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호박나물과 토란줄기, 취나물 요리법이 대동소이하다. 단, 호박고지는 국물이 더 있어야 밤새 밖에다 뒀다가 다음날 아침 살얼음이 낀 상태에서 먹어야 제일 맛있다.
ⓒ sigoli 고향
호박고지, 호박쪼가리 말리던 추억

지난 늦가을 참 열심히도 호박을 말렸다. 늙고 노란 호박이 아니다. 한 번으로도 모자라 두 번, 세 번에 걸쳐서 말렸다. 그렇다고 모두 성공하지 못했다. 두 번째까지는 궂은 날씨가 반복되어 마를라치면 눅눅해지고, 괜찮다 싶어 뒤집어보면 뒤쪽은 곰팡이가 탱탱 슬어 결국 썩히고 말았다.

아까웠지만 밭에 다시 버려야 하는 수고도 감수했다. '어어, 이러다 올 가을 정말 호박쪼가리는 날 샜나 보네'하며 거의 포기할 즈음 콩대를 베러 갔더니 호박이 대여섯 개나 슬며시 정체를 드러내는 게 아닌가.

기뻤다. 요, 이쁜 놈들을 조심히 싸서 집으로 데리고 왔다. 날이 더 선선해지고 하루 바짝 햇볕이 들자 쪼글쪼글 부각처럼 빠득 말랐다. 그걸 긁어모아 담는데 어찌나 맑고 고운 자연의 소리가 들리는지 소음에 찌든 귀가 고향의 소리를 들은 듯 즐겁다 했다.

여기서 내가 말렸던 호박은 기다란 마디애호박도 아니고 그렇다고 쇠어서 익기 직전 늙은호박도 아니다. 서리만 맞았다 하면 곯듯 얼음을 잔뜩 머금고 푹 떨어질 가장 늦가을에 열린 여리고 둥근 애호박이었다.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내 주먹덩이만 하다.

▲ 호박을 썰고 있는 시골 아주머니, 동창생 김영임 어머니가 늦가을 호박을 썰어 말리려 한다.
ⓒ sigoli 고향
쏠쏠하고 오졌다. 호박 몇 덩이 가지고 이렇게 기뻐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다. 말려보니 자각자각 바다자갈 소리로 나를 매료시켰지만 떠보지는 않았으나 참고 또 참아 정월대보름날 먹기엔 충분한 양이다.

예전 어머니와 나는 동구 밖 마당바위를 소쿠리에 호박을 썰어서는 무던히도 오갔다. 일년 중 딱 하루를 위해서 보통 공력을 들이지 않았다. 어머니와 내가 연애하듯 호박쪼가리를 빌미삼아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 때 여동생은 아직 어렸다.

그 아이가 벌써 서른하고도 다섯인데 호박 말릴 때는 절대 뒤집지 말아야 한다고 뭔가 대단한 발견이라도 한 것처럼 훈수를 두지만 들은 척도 안했다. 제까짓 게 뭘 안다고 함부로 오빠에게 아는 체를 하는가 말이다.

단 한 가지 비법도 아닌 비밀은 날 좋은 아침 일찍 얄팍하게 썰어서 말리고 날이 궂지 않을 성 싶으면 밤이슬을 맞혀야 더 쫄깃하고 가을 향기를 가득 품게 된다는 사실 뿐이다.

들기름과 들깨국물에 자작자작 조린 둘도 없는 나물 요리

아, 아쉬운 설도 지났다. 물리게 먹었건만 기름진 것 투성이었으니 이젠 정말로 속을 달랠 때다. 어루만져주고 다독여 보해주면 제들도 잇속 차린다고 뭔가 보답은 하지 않겠는가.

▲ 돼지고기도 볶거나 굽지 않고 두부를 깎뚝 썰어 이렇게 하면 별미다. 이번 보름엔 이렇게 먹어보자. 전혀 느끼하지가 않다.
ⓒ sigoli 고향
갖가지 아니 열댓 가지 으뜸나물 죄다 차리노니 미어터지겠으나 다들 제 풍미 하나쯤은 갖고 있을 법. 제 자랑들 하느라고 품은 향기를 맘껏 발산하니 씁쓸하고 강렬하다. 과하지 않으면서 살살 녹여주는 것 뭐 없을까.

이에 보드랍고 살살 녹는 두어 가지가 있으매 한 가지는 두부와 쌀뜨물만 넣고 끓인 돼지고기요, 또 하나는 무채를 썰어 매한가지로 자작자작 물 잡아 끓여 숨죽인 하얀 나물반찬이다.

이도 아쉬우니 이제 본격 호박고지, 호박쪼가리로 어릴 적 어깨 너머로 흘깃흘깃 훔쳐보았던 기억을 더듬어 복잡다단하게 요리조리 할 것 없이 간단한 몇 번의 과정을 밟아 오늘의 주인공을 빛내고 내 살아 있는 미각을 일깨우고 싶다.

호박고지를 뜨뜻미지근한 물에 불려 놓으면 서서히 풀어진다. 곧 쪼글쪼글 잔주름을 펴면서 부풀어 오른다. 파르란 기운이 되살고 하얀 속살을 드러낸다. 덜 익은 호박씨도 야들야들해지니 굳이 떼어낼 필요가 없다.

느긋하게 제들끼리 변화무쌍한 변신을 하면 물을 따라버리고 꾹 짜둔다. 묵나물에 잘 어울리는 들기름과 멸치국물, 다진 마늘을 넣고 집 간장으로 간하여 지글지글 볶아놓는다. 이제 진짜 국물을 준비해야 한다.

▲ 쌀뜨물과 들깨국물을 잘 활용하면 훨씬 뛰어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생 통들깨를 갈아 국물을 내는 전라남북도 탕이 맛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sigoli 고향
통 들깨를 씻어 물을 넣고 갈면 뽀얀 국물이 나온다. 체에 밭쳐 국물만 쪽 빠지게 하고 건더기와 껍질은 버린다. '아이고, 간단하다더니 보통이 아닐세'라고 나를 구박하지 마시라. 아서라. 다 끝났다. 뭐든 한번 먹어보려면 실상은 재료 준비에 들어간 공이 더 크지 않더냐.

들깨국물을 넉넉하게 잡고 볶아놓은 호박쪼가리를 넣고 맘껏 끓여주자. 속이 부글부글 끓듯 다갈다갈 끓는 모습을 한번 보라. 과장된 영화장면에서나 본 듯하다. 방구들이 지진 영향을 받아 들썩인다. 용암이 거품을 뽀글뽀글 뱉어내듯 얇실하고 넓게 뜬 수제비처럼 기지개를 한껏 켜고 양이 더 늘어만 간다.

여긴 흰 국물과 하얗고 포롬한 연둣빛이 다소 섞여 있을 뿐이다. 고춧가루는 애당초 쓸 명분이 없다. 국물 한 번만 떠먹어보고는 더 이상 퍼지지 않게 뚜껑을 열어 차가운 곳에 놔두자. 아직 오곡찰밥과 갖가지 나물이 대령하기엔 이를 뿐 아니라 호박나물은 시원하게, 가능한 차갑게 먹어야 진가가 발휘되니 "참아야 하느니라"하며 마음을 다잡는다.

풋풋하고 달보드레하고 감칠맛 나고 쫄깃한 감동

식혀서 쌀쌀한 바깥에 두면 더 좋으련만. 상에 차릴 것 다 차려지는 동안 속에 부담되지 않은 것부터 한 수저 떠먹는 시식 시간이 잠깐 있으면 좋으리라. 그 중에서도 맨 먼저 내 손을 움직이게 하는 음식은 여태 만들어놓았던 호박고지나물이다. 다시 한기를 머금어 금세 약간은 쪼그라들었다.

▲ 요즘도 오곡찰밥을 시루에 쪄서 먹는 사람 과연 얼마나 될까? 쌀 미리 불리고 팥 따위를 삶아 물기를 쪽 뺀다음 시루핀을 붙이고 바닥에 깔고... 참 일이 많았지만 맛은 최고였다. 저 팥과 강낭콩을 섞으면 더 포근포근한 맛이 난다.
ⓒ sigoli 고향
국물 한 술 먼저 뜨니 입안이 잔잔한 감동으로 가득하다. 들깨 알에서 빠져나온 자잘한 알갱이, 분말이 혀를 감싼다. 살포시 내린 큼지막한 눈발이 포근히 내려앉은 느낌이다. 주당들이 약주를 거나하게 할 요량으로 미리 우유나 기름진 걸 위벽에 바를 때와 다르지 않으니 뭐든 받아들일 만반의 태세를 갖췄다.

손이 바빠진다. 고루 잘 퍼진 찐 찰밥이 당도하여 찹쌀과 팥이 으깨지면서 진득한 끈기로 풍악을 울리니 마침내 나는 자작한 국물과 건더기가 있는 호박나물을 떠 넣는다. 목멜 듯하다가 이내 정상을 되찾았다. 오랜 가뭄 끝 단비라고나 할까.

질겅질겅 씹힌다. 쫄깃쫄깃한 맛이 일품이다. 보드라운 입감에 질기지 않는 쫄깃함까지 곁들여졌다. 호박씨마저 볼가져 나와 이가 심심할 새도 없다. 달보드레하고 감칠맛이 난다는 건 이럴 때라야 정확한 표현이겠다. 하찮은 호박쪼가리가 내게 이런 근사한 감동을 선사하다니!

▲ 여기서 간단히 소개된 무나물이 왼쪽에 있다. 뿌리를 채 썰어 육수 넣고 간하여 끓이면 된다. 고사리와 고구마순도 쫄깃쫄깃하겠네. 실고추를 써야 맛이 깔끔하다.
ⓒ sigoli 고향
늦가을 풋풋한 들을 다시 만난 듯 향기롭다. 혀에 감칠나게 감기고 나서는 한 번 두 번 씹으면 아삭아삭. 넘어가는 기분도 참으로 좋다. 이렇게 난 시원한 맛에 가을 향기를 가득 머금고도 모자라 다그치고 졸라대니 연신 밀어 넣기에 바빴다. 왜 그리 자주 손이 가는지 희한하다.

한참을 정신없이 먹고 있노라면 옆에 있던 사람이 불쑥 한마디 던지는 게 일상이었다.

"너 혼자 다 먹을라고 그러냐?"
"바깥에 많으니까 또 갖다먹으면 되잖녀."

미안한 마음에 부엌을 들락거렸다. 이게 볶음이던가. 조림일까. 에라 모르겠다. 볶다가 졸였으니 알아서 이름 짓자. 호박고지, 호박쪼가리 나물은 맞지 않은가.

나는 아직도 30년 전 어머니가 대충 만들어줬던 지독한 사랑, 그 맛을 잊지 못하여 오늘 오후를 어찌 보낼지가 명확해졌다. 오늘같이 좋은 날 어디 있는가. 아이와 아내를 위한 밸런타인데이에 작은 설 대보름까지 겹쳐 있으니 한번 부지런히 움직여도 아깝지 않은 날 아닌가.

▲ 맛있는 대보름 맞이를 위해 가까운 시장으로 나가보자. 미어터지면 좋겠다
ⓒ sigoli 고향

덧붙이는 글 | 김규환 기자는 시골맛, 고향맛, 어머니손맛을 찾아 과거로 추억여행을 떠납니다. 고향 맛 원형을 찾기 위해 시골아이 고향(www.sigoli.com)을 만들었습니다. 오셔서 건강과 맛을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규환은 서울생활을 접고 빨치산의 고장-화순에서 '백아산의 메아리'를 들으며 살고 있습니다. 6, 70년대 고향 이야기와 삶의 뿌리를 캐는 글을 쓰다가 2006년 귀향하고 말았지요. 200가지 산나물을 깊은 산속에 자연 그대로 심어 산나물 천지 <산채원>을 만들고 있답니다.도시 이웃과 나누려 합니다. cafe.daum.net/sanchaewon 클릭!

이 기자의 최신기사역시, 가을엔 추어탕이지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