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XF The Fashion'(KXF)이라는 성인 페스티벌 개최 얘기로 시끄럽다. 지자체의 반발로 개최지가 경기 수원과 파주, 서울로 옮겨감에 따라 옮길 때마다 화제가 됐다. 그때마다 언론에서는 행사 포스터를 꼭꼭 첨부한 기사를, 클릭을 부르는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게재했다.
그 포스터의 양상은 다양했다. 행사에 출연하는 일본 AV(성 행위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영상물) 배우의 이름과 얼굴이 다 나온 기사도 있었고, 여성 배우의 가슴 부위만 모자이크하거나 포스터 전체를 모자이크 해놓고서도 굳이 첨부한 기사도 있었다. '여성의 가슴은 그 자체로 음란물인가'부터 AV 배우는 이름마저 '음란'하다는 취급을 받는가, 그리고 행사 홍보 성격이 짙은 포스터를 왜 언론은 기사에 첨부하는가(당연히 무엇 때문인지는 안다)까지 생각이 미치자 머리가 복잡해졌다.
문제는 '맥락'과 '모방'
복잡한 머리를 부여잡고, 하나씩 얘기해 보자. 먼저 '여자는 되고 남자는 안 되냐'는 해묵은 질문부터. 필자는 전에 '리얼돌'을 취재하며 <혼자서도 잘하는 반려가전 팝니다>(휴머니스트)라는 책을 만났다. 저자 안진영은 섹스토이숍의 대표다. 그는 섹스토이는 팔지만 '리얼돌'로 불리는 섹스돌에는 반대한다. 섹스토이와 달리 섹스돌은 '맥락을 입고 여성을 모방'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맥락'과 '모방'이다. 절대다수가 남성으로부터 여성에게로 향하는 젠더 폭력의 양상을 떠올려보면, 젠더 지형에서 힘을 가지고 행사하는 것은 남성이라는 '맥락'이 엄존한다. 이성애 일변도의 AV는 '여성은 강간을 원한다'는 그릇된 강간 신화를 고스란히 확대 재생산한다. 불평등한 젠더 지형의 결과이자 '모방'을 부추기는 촉매인 셈이다.
반대로 일부 남성들이 반대급부로 언급하는 '여성 전용 19금 쇼'들은 어떨까. 여성이 소수자라는 '맥락'은 여전하다. 그렇다면 일련의 '미스터 쇼'들은 AV처럼 '남성은 강간을 원한다'는 신화를 확대 재생산하는가? 대개 여성은 그럴만한 힘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 행사할 의지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쇼는 지배적인 가부장제에 맞서는 대항문화로써 기능하는 것이지, 현실에서 '모방'을 가능케 하는 촉매가 아니다.
'성인 페스티벌'을 둘러싼 '성의 정치'
▲ 수원여성의전화는 '성인 페스티벌 반대' 여론을 결집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수원여성의전화
필자가 더욱 주목한 것은 '성인 페스티벌 논란'이 팝업시키는 '프레임 싸움'이다. 실제 갈등이 존재한다기보다는, 정치적으로 갈등을 동원하는 양상이 수원과 파주, 서울을 거치며 여러 형태로 가시화됐다. 이걸 한 마디로 축약하면 '성인 페스티벌을 둘러싼 성의 정치'쯤 될 것 같다.
먼저 페미니스트 세력이 간만에 결집했다. 행사의 취소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지역의 여성단체와 여성의당이 큰 역할을 했다. 수원에서 열리기로 되어있던 행사에 가장 먼저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은 수원여성의전화였다. 수원여성의전화는 "친포르노적인 시각으로 남성 중심 문화를 즐기는 성폭력"(고은채 대표)이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고, 이후 수원의 여성단체들이 연대했다.
여성의당도 기자회견을 개최하며 여기에 적극 가세했다. 여성의당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득표율 4위(0.68%)의 김진아 후보를 배출한 이래 이렇다 할 활약을 보이지 못하던 상태였다. 그러나 '성인 페스티벌 논란' 국면에서 근거 법령을 찾아 지자체들에 행정 개입을 촉구하고, 주최사를 고발하는 등 화력을 과시했다.
뜻밖에 보수층 일부도 한목소리를 냈다. 성을 쾌락의 도구로 삼는 것은 보수 기독교계 일반에서 금기시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여파가 아이들에게까지 미칠 가능성은 일부 보수층의 '역린'을 건드렸다. 개최 예정지였던 수원의 민간 전시장이 인근 초등학교와 직선거리로 50m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반대 여론에 불을 지폈다. 아이에게도 어른에게도 똑같이 성 착취 도구로 기능하는 '리얼돌'이 아동‧청소년을 재현했을 때 더욱 공분을 사는 것과 같은 원리였다.
'이대남 못 잃어'와 '여적여'까지
▲ 천하람 국회의원 당선인. 총선 전인 지난 3월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개혁신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슬로건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남소연
행사를 둘러싼 '젠더 갈등'은 천하람 개혁신당 비례대표 당선인의 등판으로 심화됐다. 그는 지난 1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는 여성들의 본능은 자유롭고 주체적인 여성들의 정당한 권리인 것으로 인정되는 반면 남성들의 본능은 그 자체로 범죄시되고 저질스럽고 역겨운 것으로 치부되는 이상한 기준이 적용되기 시작했다"고 핏대를 세웠다.
이어 "여성의 권리를 존중하는 만큼, 남성의 권리도 동등하게 존중하는 것이 당연한 상식"이라며 "안타깝게도 고령층이 주도하는 정치권만 이 간단한 사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표현의 자유'를 방해하는 고령층 주도의 정치권을 들먹이며 '세대 갈라치기'까지 시도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이대남'(20대 남성)의 지지로 서울시장에 당선됐던 오세훈 서울시장은 남성들의 항의성 민원에 직접 답해야 했다. 그는 지난 19일 유튜브에서 "성별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이 관리하는 공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차원에서 금지했다"고 밝혔다. "기성세대의 몰이해가 만들어낸 불필요한 갈등"이라는 천 당선인의 공격을 의식한 행동이었다.
마지막에는 '젠더 갈등', '세대 갈등'에 이어 해묵은 '여적여'(여자의 적은 여자다) 프레임까지 동원됐다. 지난 18일 주최 측이 밝힌 최종 취소 사유는 '배우들의 신변 안전'이었다. "지자체가 떠들썩하고 나라가 들썩일 정도로 여성단체의 반발이 극에 달한 이 상황에서" 배우들의 신변이 보호될 수 있냐는 것이다. 마치 극렬한 여성단체가 배우들에게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는 투였다.
이참에 다시 한 번 톺아봐야 할 일들
주최사는 결국 6월에 규모를 2배 늘려 재추진할 의사를 밝혔다.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결과적으로는 주최사의 배만 불린 형국이 된다. 이 기회에 '성인 페스티벌'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혐오 담론과 '프레임 싸움'을 살피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천 당선인이 '후폭풍'으로 걱정하며 언급한 유튜브 채널 '노빠꾸탁재훈'이나 넷플릭스 '성+인물' 같은 콘텐츠도 되짚어 볼 일이다. AV 배우가 출연해 제작 과정을 소개하는 콘텐츠는 그저 예능의 영역으로 치부하고 말 일인지를.