. 어머니 이미애씨는 "온 동네 아이들이 형 동생하며 지내는 것이 너무 좋다. 몇 명 안되지만 친형제처럼 단체로 어울려 노는 것을 보면 대견하다"면서 "2학년이 두 명이라 예슬이 하고 셋이서 같은 교실에서 복식 수업을 하는 것이 조금 안타깝다"고 한다. 수원에 살다가 목회를 하는 남편을 따라 잠시 머물겠거니 했는데 이젠 떠날 생각이 없단다. "아이들이 너무 좋아하니 계속 살아야죠"하면서 웃는다.

고단분교에 다니게 될 세인이에게도 5학년 되는 형 수인이가 있다. 5년 전 목사인 아버지를 따라 속초에서 이사를 왔다. 6명의 아이들이 한 학교에 다니지만 다른 4명의 아이들이 사는 곳은 송현. 멀리 떨어진 곳이라 학교가 끝나면 얼굴을 볼 수 없다.

세인이 어머니는 "아이들이 부천이나 서울을 갔으면 하는 눈치"라고 말한다. 친구들이 없다 보니 외로워하는 것 같단다. 공부를 잘 하기는 하지만 방과후 학교에서 배우는 태권도와 미술로는 왠지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애들 아빠가 다른 곳에 발령이 나면 어쩔 수 없지요"하는 말에는 떠남에 대한 기대가 담겨 있다.

칠순의 벗나무만 지키고 있는 쓸쓸한 운동장

강릉 왕산초등학교에 홀로 입학하는 안예슬양.
 강릉 왕산초등학교에 홀로 입학하는 안예슬양.
ⓒ 최원석

관련사진보기



왕산초등학교는 1936년에 개교했으니 72년의 역사를 이어왔다. 그 동안 69회에 걸쳐 2148명의 졸업생을 길러냈다. 하지만 올해에는 1명이 졸업했다. 내년에는 입학생이 있을까.

교정에는 개교 당시에 심었을 것 같은 아름들이 벚나무가 여러 그루 서 있다. 저 나무들은 코흘리개 아이들이 가슴에 손수건을 붙인 채 부모의 손을 잡고 학교에 들어서던 것을 수 없이 지켜봤을 것이다. 또 졸업장을 받아들고 교문을 나서던 뒷모습. 친구들과 울며 헤어지던 전학가는 아이도 보았을 게다.

운동장에서 공차며 뛰어 놀던 아이들의 함성 소리. 만국기 펄럭이던 가을날의 운동회. 이 학교에서 공부한 아이가 어른이 되어서 아들딸의 손을 잡고 교문을 들어서던 것도 수없이 봤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들어오는 아이보다 나가는 아이들이 많아지고 입학과 졸업식의 설렘, 운동회의 떠들썩함이 사라져 버린 교정을 우두커니 지키고 선 70살의 벚나무. 그것이 우리 농촌의 초등학교의 현실이다.

더욱이 왕산초등학교는 오봉댐을 더 높이 증축한다 해서 큰 소란이 일었었다. 댐이 높아지면 마을이 모두 물에 잠기기 마련. 잠시 주춤해졌지만 언젠가는 다가올 일이다. 그래서 더 많은 이들이 기회만 되면 떠나는지도 모른다. 강릉에서 예슬이처럼 입학생이 혼자인 학교는 다섯 곳이나 된다.

나홀로 입학생 예슬이. 6년 뒤에 세인이와 나란히 앉아 졸업장을 받을 수 있을까? 강릉에는 오후 들어 눈이 내린다. 왕산에는 아마도 폭설이 내릴 것이다.


태그:#나홀로 입학생, #왕산초등학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하면 바로된다는 신념으로 열심히 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